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starch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7초

호화점 이하에서 옴가열이 감자 전분의 열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hmic Heating at Subgelatinization Temperatures on Thermal-property of Potato Starch)

  • 차윤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68-1074
    • /
    • 2012
  • Ohmic heating uses electric resistance heat which occurs equally and rapidly inside of food when electrical current is flown into. In other study, we researched about soybean protein's characteristic changes by ohmic heating. Nevertheless treated same temperature, denaturation of soybean protein were accelerated by ohmic heating than conventional heating. In this time, we studied thermal property change of potato starch by ohmic heating besides conventional heating. For this purpose, potato starch was heated at same subgelatinization temperature by ohmic and conventional heating. And thermal properties were tested using DSC. Annealing of starch is heat treatment method that heated at 3~4% below the gelatinization point. DSC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T_o$, $T_p$, $T_c$ of potato starch levels were increased, whereas $T_c{\sim}T_o$ was narrowed. This thermal property changes appear similar to annealing's result. It is thought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because the heating from below the gelatinization point. 6, 12, 24, 72, and 120 hours heating at $55^{\circ}C$ for potato starch, $T_o$, $T_p$, $T_c$ values continue to increased with heating time increase.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aw potato starch was $65.9^{\circ}C$ and the treated starch by conventional heating at $55^{\circ}C$ for 120 hr was $72^{\circ}C$, ohmic was $76^{\circ}C$. The gelatinization range of conventional (72 hr) was $10^{\circ}C$, ohmic was $8^{\circ}C$. In case of 24 hours heating at 45, 50, 55, 60, $65^{\circ}C$ for potato starch, the result was similar to before. $T_o$, $T_p$, $T_c$ values continue to increased and gelatinization range narrowed with heating temperature increase. In case of conventional heating at $60^{\circ}C$, the results of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range were $70.1^{\circ}C$ and $9.1^{\circ}C$. And ohmic were $74.4^{\circ}C$ and $7.5^{\circ}C$. When view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the internal structure of starch heated by ohmic heating was found that the shift to a more stable form and to increase the homology of the starch internal structure.

감자의 수침조건에 따른 전분의 호화 특성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tarch during Steeping Condition of Potato)

  • 정난희;김경애;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31-436
    • /
    • 2000
  •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potato starches which were prepared by steeping at 10 ${\pm}$ 1$^{\circ}C$ or 25 ${\pm}$ 1$^{\circ}C$ for 11 days were investigated. The pasting and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s measured by rapid visco-analyzer (RVA) were increased, but the peak and trough viscosities of potato starch were decreased by steeping. The onset temperature, peak temperature, conclusion temperature, and enthalpy of gelatinization were increased by steeping as measured by DSC. The contents of hot-water-soluble carbohydrate and amylose in potato starch were decreased by steeping.

  • PDF

감자 전분의 첨가가 냉동 반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tion of Potato Starch on the Frozen Dough)

  • 이명구;이종민;장준형;박정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03-4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분을 냉동반죽에 첨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냉동생지의 물리적 특성은 farino-graph. extensograph, amylograph를 통해 측정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전분이 첨가된 냉동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더욱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냉동보관기간에 따라서 측정되었는데 전분을 첨가한 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작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분이 냉동반죽의 냉동보관중 제품열화를 방지함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전분은 냉동보관중 냉동반죽의 효모활성력과 글루텐 망상구조를 냉동장애로부터 보호한다고 생각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여러 전분 중에 특히 감자전분의 첨가가 냉동반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odium Hypochlorite로 산화된 감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dium Hypochlorite Oxidized Potato Starch)

  • 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5-324
    • /
    • 1997
  • 1.5, 3.0, 4.5, 6.0% active Cl/g starch를 포함하는 sodium hypochlorite 용액으로 pH 7.0에서 감자전분을 산화시켜 이화학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산화 전분의 카르복실기 함량은 사용한 활성 염소농도에 비례하였고, 물결합력과 알칼리수, 용해도는 산화 정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청가와 요오드흡착특성에서는 산화에 의해 아밀로오스 구조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광투과도와 DSC에 의한 호화양상에서는 산화 정도가 클수록 낮은 온도에서 호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X선 회절도와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살펴 본 전분 입자의 형태로부터 산화는 주로 입자 표면의 무정형 부분에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플랙서블 아연-공기전지를 위한 천연 고분자 젤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거동 비교 (Comparison of Natural Polymer Based Gel Electrolytes in Flexible Zinc-Air Batteries)

  • 정병진;조용남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533-537
    • /
    • 2022
  • Flexible zinc-air batteries have many merits, including low cost, high safety,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applicability, etc. One of the key facto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lexible zinc-air batteries is to use a gel electrolyte. In this study, gel electrolytes were synthesized from potato, sweet potato, and corn starch. In a comparison of each starch, the corn starch-based gel electrolyte show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of 12.41 mAh/cm2 in 20 mA and 6.47 mAh/cm2 in 30 mA. It also delivered a higher specific discharge capacity of 7.06 mAh/cm2 than the other materials after 100° bending. In addition, the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was analyzed to calculate the ionic conductivity. The potato, sweet potato, and corn starch-based gel electrolytes showed electrolyte resistances (Re) of 0.306, 0.298, and 0.207 Ω,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rn starch-based gel electrolyte delivered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y of 0.121 S cm-1 among the other gel electrolytes. Thus, the corn starch-based gel electrolyte was verif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lexible zinc-air batteries.

화학적 변성 및 생감자 전분이 고지방식이로부터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Modified Potato Starch By Chemically Denatured Treatment and Potato Starch on the Weight Loss, Lipid Metabolism and Redox Antioxidant Syste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박수진;최미경;김진숙;임학태;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51-1257
    • /
    • 2008
  • AIN-93G 식이조성을 기본으로 corn starch를 potato starch로 100% 대치한 고지방식이를 42일간 rat에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 후, GPS군, SPS군, EZ군, H40군으로 나누어 70일 급여한 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체중증가량은 GPS, EZ, H40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 또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혈중 혈당농도, TC, LDL-cholesterol 농도는 변성 전분 섭취 군(EZ, H40군)에서 높았고, atherogenic index는 H40이 다른 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어 H40군이 비만,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간과 신장 조직의 MDA 생성량은 H40군이 혈청 MDA 생성량이 다른 군에 비해 매우 높았고, 간과 신장 조직에서는 EZ, H40군이 낮았다. Glutathione 함량은 각 조직별로 경향이 달랐으나, GP-x활성은 SPS군에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전분을 달리하여 첨가한 고지방 식이가 비만한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알감자 전분을 100% 대치하여 제조한 SPS군 및 효소 처리한 변성전분(EZ)을 100% 대치하여 급여한 군에서 비만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변성전분의 심혈관계 질환 및 혈중 지질 패턴 변화에 관련된 기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생리활성이 규명된 후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별 한국산 감자의 전분 특성 비교(II) -탈지한 감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Korean Potato Starches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fatted potato starch -)

  • 김경애;김선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0
    • /
    • 1989
  • 탈지한 분질과 점질 감자전분의 형태 및 크기, 이화학적 성질, 호화 특성을 생전분과 비교하였다. 감자전분 입자는 복굴성을 갖는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평균 크기가 $22.5~29.8\mu\textrm{m}$이었다. 물결합 능력, 팽윤력 및 용해도는 남작 전분이 데지마 전분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탈지 후에는 두 전분 모두 물결합 능력과 용해도는 감소하였으나 팽윤력은 약간 증가하였다. X-선 회절도에 의한 상대적 결정도는 탈지 후에 다소 감소하였다. 남작과 데지마 생전분의 blue value는 각각 0.37과 0.35이었으나 탈지 후 0.29및 0.28로 낮아졌다. 광투과도는 생전분보다 탈지전분이 더 높았다. DSC에 의한 호화 개시 온도는 생전분의 경우 남작 전분이 데지마 전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전분의 호화엔탈피도 남작 전분이 더 컸으나 탈지후에는 두 전분 모두호화 엔탈피가 감소하였다.

  • PDF

마이크로파 가열방법에 따른 감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 by Microwave Heating Methods)

  • 최옥자;고무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61-467
    • /
    • 1993
  • 마이크로파 가열방법에 따른 감자친분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직접 가열한 전분(A군)과 감자에 마이크로파를 가열하여 분리한 전분(B군)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전분의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하여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나, 유리지질은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감소한 반면, 결합지질은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인의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며 전분에 마이크로파를 직접 가열한 A군 보다 감자에 마이크로파를 가열하여 분리한 전분인 B군의 변화 정도가 컸다. 광학 및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전분입자의 형태와 복굴절현상은 마이크로파 가열방법, 가열시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EM으로 관찰한 입자의 표면형태는 A군의 경우 300초 가열시 약간의 변형이 나타났고, B군은 180초 때부터 표면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변화정도는 A군보다 더 적었다. 물결합능력은 마이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A군, B군 모두 증가되었고, 아밀로오스 함량 및 Blue value는 마이크로파 가열 시간이 길수록 A군, B군 각각 감소하였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각각 감소하였는데 마이크로파 가열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감자전분의 X-선 회절도는 A군의 경우 회절각도$(2{\theta})$ $5.4^{\circ}$에서의 peak 높이가 감소되었으나, B군은 회절선의 변화가 없었고 전체적인 결정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 PDF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녹두, 고구마, 물밤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하드캡슐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Hydroxypropylated Mung Bean, Sweet Potato and Water Chestnut Starches for Hard Capsules Formation)

  • 장정화;고정아;박현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0
    • /
    • 2013
  • 녹두, 고구마, 물밤 전분에 propylene oxide를 0~18% 첨가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을 제조하여 하드캡슐 제조시 젤라틴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RVA 시험결과 propylene oxid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온도와 setback은 감소했고 최고 점도와 breakdown은 증가하였다. 팽윤력은 녹두의 경우 propylene oxide 양이 12% 이상 첨가되었을 때 급격히 증가하였고 고구마와 물밤은 9% 첨가했을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투명도는 녹두가 다른 전분보다 가장 높았으며 propylene oxide 첨가량에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고구마와 물밤의 경우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이 일반 전분보다는 증가했으나 propylene oxide의 양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붕해도 시험에서는 물밤의 경우 propylene oxide 6% 이상 첨가하였을 때 완전히 용해되었고 녹두와 고구마는 12% 이상 첨가되었을 때 완전히 용해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이 젤라틴 또는 동물성단백질을 기본으로 제조된 하드캡슐의 대체제로써 의약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 필름의 물성, 온도와 pH에 따른 붕해도 실험등이 추가 연구된다면 전분 하드캡슐로 상용화도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가열온도(加熱溫度), 시간(時間) 및 첨가제(添加劑)가 감자 전분(澱粉)의 호화(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Time and Additives on Gelatinization of Potato Starch)

  • 장영일;장규섭;윤한교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02-110
    • /
    • 1989
  • 가열조건(加熱條件)을 달리한 감자 전분(澱粉) 호화액(糊化液)의 X-ray diffractogram과 표면구조(表面構造)를 SEM으로 촬영(撮影)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전분입자(澱粉粒子)의 모양은 계란형(鷄卵形) 이었으며, 호화시간(糊化時間)과 호화온도(糊化溫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전분입자(澱粉粒子)는 파괴(破壞)되었고, 완전(完全) 호화시(糊化時)에는 전분(澱粉)의 구조(構造)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료(試料)감자 전분(澱粉)의 구성(構成)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Amylose 함량(含量)과 Blue Value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각각(各各) 23.5%, 0.49%였다. X-ray diffractogram으로 호화도(糊化度)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70^{\circ}C$에서 90 %의 호화도(糊化度)를 보였고, 동일(同一)한 온도(溫度)에서 가열시간(加熱時間)에 따른 변화(變化)는 크지 않았으며, 인산염(燐酸鹽)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호화도(糊化度)도 증가(增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