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egg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29초

산란계 사료에 첨가된 식물유지류가 난황의 콜레스테롤 농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lant Oils on the Cholesterol Level and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Hen Egg Yolks)

  • 오홍록;관야도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3-193
    • /
    • 1994
  • White Leghorn hens were fed a commercial formula feeds as a basal diet, which was supplemented with 3 types of plant oil safflower, evening primrose and pine seed, at the 10% level for 3 weeks. No significant changes was found between the basal diet and the oil feeding trials in the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the laying rate, the egg weight, and the yolk weight, except the feed intake.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gg yolk lipid, however, the plant oil feedings to hens resulted in considerable increase of $C_{18:2}$ acid with a simultaneous decrease of $C_{18:2}$ acid ,and, consequently,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balance with P /S and P /M /S ratio close to 1.0 and 1:1:1, which is known a desirable ratio for human health in lipid nutrition,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etoxified Rhus verniciflua sap on egg production, yolk lipid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laying hens

  • An, Byoung-Ki;Kim, Je-Hun;Zheng, Lan;Moon, Byung-Hern;Lee, Kyung-W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86-9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detoxified Rhus verniciflua sap (RVS)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lipid fractions of egg yolk, liver and serum, and the profile of cecal microflora in laying hens. Methods: Two hundred 52-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replicates per group (2 hens per cage, 5 cages per replicate) and were provided with one of 4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0.05%, 0.1%, or 0.2% RVS, for 6 weeks. Due to unequal intervals of RVS doses, the interactive matrix language procedure of the SAS program was used to correct the contrast coefficients of orthogonal polynomial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egg weight among the groups. Egg production increased (linearly and quadratical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RVS. Eggshell thickness increased (linear, p<0.05) as the level of RVS in diets increased. The levels of blood cholesterol and activities of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were not altered by dietary treatments. Increasing level of RVS increased (linear, p<0.05) the populations of cecal lactic acid bacteria. The content of yolk cholesterol decreased (linear,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RV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lipid fraction of the liver.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dietary RVS could improve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and affect cecal lactic acid bacteria in a dose-dependent manner.

산란 전용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to Produce Laying-typ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김종대;추효준;강보석;김학규;허강녕;이명지;손보람;서옥석;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52
    • /
    • 2012
  • 본 시험은 토종 실용 산란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종 종계의 산란기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품종 복원 및 토착화한 토종 순종계의 2원교배종 암컷 48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발생된 4교배종 병아리를 각각 A) C계통${\times}$Y계통, B) C계통${\times}$L계통, C) C계통${\times}$ G계통, D) C계통${\times}$W계통으로 하여 총 4처리구로 하고, 교배종에 따라 각각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초산일령은 네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난중과 초산시의 체중은 B계통이 가장 높았다(P<0.05). 20~72주령의 평균 체중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고, C와 D교배종은 A와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으며, A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별로 보았을 때 50주령 이후부터는 4교배종 모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주령에 따른 평균 난중은 50주령 이후에 B교배종의 평균 난중이 가장 높고, D교배종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대체로 A와 B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P<0.05). 26주령의 산란지수는 C교배종이 가장 높은 편이고 B교배종이 가장 낮았으나(P<0.05), 26주령 이후부터는 교배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산란율은 38주령 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교배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68~72주령은 각각 61.0, 51.8, 55.6 및 55.0%로 A교배종이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수정율은 A, B, C 및 D교배종이 각각 89.8, 91.2, 92.4 및 92.8%였다. 부화율은 각 교배종이 69.8, 70.7, 75.5 및 77.4%로 C와 D교배종의 A와 B교배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6~72주령까지 각 구간별로 성적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시기별로 사료를 교체하면서 산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는 산란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종의 산란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토종닭 12계통 난질의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 (Egg Quality Traits and Their Correlations in 12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 김기곤;권일;추효준;박병호;차재범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에서 보존 및 개량 중인 토종닭 순계 5품종 12계통의 난질에 대한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일반능력 분석결과, 난중은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62.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고, 한국재래계 W계통이 47.5 g으로 가장 가볍게 나타났다.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및 난각 무게는 난중에 따라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한국코니시 S, H계통은 다른 계통에 비해 난황 무게가 무겁게 나타났다. 난황색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8로 가장 진하게 나타났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5.7로 가장 연한 색을 보였으며,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차이를 보였다. 난각색은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계통이 7.7로 진하였고, 한국코니시 S와 H계통은 6.2와 3.3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호우유닛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4.2로 가장 높았고, 토종닭 전체의 호우유닛은 79.9로 나타났다. 호우유닛은 품종에 상관없이 계통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난백높이는 호우유닛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난각두께는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와 D계통이 0.342 mm로 가장 얇았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과 K계통의 난각두께는 0.384 mm, 0.393 mm로 두꺼웠으나, 난각강도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대부분 난질형질에서 한국코니시 품종과 한국재래계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유의한 능력 차이를 보였고,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종닭의 난질 형질 간 상관 분석 결과, 난중과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난각 무게는 0.92, 0.52, 0.6으로 정의상관을 보였다. 난백 무게 비율, 난황 무게 비율 및 난각 무게비율 간의 상관은 모두 부의 상관을 보였다. 색에 대한 형질은 대부분의 형질과 상관이 없거나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난형 지수는 대부분의 난질 형질과 상관이 없었다. 난백높이와 호우유닛은 난백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백높이와 0.97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각두께와 난각강도는 난각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남은 음식물발효사료가 산란계의 난생산성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Food waste on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

  • 정승헌;이상락;김철;안정제;맹원재;권윤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2
    • /
    • 200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food waste on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ies in laying hens. A lot of 30 commercial layer(ISA Brown) at the age 58 weeks were placed in individual of 80% commercial feed and 20% fermented food waste(C80%+F20%), a mixture of 50% commercial feed and 50% fermented food waste (C50%+F50%), and a mixture of 20% commercial feed and 80% fermented food waste (C20%+F80%). Daily measurements were made on feed intake,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yolk color, Haugh unit, shell colo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ody weight change and egg cholesterol content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up to 50% of basal diet could be supplied by fermented food waste with little depression in feed intake and efficiency in egg production (p<0.01). Egg weight, egg 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and the control. Egg color quality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fermented food waste in the diet.

  • PDF

한국재래계의 난구성분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의 추정 (Esthnation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Egg Compositional Trs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한성욱;상병찬;이준현;정욱수;상병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9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egg weight and egg compositional traits for breeding plan and selection in Korean native chicken. Data analyzed were the records of 46,908 eggs from 430 layers produced from 180 dam and 26 sire families, from April, 1994 to September, 1995. On egg weight and egg compositional traits at 1st egg, 300 and 500 days of age, the egg weights were 41.489, 49.544 and 52.770g ; the albumin weights were 25.953, 29.979 and 31.288g; the yolk weights were 11.091, 14.541 and 16.368g; shell weights were 4.472, 5.037 and 5.099g, respectively. The estimates of heritability of egg weights and egg compositional traits based on the variance of sires, dams and combined components at 300 days of age were 0.214, 0.226 and 0.720 for egg weight ; 0.307, 0.152 and 0.730 for albumin weight ; 0.124, 0.953 and 0.699 for yolk weight ; 0.047, 0.026 and 0.536 for shell weight.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gg weight and albumen weight was 0.083~0.951 ; 0.310~0.507 between egg weight and yolk weight ; 0.242~0.523 between egg weight and shell weight ; 0. 237~0. 413 between albumen weight and yolk weight ; 0.232~0.449 between albumen weight and shell weight ; -0.264~0.239 between yolk weight and shell weight, respectively.

  • PDF

한국의 계란 가공제품 개발 동향 (Innovative Egg Products and Future Trends in Korea)

  • Yoo, Ick-Jong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4
    • /
    • 1993
  • 한국의 계란 생산량은 1990년도에 39만 3천들에 달하였으며 연간 1만톤 이상이 수입되었다. 이러한 수입량은 해마다 늘어가는 추세이다. 국내 계란 소비는 가정용 계란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가공식품의 비중이 증가하는 소비경향에도 불구하고 향후 추가 수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에서의 계란 가공제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액란과 난분 등 1차 가공품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란 후레이크, 계란 두부 등과 같이 보다 가공된 3차 가공품이 그것이다. 이상의 난가공제품 이외에도 특정 영양소 둥이 강화된 특수란이 사료의 배합과 사양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생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밖에도 계란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공고된 한국 특허를 정리 소개하였다. 앞으로는 영양소를 조절한 계란을 비롯하여 계란을 이용한 편이식품이 점차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저콜레스테롤 계란과 다중불포화지방산이 강화된 계란이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생산될 것이다. 그러나 보다 당면한 문제는 계란의 품질 등급제의 도입과 세척란의 저장성 향상 등과 같이 일반 계란의 유통과 관련된 점들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Different Housing System on the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

  • Hassan, Md. Rakibul;Sultana, Shabiha;Choe, Ho Sung;Ryu, Kyeong Se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1-267
    • /
    • 2012
  • Different housing systems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performance in poultry produc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fferent housing systems on the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and egg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 Hy-line brown pullets (n=450) of 12 weeks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housing systems with 6 replicates of 25 birds in each room. A diet with 2,750 kcal/kg ME and 16.5% CP was assigned to all birds. The pullets provided free access to feed and water.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s for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were found in battery cages, however egg weight, egg shell color and breaking strength was remarkably (P<0.05) higher in floor system. The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attery cages which was statistically similar to aviary housing system. The egg yolk fatty acids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viary and in floor system, respectively, however both values were lower in battery cages.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 in egg yolk did not influence by any housing systems.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floor and aviary housing system than that of battery cage system. It was concluded that in battery cages the egg production and composition maximized, however higher bone mineral density and yolk fatty acids content can be improved in the laying hen reared on floor and aviary housing systems.

산란계 농장 계란 이송라인의 누적충격강도와 파각발생율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Egg Breakage and Cumulative External Forces on Eggs during Egg Collection in Laying Hen Farms)

  • 조동해;권병연;김다혜;김다혜;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농장 내 계란 이송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충격 정도를 파악하고 파란 발생률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창계사 12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여 무선 전자계란(Wireless Egg Node II)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충격 크기는 세척기와 건조기 연결 부분, 컨베이어 연결부분, 트랜스퍼, 정렬기, 집란 엘리베이터, 팩커, 계란 이송 연결부분, 알받이 순으로 나타났으나 농장에 따라 충격정도 및 충격발생 지점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계란의 충격강도와 파란 발생률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회성 충격보다는 누적된 충격의 양에 따라 파각발생이 높았고, 조사 지점에 따라 5~38 G까지 다양하며 총 파각란 발생률도 3.2%~14.5%로 나타났다. 파각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난각 품질이 높은 계란을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난각강도가 우수해도 최종제품에 난각이 파손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실금란 발생을 초래하는 계란이송라인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계에 있어서 방란시간이 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iposition Time on Egg Qualities in Laying Hen)

  • 이춘지;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3
    • /
    • 1987
  • 본 연구는 백색레그흔 산란계에 있어서 초산후 일령의 1일중 방란시간의 경과가 란중, 란각질, 란형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 9월 1일부터 1987년 1월 6일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 산란계 150수를 가지고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산후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방란비율이 오전중에는 감소했고 오후에는 증가했다. 란중은 270일령까지는 증가속도가 빨랐으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다. 란각두께는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얇아졌고 란각강도도 일령이 경과됨에 따라 저하되었으며 란형계수는 커졌다. 1일중 방란시간이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점차 가벼워졌으며 발란시간에 대한 란중의 회귀계수는 -0.6788--0.4170로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0.4170-0.6788g이 가벼워졌다. 란각두께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0377-0.00643mm씩 두꺼워졌으며 란각강도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287-0.0349kg/$\textrm{cm}^2$씩 향상되었다. 그러나 란형계수는 방란시간과 서로 상호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