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harvest ripening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신선편이 단호박 원료의 후숙기간 및 가공 후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winter squash treated with different postharvest ripening periods and packaging methods)

  • 김지강;최지원;조미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4
    • /
    • 2014
  • 신선편이 단호박 원료의 수확 후 적정 후숙 기간과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 단호박 '보짱'을 수확하여 1주, 2주 후숙시킨 다음 1차 수돗물 세척 후 $100{\mu}L/L$의 염소수에 살균소독 세척한 다음 절단하여 $80{\mu}m$ PE/Ny 필름에 진공 및 밀봉포장 하여 $5^{\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였다. 단호박의 후숙기간은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내부의 기체 조성 및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단호박 원료 2주 후숙 처리는 1주 후숙 처리보다 신선편이 제품 저장 중 $CO_2$ 농도가 2.2~5.0 kPa 낮았고, 저장 7일이후 경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당도는 2주 후숙이 1주 후숙처리 보다 2~3%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적색도(Hunter a)도 2주 후숙이 1주 후숙보다 높게 나타났고, 색과 외관에 대한 관능점수가 높아 기호성이 우수하였으며, 이취발생도 적어 저장 3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밀봉포장은 진공포장보다 미생물 수가 적고, 외관에 대한 관능적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호박을 수확 후 2주 후숙한 다음 신선편이 가공하여 밀봉포장하는 것이 신선편이 단호박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후숙 온도가 참다래 저장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pening Temperatures on Incidences of Postharvest Fruit Rots of Kiwifruits)

  • 고영진;이재군;허재선;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01-204
    • /
    • 2003
  • Botryosphaeria dothidea, Diaporthe actinidiae 및 Botrytis cinerea에 의해 발생하는 참다래 저장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참다래 최적 후숙 조건을 조사하였다. B. dothidea와 D. actinidiae의 균사 생육적온은 각각 $26{\sim}35^{\circ}C$$26{\sim}29^{\circ}C$였으며, B. cinerea의 균사 생육적온은 $20{\sim}26^{\circ}C$였으며, 저장병 발병율은 균사 생육적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참다래 과실을 후숙시킬 경우 고온일수록 후숙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후숙과 함께 저장병 발생도 증가하였다. 참다래 과실을 $17^{\circ}C$의 후숙 온도에서 20일 동안 후숙시키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후숙 조건이었다.

'대석조생' 자두(Prunus salicina L.)의 숙기에 따른 1-Methylcyclopropene 처리효과 (The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on the Quality of 'Ooishiwase' Plums (Prunus salicina L.) with Different Ripening Stage)

  • 오소영;임병선;이재욱;이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11-515
    • /
    • 2007
  • Pre-climacteric 단계의 '대석조생' 자두(Prunus salicina L.)를 착색정도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1-Methylcyclopropene (1-MCP, $1\;{\mu}L\;L^{-1}$ for 24 hours at $10^{\circ}C$)을 처리한 후 $10^{\circ}C$에서 유통시키면서 에틸렌 생성 량, 호흡량 경도, 산도, 색도 변화 등의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1-MCP처리에 의한 에틸렌 생성과 호흡량 감소가 모든 숙기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1-MCP는 숙기와 관계없이 경도, 산도, 색도를 유지시키고, 가용성 고형물함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악영향 없이 자두의 품질유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1-MCP를 적용하면 자두의 유통기간을 연장 할 수 있으므로 수확시기를 늦춰 맛있는 자두를 수확하여 유통시켜 소비자에게 좀더 맛있는 자두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과실 선도유지 특성 및 포장기술 고찰 (Review of Quality Changes of Postharvest Fruits and Packaging Applications to Extend Their Shelf Life)

  • 이윤석;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5
    • /
    • 2006
  •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changes in current consumer demands and market trends for postharvest produces, the functional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packaging is becoming increasely significant. This paper focuses on the overview of important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status related to postharvest physiology and applications of the functional packaging materials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ruits after harvest. During postharvest treatment and storage periods, fresh fruits undergoes the ripening process in quality attributes of the fruit such as major changes of texture, color, and flavor. Major fruit packaging technologies are concerned with correct gas permeable film and functions of ethylene removal, antimicrobial, and antifogging substances to keep the effective freshness.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functional packaging in fresh produces were studied.

  • PDF

후숙 온도에 따른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 정평화;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9-474
    • /
    • 2006
  • 본 실험에 사용하였던 미숙성 오미자의 일반성분은 수분 $79.6{\pm}0.8%$, 조단백질 $1.7{\pm}0.5%$, 조지방 $1.2{\pm}0.1%$, 회분 $0.6{\pm}0.0%$이었다. 후숙기간 동안 착즙수율은 $4^{\circ}C$에서는 $55.3{\pm}0.6-56.3{\pm}0.6%$로서 큰 변화가 없었고, $25^{\circ}C$와 실온에서는 6-7% 정도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25^{\circ}C$와 실온 저장시 6일째 $12.2{\pm}0.1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pH는 $4^{\circ}C$와 실온 저장시 후숙기간 동안 pH 2.76-2.81로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25^{\circ}C$ 저장시 초기 pH $2.81{\pm}0.02$에서 점차 낮아져 저장 8일째 pH $2.68{\pm}0.03$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25^{\circ}C$와 실온 저장시 저장 6일째 각각 $7.49{\pm}0.03%$$7.20{\pm}0.03%$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25^{\circ}C$와 실온 저장시 a값(적색도)은 초기 5.04에서 8일째 각각 6.77 및 7.65로 증가하였으며, L값(명도)은 후숙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0.55%), glucose(0.56%), sucrose(0.50%)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후숙이 진행되면서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유리당의 함량은 $25^{\circ}C$와 실은 저장시 초기 1.61%에서 저장 6일째까지 각각 2.53%와 2.13%로 증가하였고, 후숙 8일째에는 각각 1.94%와 2.08%로 감소하였다. 유기산은 후숙 초기에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각각 0.17, 0.07 및 1.21%로서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후숙기간 중 변화는 유리당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오미자의 후숙을 위해서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총 유리당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4^{\circ}C$에서 저장하는 경우 8일동안, 그리고 $25^{\circ}C$ 및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6일 동안 후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농도 이산화탄소와 에틸렌처리가 레드키위의 수확 후 저온저장 중 숙성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igh carbon dioxide and ethylene treatment on postharvest ripening regulation of red kiwifruit (Actinidia melanandra Franch) during cold storage)

  • 양용준;임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8-485
    • /
    • 2017
  • 본 연구는 레드키위 과실의 수확 후 숙성반응에 미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 에틸렌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저장온도 $10^{\circ}C$에 75일 저장 기간 중 레드키위의 숙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과실의 생체 중, 경도, 가용성 당 함량, 유기산 및 시장성 품질 등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레드키위의 생체중은 이산화탄소 처리로 저장 75일후 까지 무 처리와 에틸렌 처리에 비하여 가장 적게 감소된 반면 에틸렌 처리된 과실은 가장 빠르게 감소되었다. 에틸렌 처리과실의 경도는 $10^{\circ}C$ 저온저장 27일 후 4.2kg에서 1.2kg으로 감소된 반면, 이산화탄소 처리된 레드키위 과실은 저장 54일 후까지 1.8kg을 유지하였다. 가용성 당 함량(%)은 에틸렌처리로 $10^{\circ}C$ 저장 27일 후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이산화탄소 처리된 과실에서는 64일 저장 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레드 키위 과실의 유기산함량은 이산화탄소 처리에서 대조 구와 에틸렌 처리된 과실에 비하여 $10^{\circ}C$에 41일 저장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당산 비는 75일 저장 기간 동안 대조 구와 에틸렌 처리된 과일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처리된 키위 과실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이산화탄소 처리가 수확 후 레드 키위 과실의 숙성지연과 시장성 품질유지에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나 향후 키위 산업에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밝혀졌다.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f Kiwiberry in 2015 and 2016

  • Kim, Gyoung Hee;Kim, Deok Ryong;Park, Sook-Young;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434-439
    • /
    • 2017
  • Incidence rates of diseases in kiwiberry orchards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late June to late September in Gwangyang and Boseong in 2015 and 2016. The impact of postharvest fruit rot was investigated during ripening after harvest. Bacterial canker was only observed on one single tree in 2015, but black rot,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were problematic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both 2015 and 2016.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varied with kiwiberry cultivar, region and sampling time. Incidence rates of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diseas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e growing stages near fruit harvest, while black rot peaked in late August. Incidence rate of postharvest fruit rot on fruit without fruit stalks was less than half of fruit with fruit stalks, regardless of kiwiberry cultivars. Among the four cultivars, Mansu was relatively resistant to black ro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In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various potential pathogens of kiwiberry in Korea.

Hexanal Vapor Induced Resistance against Major Postharvest Pathogens of Banana (Musa acuminata L.)

  • Dhakshinamoorthy, Durgadevi;Sundaresan, Srivignesh;Iyadurai, Arumukapravin;Subramanian, Kizhaeral Sevathapandian;Janavi, Gnanaguru Janaki;Paliyath, Gopinathan;Subramanian, Jayasank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133-147
    • /
    • 2020
  • Hexanal, a C-6 aldehyde has been implicated to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hexanal vapor against major postharvest pathogens of banana viz.,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Lasiodiplodia theobromae. The pathogens were cultured in vitro and exposed to hexanal vapor at 600, 800, 1,000 and 1,200 ppm. Mycelial growth of both fungal pathogens were inhibited completely at 800 ppm and the incidence of anthracnose and stem-end rot diseases reduced by 75.2% and 80.2%, respectively. The activities of peroxidase, polyphenol oxidase, phenylalanine ammonia-lyase and glucanase had transiently increased in hexanal vapor treated banana by 5 to 7 days and declined thereafter. Postharvest treatment of banana with hexanal vapor resulted in phospholipase D inhibition and also resulted in cell wall thickening of the treated fruit, which impeded the penetration of the pathogenic spores. This was further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The defense-related protein intermediaries had increased in hexanal vapor treated banana fruit, which suggests induced resistance against C. gloeosporioides and L. theobromae, via., the phenylpropanoid pathway whic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indering the pathogen quiescence. Delayed ripening due to inhibition of phospholipase D enzyme,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by defense enzymes collectively contributed to the postharvest disease reduction and extended shelf life of fruit.

Antagonistic Activ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Apple in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against Blue Mold Caused by Penicillium expansum

  • Lopez-Gonzalez, Rocio Crystabel;Juarez-Campusano, Yara Suhan;Rodriguez-Chavez, Jose Luis;Delgado-Lamas, Guillermo;Medrano, Sofia Maria Arvizu;Martinez-Peniche, Ramon Alvar;Pacheco-Aguilar, Juan Ramir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24-35
    • /
    • 2021
  • Blue mold caused by Penicillium expansum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ostharvest diseases of apples. Some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the surface of ripening apples possess the ability to inhibit the growth of P. expansum.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ir colonization in the stages before ripening is not explored in depth.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antagonistic capacity of bacterial populations from five fruit development stages of 'Royal Gala' appl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density of the bacterial populations decreases throughout the ripening stages of fruit (from 1.0 × 105 to 1.1 × 101 cfu/㎠). A total of 25 bacterial morphotypes (corresponding to five genera identified by 16S RNA) were differentiated in which Bacillus stood out as a predominant genus. In the in vitro antagonism tests, 10 Bacillus strains (40%)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 expansum from 30.1% to 60.1%, while in fruit bioassays, the same strains reduced the fruit rot ranging from 12% to 66%. Moreover, the bacterial strains with antagonistic activity increased in the ripening fruit stage. B. subtilis subsp. spiziennii M24 obtained the highest antagonistic activity (66.9% of rot reduction). Th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nalysis revealed that bacteria with antagonistic activity produce anti-fungal lipopeptides from iturin and fengycin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