• 제목/요약/키워드: powdery mildew fungi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수목(樹木)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 4종(種)에 대한 보고(報告) - 벚나무, 귀룽나무, 푼지나무, 물들메나무 흰가루병(病) - (Unrecorded Host Plants of Powdery Mildew in Korea -Powdery Mildew of Oriental Cherry, European Bird Cherry, Korean Bittersweet and Ash Tree-)

  • 이종규;김경희;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9
    • /
    • 1983
  • 1982년(年) 10월(月)부터 11월(月)까지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을 찾기 위하여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구내(構內) 수목원(樹木園)에서 흰가루병증상(病症狀)을 나타낸 수목(樹木)외 잎과 가지를 채취(採取)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동정(同定)하였다. 이 중, 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귀룡나무(Prunus padus), 푼지나무(Celastrus flagellaris), 물들메나무(Fraxinus ${\times}$ chiisanensis) 등(等) 4종(種) 수목(樹木)이 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로 국내(國內)에서 처음 발견(發見)되었으며, 이들의 흰가루병균(病菌)은 Podosnaera tridactyla(DC.)DE BARY, Uncinula sengokui SALM., Uncinula fraxini MIYABE로 동정(同定)되었기에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 PDF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race 동정 및 시판품종의 흰가루병 저항성 판별 (Identification of fungal races that cause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and selection of resistant commercial melon cultivars against the identified races in Korea)

  • 김회택;박종인;노일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58-65
    • /
    • 2016
  • 국내 멜론 및 박과채소 재배농가(안성, 이천, 영암, 창녕, 순천)에서 발병하고 있는 멜론 흰가루병균을 채집한 후 흰가루병균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종류 구분 및 멜론 race 판별계통을 이용한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흰가루병균의 race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종류는 Podosphaera xanthii (syn. Sphaerotheca fuliginea)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race 1, N2, A와 판별결과가 일치하는 3 종류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race (1, N1, N2, A, S, 5)와 검정 결과가 다른 새로운 race의 흰가루병균 2종이 동정되었다. 그리고 5개의 분리 및 동정된 흰가루병균을 이용하여 국내 시판중인 멜론 15품종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race1에 대해서는 15품종 중 9품종이 저항성을 보였다. Race N2와 A대해서는 소수의 품종에서 저항성을 보였으며, 새로운 race BN968에서는 15품종 모두가 이병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멜론 흰가루병 race 1 저항성 DNA 마커 KPMR1M-1과 KPMR1M-2에 의한 이병성 및 저항성 판별 결과와 race 1 접종 결과는 일치하였다. 따라서 국내 멜론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race 특이적 마커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race 저항성 품종 개발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 흰가루병균(病菌)을 침해하는 중복기생균(重複寄生菌)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perparasites against Powdery Mildew Fungi in Korea)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5-365
    • /
    • 1994
  •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우리나라에서 흰가루병균을 침해하는 중복기생균의 발생에 관한 전면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070점의 흰가루병 이병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중 92점의 시료에서 중복기생균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중 6점의 시료를 침해한 중복기생균은 동정되지 않았으나 나머지 86점의 시료에서는 모두 Ampelomyces quisqualis가 중복기생균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복기생균의 흰가루병균 침해가 자연계에서 흔한 현상임을 나타내주었고 우리나라에서도 A. quisqualis가 가장 흔한 중복기생균임을 나타내 주었다. 1992년 채집시료 32점 중 24점에서 순수분리된 A. quisqualis균주는 모두 오이 흰가루병균인 Sphaerotheca fusca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 PDF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dosphaera Powdery Mildew on Fatoua villosa in Korea

  • In-Young Choi;Lamiya Abasova;Joon-Ho Choi;Chong-Kyu Lee;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3-248
    • /
    • 2022
  • In Japan and China, Podosphaera pseudofusca causes powdery mildew in Fatoua villosa. During a taxonomic revision of Korean powdery mildew fungi, isolates newly collected from F. villosa were studied. Through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large subunit gene of rDNA, the powdery mildew fungus was identified as Podosphaera xanthii.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merging of P. pseudofusca sensu Braun into the P. xanthii complex.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odosphaera powdery mildew on F. villosa in Korea.

First Report of Ampelomyces quisqualis from Sycamore and Crape Myrtle and Its Potential as a Mycoparasite of Powdery Mildew

  • Nguyen, Thi Thuong Thuong;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4-67
    • /
    • 2016
  • During screening fungi as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plant parasitic fungi, a fungal strain, EML-FAM3, was isolated from powdery mildew leaf lesions caused by Erysiphe platani o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L.), and another strain, EML-FAMC1, from Erysiphe australiana on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2) and 5.8S rDNA,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Ampelomyces quisqual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new mycohosts, E. platani and E. australiana, of the mycoparasite A. quisqualis on sycamore and crape myrtle plants. The hyperparasite may represent the potential for controlling E. platani and E. australiana epidemics.

관상수목의 미기록 흰가루병(I) (New Records of Powdery Mildews from Ornamental Trees in Korea (I))

  • 신현동;양성일;이상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58-163
    • /
    • 1999
  • 네 종의 관상수목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발병양상을 기록하고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노린재나무 흰가루병은 그늘에서 자란 잎에서만 약하게 발생하였으므로 그리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nomurae U. Braun으로 동정되었다. 꽃산딸나무 흰가루병은 그리 심하지 않았으나 묘포에서의 대발생이 우려되었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pulchra Cooke & Peck으로 동정되었다. 야광나무 흰가루병은 묘포에서 어린잎과 어린줄기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병원균은 Podosphaera leucotricha (Ellis & Everh.) Salmon으로 동정되었다. 왕느릅나무 흰가루병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였으며 2차 생장한 어린 가지에서 특히 심하였는데, 병원균은 Uncinula kenjiana Homma로 동정되었다.

  • PDF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에 관한 소고 (Notes on Powdery Mildew of Dahlia in Korea)

  • 신현동;이현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234-236
    • /
    • 1999
  • 한국에서 다알리아의 흰가루병균으로 Sphaerotheca fuliginea가 기록되었다. 그러나, 1993년 이후본인들이 채집한 6개 시료의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은 모두 분생포자에 fibrosin체를 함유하지 않으며 분생포자경에 형성된 외선이 능상(陵狀)이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한국에서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은 Erysiphe cichoracearum이 확실하다. 한편, 독립된 화분에 심겨진 1그루의 다알리아에서 S. fusca(=S. fuliginea s. lat.)가 흰가루병균으로 동정되었지만, 발병양상으로 보아 우연한 감염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에는 2종의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이 분포하지만 E. cichoracearum이 다알리아 흰가루병의 주요 원인균이다.

  • PDF

Antifungal Activity of Lower Alkyl Fatty Acid Esters against Powdery Mildews

  • Choi, Gyung-Ja;Jang, Kyoung-Soo;Choi, Yong-Ho;Yu, Ju-Hyun;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60-366
    • /
    • 2010
  • In the course of a searhing environmental friendly antifungal compounds, we found that mixture of methyl esters of fatty acids obtained from soybean oil had potent control efficacy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In this study, ten alkyl fatty acid esters (AFAEs) were tested for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ive plant diseases such as rice blast, rice sheath blight, tomato gray mold, tomato late blight and barley powdery mildew. Some AFAEs showed the most control efficacy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among the tested plant diseases. By 5-hr protective and 1-day curative applications, six AFAEs ($3,000\;{\mu}g/ml$), including methyl and ethyl palmitates, methyl and ethyl oleates, methyl linoleate, and methyl linolenate demonstrated both curative and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In contrary, methyl laurate strongly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on barley plants by curative treatment at a concentration of $333\;{\mu}g/ml$, but did not show protective activity even at $3,000\;{\mu}g/ml$.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seven AFAEs ($1,000\;{\mu}g/ml$) except for methyl and ethyl stearates, and methyl caprylate also effectively controlled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xanthii. Among them, methyl and ethyl palmitates ($333\;{\mu}g/ml$) represented the most control activity of more than 68% against the disease. The results are the first report on the antifungal activity of methyl and ethyl esters of fatty acid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Verlamelin, an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a Mycoparasite, Acremonium strictum

  • Kim, Jin-Cheol;Park, Gyung-Ja;Kim, Hyun-Ju;Kim, Heung-Tae;Ahn, Jong-Woong;Cho, Kwang-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02-105
    • /
    • 2002
  • A strain of Acremonium strictum, the mycoparasite of Botrytis cinerea,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ies both in vitro and in vivo against several phytopathogenic fungi. An antifungal substance was purified from the liquid cultures of A. strictum and identified as verlamelin by instrumental analyses. Verlamelin exhibit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ome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Magnaporthe grisea, Bipolaris maydis, and Botrytis cinerea, while it was net active against all the bacteria tested. In viva, verlamelin exhibited strong protective and curative activities, particularly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At 100 μg/ml, it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barley powdery mildew with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in 7-day protective and 2-day curative applicat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production of verlamelin by Acremonium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