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egg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9초

계란비축을 위한 저장기법연구 (Studies on the Egg Storage Technology)

  • 김기성;유익종;강통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8
    • /
    • 1989
  • 난황과 난백을 냉동저장 할 경우 발생하는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계란의 효율적인 저장기법을 확립하고자 실시 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황액을 냉동저장할 경우 Gel화가 발생하였으며 난백액의 경우 포립성과 포립안전성이 감소하였다. 2. 난자액의 동결저장중 Gel화 방지를 위한 각종 동결방지제(소금, 포도당, 설탕, 각종 amide류) 종에서 소금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3. 난황액과 난백액을 $-5^{\circ}C$$-20^{\circ}C$에서 냉동저장할 경우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색택의 변화가 일어났는데 난백액의 색택변화는 미약하였다. 4. 난황액에 5% NaCl(소금)을 첨가하여 $-5^{\circ}C$에서 저장하는 방법이 난황의 Gel화를 방지하고 경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5. 소금을 첨가하여 냉동저장할 경우 난황액의 유화특성은 다소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f Dietary Turmer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ies in Laying Hens

  • Park, Sang-Sul;Kim, Jin-Man;Kim, Eun-Jib;Kim, Hee-Sung;An, Byoung-Ki;Kang, Chang-W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2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turmeric powder (TP) on laying performances, egg qualities and its transfer into eggs. A total of two hundred, 60-w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placed in to 5 replicates per group (10 layers each) and fed each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TP (control), 0.10, 0.25 or 0.50% TP, respectively, for 7 wks. Egg production in the all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P<0.05).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egg and eggshell qual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but Roche color fan number (yolk color) in group fed diet with 0.5%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P<0.05).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Haugh units after 2 wk of stor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curcumin content of egg yolk in the groups fed diet containing 0.50%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cholesterol levels of egg yolk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P. It was concluded that dietary TP was effective in improving laying performance and internal egg qualities. TP can be also used as a feed additive for the production of value-enhanced eggs with increased yolk color and curcumin content.

비타민과 미네랄 첨가가 육용종 암탉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amine and Mineral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Breeder Hens)

  • 윤병선;강보석;김상호;최철환;나재천;서옥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1-187
    • /
    • 2000
  • This work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broiler breeder hens upon the addition were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n feeds. Animals were divided into for feed groups such as control, T$_1$,T$_2$and T$_3$, and each treatment has four replications. All broiler breeder hens were housed individually, and were fed with identical iso-metaboilic energy and iso-protein, except for vitamins and minerals. Different sources and levels of vitamins and minerals were added to the basic feeds according to the treatment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s, general laying rate(hen days), average egg weight, hatching egg laying rate(Hen day) every day. Hatching egg weight, sterility, embryo mortality, hatching rate and chick weight were examined. Although, early laying rate in all treatment groups were reduced during cold term management, general egg laying rate was increased only T$_3$group which was contanining vitamin C. However,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rates of general and hatching egg laying. General egg laying rate were somewhat higher of Control, T$_2$and T$_3$ groups than that of T$_1$group. In addition, the laying rates of general and hatching eggs slightly improved in the T$_3$group rat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gg weight was reduced with the increasing of laying rate, showing the highest in the T$_3$group. The laying rate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ose of any other groups. Egg weight was about 65g in T$_3$group. The results of hatching performance for production ability of Broiler breeder hens were fed experimental diet, although the rates of non-hatched and hatched eggs increased in order of Control, T$_1$T$_2$and T$_3$groups. However, the rate of embryo mortality was declined in order Control, T$_1$T$_2$and T$_3$groups.

  • PDF

산란계의 합성종계통에 있어서 부분검정에 의한 선발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Responses in Partial, Residual and Annual Egg Production Expected from Selection on Part Record in Synthetic White Leghorn flock)

  • 오봉국;이정구;이문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2
    • /
    • 1982
  • 본 연구는 산업계의 산란능력을 개량하는데 있어서 부분검정의 효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White Leghorn 합성종계통 선발 1세대의 478수에서 측정된 산란기록을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조사된 형질은 초산일령, 40주령까지의 산란수(P) 및 산란율(P'). 41주령에서 64주령까지의 산란수(R) 및 산란율(R'), 그리고 전체산란수(A) 및 산란율(A') 이었으며, 초산일령부터 40주령까지의 단기검정성적을 다시 세분하여 초산일령에서 22주, 24주, ㆍㆍㆍㆍ, 40주까지 2주씩 더해 나간 기간동안의 산란수(E$_{t}$) 및 산란율(E'$_{t}$), 그 반대로 40주령까지의 성적을 최초의 초산일령 19주령 부터, 2주씩 제외시키고 얻은 나머지 기간의 산란수(S$_{t}$) 및 산란율(S'$_{t}$)을 각각 구하여 상대적 효율을 비교하였다.을 비교하였다.

  • PDF

난백겔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III. 화학변형에 의한 난백겔의 열안정성 변화 (Studies on Heat Stability of Egg Albumen Gel III. Changes of Heat Stability of Egg Albumen Gel by Chemical Modification)

  • 유익종;김창한;한석현;송계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7-223
    • /
    • 1990
  • 화학변형에 의해 난백의 열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acetic anhdride, succinic anhydrice 및 maleic anhydride 등을 사용하여 화학변형 된 난백친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특성을 검토하였다. 난백겔의 경도는 acetylatiorl과 succinylation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고온처리의 경우($120^{\circ}C$, 30분)의 경우가 저온처리의 경우($95^{\circ}C$. 30분)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응집성은 succinylation과 maleylation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고온처리 시에는 화학변화에 의해서 모두 증가되었다, 난백겔의 명도( L value)는 maleylation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황색도( b value)는 화학변형에 의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난백의 초기 열변성온도는 acetylation에 의해 11$^{\circ}C$, maleylation에 의해 $12.5^{\circ}C$ 그리고 sucinylation에 의해 $14.5^{\circ}C$씩 증가하였다.

  • PDF

산란계에 대한 오전용 사료와 오후용 사료의 별도 급여가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Split Diets for a.m. and p.m. on Egg Shell Quality)

  • 이규호;정연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6
    • /
    • 1996
  • 산란계에 대한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별도 급여가 계란의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난각질 조사항목 상호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ISA Brown 갈색산란계 480수를 공시하여 32~36주령과 52~56주령 및 72~76주령에 각각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산란기별로 처리당 60개씩 모두 1,080개의 계란을 수집하여 난각질을 조사하고 난각질 조사항목 상호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란의 비중, 난각 강도, 난각 후도 및 난각 비율등은 모두 오전사료 와 오후사료를 별도급여한 시험구들(T$_1$-T$_{5}$)이 대조구(C)에 비해 향상되었으며(P<0.05), 오후사료의 Ca 수준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경향이었다(P<0.05). 2. 난각질 조사항목간의 상관계수(r)는 0.79~0.90 으로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3. 난각질 조사방법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단순회귀방정식과 다중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 PDF

산란계 사료 내 칼슘 및 무기태 인 수준에 따른 Bacterial Phytase 급여 효과 (The Effects of Supplemental Bacterial Phytase to the Calcium and Nonphosphorus Levels in Feed of Laying Hens)

  • 강환구;박수영;유동조;김지혁;강근호;나재천;김동욱;서옥석;이상진;이원준;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51
    • /
    • 2008
  • 본 실험은 사료 내 칼슘 수준과 fungal phytase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자 21주령 HyLine Brown 산란계 720수를 공시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phytase 첨가 수준 0, 300, 1000 DPU/kg, 칼슘 2수준(3.5, 4.0%), 무기태 인 수준 무첨가(0.095 NPP), 0.5(0.185 NPP), 1.0%(0.275%)를 조합한 $3{\times}2{\times}3$ 요인 시험으로 하였다. 실험 사료는 CP 16%에 ME 2,800 kcal/ 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사료는 실험 전 기간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점등은 17시간으로 하였다. 조사 항목은 산란계의 생산 능력, 계란의 품질이다. 산란율은 fungal phytase 300 DPU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파란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구간별 산란율은 사료의 칼슘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 NPP 무첨가구인 0.095%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다(P<0.05). 평균 난중 및 1일 산란량은 fungal phytase 300 DPU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난중은 사료 칼슘 수준이 3.5%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지만(P<0.05) 1일 산란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 난중 및 1일 산란량은 NPP 무첨가구인 0.095%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사료의 fungal phytase 및 칼슘 수준에 관계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사료내 NPP 0.275, 0.165% 함유된 처리구에서 0.095%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요구율은 사료내 칼슘 및 NPP 수준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fungal phytase 300DPU 첨가구에서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 강도와 두께는 사료의 칼슘 수준이 높을수록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고, NPP 0.275, 0.165%가 함유된 처리구에서 0.095% 처리구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며, 사료내 fungal phytase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Haugh unit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 없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산란계 사료에서 fungal phytase의 적정 수준은 300 DPU이며, 이때 사료내 TCP 첨가량은 권장량 대비 40% 이상 저감 효과가 있었으며, 사료의 칼슘 수준을 높게 하였을지라도 fungal phytase 첨가에 대한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ickness of Egg Shell and Egg Shell Membrane in Silky Fowl)

  • 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1983
  • 본 시험은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변화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시란 120개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의 조사항목은 12개로서 그 평균 성적은 다음과 같았다. 오골계의 란중은 36.58$\pm$0.446g, 난각중량은4.53$\pm$0.079g. 첨단부의 난각 두께는 0.32$\pm$0.006mm, 중단부의 난각두께는 0.32$\pm$0.047mm, 순단부의 난각두께는 0.30$\pm$0.056mm, 첨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중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둔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3$\pm$0.001mm, Breaking strength는 3.06kg$\pm$0.010, 란의 세로길이는 4.80$\pm$0.024cm, 란의 가로길이는 3.82$\pm$0.010그리고 세로/가로는 1.26$\pm$0.005이었다. 2) 12개 조사항목간에서 상관계수를 구하고, 그 유의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난각막의 항목만 제외한 타 항목은 모두 고도의 유의성을 가졌으나. 특이하게 난각막은 타 항목과 유의성이 없었고, 그 계수는 부상관의 수치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

음수가 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between Water Drinking and the Productivity in Chicken)

  • 이상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31
    • /
    • 1994
  •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drinking water in chicken were reviewed. The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wind velocity, egg productivity, feed form, nutrients density, and breed types on the water consumption of chicken were summarized and discussed. Som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in commercial poultry farms were also suggested.

  • PDF

Effects of dietary mulberry leaves on growth, production performance, gut microbiota,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poultry and livestoc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Bing Geng;Jinbo Gao;Hongbing Cheng;Guang Guo;Zhaohong W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065-1076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dietary mulberry leaves on the growth, production performance, gut microbiota,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of poultry and livestock. Methods: The PubMed, Embase, and Scopus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o identify pertinent studies up to December 2022. The effects of mulberry leaf diet was assessed using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calcula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Results: In total, 18 studies that sampled 2,335 poultry and livestock were selected for analysis. Mulberry leaves improved the average daily gain and reduced the feed/meat ratio in finishing pigs, and the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in chicken. In production performance, mulberry leaves lowered the half carcass weight, slaughter rate, and loin eye area in pigs, and the slaughter rate in chickens. Regarding meat quality in pigs, mulberry leaves reduced the cooked meat percentage, shear forc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and increased the 24 h pH and water content. In chickens, it increased the drip loss, shear force, 45 min and 24 h pH, crude protein, and crude ash. Mulberry leaves also affect the abundances of gut microbiota, including Bacteroides, Prevotella, Megamonas, Escherichia-Shigella, Butyricicoccus, unclassified Ruminococcaceae,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and Escherichia coli in poultry and livestock. Mulberry leaves at different doses we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antioxidant capacity in chickens, and immune organ indexes in pigs. With respect to egg quality, mulberry leaves at different doses improved the shell strength, yolk color, eggshell thickness, and eggshell weight. However, moderate doses diminished the egg yolk ratio and the egg yolk moisture content. Conclusion: In general, dietary mulberry leaves improved the growth, production performance,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poultry and livestock, although the effects varied at different d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