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y mildew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2초

복숭아 과실에서 흰가루 증상 및 녹얼룩점 증상을 일으키는 Podosphaera pannosa (Podosphaera pannosa Causes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on Peach Fruits from Korea)

  • 신현동;조성은;최인영;서경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3-199
    • /
    • 2018
  • 1991년에 우리나라에서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var. persica) 과실에 흰가루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형태적 특징에 의거하여 Podosphaera pannosa로 동정되었다. 복숭아 과실이 P. pannosa에 감염된다는 사실은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알려져 왔다. 2011년에 Jankovics 등[11]은 세르비아 및 프랑스에서 채집한 10점의 시료를 연구하여 복숭아 과실의 '녹얼룩점(rusty spot)' 증상은 P. leucotricha에 의한 것이며, 천도(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과실의 '흰가루(powdery mildew)' 증상은 P. pannosa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에 발생한 흰가루병을 4점 채집하여 형태적 검경 및 분자적 분석을 통해 병원균의 정체를 밝혔다. 3점의 시료는 흰가루 증상, 1점의 시료는 녹얼룩점 증상을 나타냈다. 형태적으로는 4점 모두 P. pannosa로 동정되었다. 분자적으로는 2점의 시료에서 ITS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99% 이상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분자계통학적으로 동일한 클러스터에 소속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의 흰가루 증상과 녹얼룩점 증상은 모두 P. pannosa에 의해 발생됨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박과작물 주요 품종의 흰가루병 및 뿌리혹선충병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Disease Resistance of Cucurbit Cultivars to Powdery Mildew and Root-Knot Nematode)

  • 김성현;신지은;이경준;서생군;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34
    • /
    • 2012
  • 흰가루병과 뿌리혹선충병은 박과작물에 발생하는 매우 중요한 병이다. 본 실험은 시판된 국내 주요 박과작물(오이 21품종, 수박 9품종, 참외 7품종, 멜론 2품종)을 이용하여 흰가루병과 뿌리혹선충병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가루병 조사는 정식 60일 후 조사하였다. 21개의 오이 품종 중 '강력삼척'과 '선호백침 다다기'는 중도저항성을 나타냈고 나머지 오이 품종은 모두 감수성이었다. 수박 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나타냈다. 참외 품종에서는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PMR터보'와 'PMR빅토리' 2개 멜론 품종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뿌리혹선충병은 유묘에 접종 45일 후 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오이 품종 '백봉다다기'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고 다른 20개의 오이 품종은 모두 감수성이었다. 수박 품종은 '달고나꿀'이 저항성이었으며 다른 품종은 중도저항성이거나 감수성이었고, 조사된 모든 참외와 멜론 품종은 뿌리혹선충병에 대하여 감수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흰가루병 및 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인 품종은 박과작물의 유기재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팽나무 뒷면흰가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의 존재 확인 (Confirmation of the Presence of Pleochaeta shiraiana Associated with Powdery Mildew of Celtis sinensis in Korea)

  • 이승규;이상현;조성은;박지현;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1-395
    • /
    • 2011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팽나무 뒷면흰가루병 및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의 존재에 대하여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대학교 표본실에 보존된 9개 시료를 대상으로 병원균의 무성세대와 유성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4개 시료에서 획득한 ITS 염기서열을 일본의 2개 시료에서 알려진 자료와 비교하여 99% 이상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P. shiraiana에 의한 뒷면흰가루병이 우리나라에서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and leaf mould on tomato organically cultivated under controlled structured condition

  • Kim, Yong-Ki;Hong, Sung-Jun;Jee, Hyeong-Jin;Park, Jong-Ho;Han, Eun-Jung;An, Nan-Hee;Choi, Eun-Jung;Ryu, Kyoung-Yul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83-286
    • /
    • 2011
  • Powdery mildew and leaf mold were major diseases in organic cultured tomatoes. $NaHCO_3$ and $KH_2PO_4$ were selected as control agents for controlling tomato powdery mildew. Control effect of the selected control agents was increased when they were treated with oil-egg yolk mixtures (OEYO). Also four organic materials used commercially including copper hydroxide and sulfur, showed high control effect more than 90% in green house. Also two organic matters, copper hydroxide and sulfur showed high control effect in farmer's field. When tomatoes were cultivated in plastic house installed with circulation fan, incidence of powdery mildew and leaf mold was reduced by 56% and 60%, respectively.

Erysiphe lonicerigena sp. nov., a Powdery Mildew Species Found on Lonicera harae

  • In-Young Choi;Lamiya Abasova;Joon-Ho Choi;Jung-Hee Park;Hyeon-Dong Shin
    • Mycobiology
    • /
    • 제51권2호
    • /
    • pp.67-71
    • /
    • 2023
  • A powdery mildew (Erysiphaceae) has been continuously collected on the leaves of Lonicera hara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is shrub is indigenous.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asexual morphs revealed that the current collections are differentiated from the all known Erysiphe species on Lonicera spp. by its longer conidiophores and longer conidia. Although the morphology of the chasmothecia is reminiscent of Erysiphe ehrenbergii and E. lonicerae, the specimens on L. harae differ from them in having smaller ascospores. A phylogenetic tree generated from a combined dataset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28S rDNA gene sequences demonstrates that sequences obtained from three powdery mildew collections on L. harae clustered together as an independent species clade with high bootstrap values distant from other Erysiphe species on Lonicera, representing a species of its own. Based on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molecular-phylogenetic results, the powdery mildew on L. harae is proposed as a new species, Erysiphe lonicerigena, and the holomorph of the fungus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is study.

약용식물로부터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항균성물질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Fungicidal Compounds Derived from Medicinal Plants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 백수봉;경석헌;도은수;오연선;박병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0
    • /
    • 1994
  • 50종의 약용식물추출액을 공시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고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공시약용식물중에서 대황의 물추출액은 200배의 희석농도에서도 100%의 포자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서 가장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물추출액 50배, 알콜추출액 100배, 조물질 500배, 표준품 1000배 희석농도까지도 60%이상의 발병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조물질 500배액에서 2회 이상 살포하면 100%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조물질 100배 액에서는 약해가 있었으나 500배액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대황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은 anthraquinone유도체인 1,8-dihydroxy-3-methyl-9,10-anthracenedione과 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cenedione으로 잠정 동정되었다.

  • PDF

Bacillus velezensis YP2의 겨자채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 (Biocontrol of Leaf Mustard Powdery Mildew Caused by Erysiphe cruciferarm using Bacillus velezensis YP2)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4
    • /
    • 2016
  • Bacillus velezensis YP2 균주는 쌈채소에서 분리한 Cercospora sp. 1~3, Septoria sp., Colletotrichum sp., Sclerotinia sclerotiorum, Phoma sp., 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균사생육을 억제하였다. B. velezensis YP2 균주의 LB배양액을 10배 희석액은 적겨자와 청겨자에 발생하는 Erysiphe cruciferarm에 의한 흰가루병을 91.8%와 80.9% 방제효과을 보였다. B. velezensis YP2 균주의 배양액을 10배 희석하여 5일 간격 4회 처리구가 적겨자 흰가루병을 70.6%, 7일 간격 3회 처리구는 65.0%, 10일 간격 2회 처리구는 49.5% 방제하였다. 또한 B. velezensis YP2 균주는 적겨자 종자 발아를 증가시켜고 생육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YP2 균주는 겨자채 흰가루병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을 이용한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Using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 이상엽;김용기;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97-203
    • /
    • 2007
  •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이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효과적인 기생균으로 선발되었다. 온실에서 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5.0{\times}10^6/ml$ 또는 $5.0{\times}10^7/ml$를 예방적으로 경엽 살포하여 9일간 오이 흰가루병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시켰다. 오이 흰가루병이 발생한 후에 AQ94013의 포자현탁액$(5.0{times}10^6/ml)$을 처리하였을 때에도 3일에서 7일내에 흰가루병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오이재배 비닐하우스에서 AQ94013의 포자현탁액$(5{\times}10^6/ml)$을 7일 간격 3회 처리는 AQ94013의 포자현탁액의 10일 간격 2회 처리와 화학약제 훼나리몰유제를 2회 처리한 것 보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높았다. 그러므로 AQ94013균주는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을 위하여 유망한 미생물살균제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잎절편 (Leaf disk)을 이용한 오이 횐가루병 (Sphaerotheca fusca)에 대한 내병성 검정법 (Disease Resistance Test Method of Cucumber Powdery Mildew(Sphaerotheca fusca) Using A Leaf Disk Assay)

  • 이용한;서종분;최경주;박인진;양원모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78-81
    • /
    • 2004
  • 잎절편법을 이용하여 오이 흰가루병(Sphaerorheca fusca)에 대한 10개 품종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완전히 전개된 오이 잎에서 직경 10mm의 절편를 잘라내어 benzimidazole을 혼합한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포자현탁액을 10$\mu$l씩 절편에 점접종법으로 실험하였다. 흰가루병의 분생자경은 $25^{\circ}C$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다. 제1본엽의 disk를 이용하여 분생포자형성정도를 측정해 흰가루병에 대한 오이의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와 하우스 포장에서의 발병도 결과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r=0.99$^{**}$ ). 이 결과들을 통해 잎절편법을 이용하여 오이 식물체의 흰가루병(S. fusca)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 흰가루병균 기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과 기주범위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arasitism to Cucumber Powdery Mildew Fungus, Sphaerotheca fusca by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and Its Host Range)

  • 이상엽;류재당;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67-172
    • /
    • 2005
  • 오이 흰가루병균의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 흰가루병 균에 대한 기생력을 온도와 습도에 대하여, 그리고 mineral oil 등 10종의 전착제와 혼용하였을 때 기생력 증진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A. quisqualis 94013균주의 기주범위에 대하여 오이, 호박, 참외, 멜론, 수박, 박, 딸기, 가지, 토마토, 콩, 팥, 장미에 기생하는 흰가루병균 Sphaerotheca속 6종, Erysiphe속 1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오이 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기생이 가능한 온도 범위는 $12\~30^{\circ}C$이고, 기생 최적온도는 $20\~28^{\circ}C$이였다. A. quisqualis 94013균주는 $20\~35\%$의 저습도에서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기생력이 저조하였다. 또한, A. quisqualis 94013의 기주범위조사에서 오이, 멜론, 수박, 참외, 박, 딸기, 토마토, 가지, 장미 등 12종의 작물을 침해하는 흰가루병균 Sphaerotheca속 6종, Erysiphe속 1종에 대하여 기생성이 있어 기주특이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