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al shopping mall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패션제품에 대한 모바일 쇼핑 사이트 유형별 커머스 전략 연구 (A Study on Commerce Strategies by Mobile Shopping Site Types for Fashion Products)

  • 장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124-133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online fashion shopping site usage by site type and analyzed how product information search and product purchase differ. In ad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eference and selection factors of PC and mobile shopping, we tried to provide basic data of effective mobile commerce operation strategy according to expansion of mobile market in fashion industry. We surveyed the use of 6 types of online sites (portal site, open market, general shopping mall, social commerce shopping mall, brand shopping mall and non-brand shopping mall) to understand the usage of mobile shopping site for consumers' fashion products. Consumer survey subjects were 373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20s who had the most mobile shopping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nline fashion site usage items, internet and mobile fashion shopping preference (6 items),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choice behavior (10 items), and purchase intention (3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program. The high preference of portal sites, open market, social commerce, and non-brand shopping malls in shopping online fashion products is a result of the perceptual changes of major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trends of consumers' value consumption tend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ashion companies to actively cope with fashion product distribution competition with huge shopping sites of current online market by well understanding consumers' preference trends and factors of online sites.

소비자 관점에서 본 온라인 판매 제휴 성과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포털과 인터넷 쇼핑몰간의 판매 제휴에서 태도의 영향- (A Study on the Determinant of On-line Selling Alliance Performance in Consumer‘s Perspective -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the Selling Alliance Between Shopping mall and Portal Site -)

  • 고인곤;홍성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3호
    • /
    • pp.15-36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포털사이트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제휴를 통한 인터넷 쇼핑서비스에 대하여 전략적 제휴의 한 종류인 판매 제휴의 영역에서 소비자의 종합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태도와 제휴 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제휴는 규모 및 활용에서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비슷한 방문자수를 가지고 있는 포털사이트들에 입점한 동일 쇼핑몰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에 착안하여, 이의 원인을 밝히고 사이트 간의 판매 제휴의 성과에 대한 결정 요인을 소비자의 태도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온라인 상에서 제휴하는 두 브랜드(사이트)에 대한 개별적인 태도와 이들 두 브랜드 간의 적합성 인지가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털사이트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태도는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판매 제휴에 있어서는 각 파트너들(포털 및 쇼핑몰)에 대한 사전적인 태도뿐만 아니라 적합성까지도 아울러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포털에 비하여 입점몰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포털이 쇼핑몰 파트너를 선정하는데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쇼핑서비스에 대한 태도에의 영향력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사이트 간의 적합성 인지가 타 요소들에 비하여 영향력이 가장 작은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오프라인과는 구별되는 온라인만의 특성이 잘 나타난 흥미로운 결과이다.

  • PDF

소상공인 패션판매업자의 온라인 판매채널 연구: 포털쇼핑몰과 패션쇼핑몰(종합물/전문몰)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Online Sales Channels of Small Business Fashion Retailers on Portal Shopping and Fashion Shopping Malls)

  • 손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449-46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entering status of small business online fashion retailers on portal shopping and fashion shopping mall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0 research samp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ategic factors of online fashion stores, 'price competitiveness' is important, especially in portal shopping and low-cost brands; 'product assortment' is important but not essential in all platforms; and 'differentiation'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secure loyal customers in fashion shopping malls. Customer satisfaction leads to customer loyalty, and customer loyalty affects the sales conversion rate and brand growth of online sales channels. Factors that promoted sales activities in online sales channels were exposure, advertisements, SNS, events, special exhibitions, and events. Hindrance factors were low price competition, overheated competition, and the MD of sales channels. Second, the research samples used multiple online sales channels, including portal shopping malls and fashion shopping malls, in addition to their own malls. The selection factors were platform reputation and commission, branding, and customer inflow through exposure. Portal shopping malls were perceived as providing easy access, advertising/customer communication, exposure/search, price competitiveness, scalability, and intense competition, whereas fashion shopping malls were perceived as providing a brand image and concept, brand promotion, high commissions, difficult entry, and low profits. The factors for success in portal shopping malls were exposure/search, price competitiveness, and brand recognition, whereas the factors for success in fashion shopping malls were differentiation, brand, exposure/advertisement, product assortment, and MD.

전자무역 포탈사이트의 서비스품질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ervice Quality and the User Satisfaction in e-Trade Portal Sites)

  • 문희철;송우용;황경연
    • 통상정보연구
    • /
    • 제6권1호
    • /
    • pp.77-98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determinants affecting the user satisfaction on e-Trade portal sites in small and medium-sized exporters. The development of our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 of information system, web sites or Internet shopping mall, an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help of a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ive hypotheses are derived and tested.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user satisfaction of e-Trade portal sites is affected by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ease of use of e-Trade portal sites. 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of e-Trade portal sites is enhanced by support for international trade. Our findings will be useful,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planning to build user-oriented e-Trade portal sites.

  • PDF

인터넷 검색기록 분석을 통한 쇼핑의도 포함 키워드 자동 추출 기법 (A Methodology for Extracting Shopping-Related Keywords by Analyzing Internet Navigation Patterns)

  • 김민규;김남규;정인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23-136
    • /
    • 2014
  • 최근 온라인 및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쇼핑구매가 더욱 활성화 되었다.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들은 쇼핑에 관심이 있는 잠재 고객들에게 한 번이라도 더 자사의 링크를 노출시키기 위해 키워드에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검색 광고 시장의 광고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 때 키워드의 가치는 대체로 검색어의 빈도수에 기반을 두어 산정된다. 하지만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로 자주 입력되는 모든 단어가 쇼핑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이들 키워드 중에는 빈도수는 높지만 쇼핑몰 관점에서는 별로 수익과 관련이 없는 키워드도 다수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키워드가 사용자들에게 많이 노출된다고 해서, 이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여 해당 키워드에 많은 광고비를 지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따라서 포털 사이트의 빈발 검색어 중 쇼핑몰 관점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며, 이 과정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 방법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에 입력된 키워드 중 쇼핑의도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워드만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는 전체 검색어 중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쇼핑과 관련 된 페이지로 이동한 검색어만을 추출하여 순위를 집계하고, 이 순위를 전체 검색 키워드의 순위와 비교하였다. 국내 최대의 검색 포털인 'N'사에서 이루어진 검색 약 390만 건에 대한 실험결과, 제안 방법론에 의해 추천된 쇼핑의도 포함 키워드가 단순 빈도수 기반의 키워드에 비해 정확도, 재현율, F-Score의 모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권역 전자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Plan for the activation of an e-market in Gangwon Province)

  • 라공우;민태홍
    • 통상정보연구
    • /
    • 제7권1호
    • /
    • pp.283-307
    • /
    • 2005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the electronic Gw-mart located at Gangwon province. The secondary data and the various other reference materials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is research brings forth the concrete activation plan for the activation of an electronic market in the Gangwon province. So, the activation plan for an e-market at Gang won can be done in six ways, first result of the undertaken research achieved in six ways- first, concentration has to be laid on the internet portal sites, second, the local sites should be well connected with the shopping mall facilities, third, a trustworthy shopping mall has to be established by maintains the product quality and quantity, fourth, a visible distinction should be made between the various products, fifth, the division of labor must be specified and a provisions should be made for a efficient after service.

  • PDF

온라인 외부정보탐색 이용행동에 대한 정보탐색 지식과 쇼핑추구가치의 효과 (The Effect of Information Search Knowledge and Shopping Value on On-line External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황윤용;이창원;최낙환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7-37
    • /
    • 2004
  •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들의 주요 전략적 수단으로써 고려되고 있는 온라인 외부정보원천들의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행동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온라인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정보탐색 지식 수준과 쇼핑추구가치 유형에 따라 소비자 집단들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들이 정보원천들을 이용하는 차이와 각 집단에 영향을 미질 수 있는 정보탐색의 결정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정보원천 이용에 대한 정보탐색 지식수준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탐색지식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일수록 다른 정보원천들에 비해 틈새포털, 비교, 경매사이트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쇼핑추구가치별 정보원천의 이용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용지향적 쇼핑추구가치 집단의 경우 포털경매, 틈새포털사이트 순이었으나, 쾌락지향적 쇼핑추구가치집단의 경우 포털, 경매, 쇼핑몰사이트 순으로 정보원천을 이용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구분한 온라인 정보탐색 유형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 특성 변수들과 웹사이트적 특성 변수들이 외부정보탐색 유형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영향력 면에서는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서 소비자 특성 변수와 웹사이트 특성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달랐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온라인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전략적 마케팅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PDF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모기업 특성이 e-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rent Company Attributes on e-Brand Personalities)

  • 정승화;이유리
    • 복식
    • /
    • 제61권5호
    • /
    • pp.64-76
    • /
    • 2011
  • Consumers attribute human personality to products or stores as well as brands. As brand personality is imprinted to a consumer's mind, in e-commerce, the concept of store personality needs to be examined by comprehending the e-brand personality. Unlike the recent studies that focus primarily on the portal site, we attempt to identify e-brand personality of online shopping malls that sell fashion produc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mpact of the parent company's attributes on e-brand personality. A survey was conducted to 240 females and 240 males in their 20s or 30s. E-brand personality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was evaluated by 160 respondents, respectively. As a result, we found that Internet shoppers perceive that e-brands have four distinct personality dimensions: young, reliable, sophisticated, and creative. Among the four dimensions, "young" and "reliable"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to visit the shopping mall site. Besides, e-brand personality varied with parent companies' attributes such as reputation, credibility, and fashion industry-relatedness. Especially, credibility of the parent company showe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e-brand personality.

온라인쇼핑몰 신한복 스타일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Hanbok Styling of Online Shopping Mall)

  • 임린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68-8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Hanbok styling of online shopping mall, and to also suggest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New-Hanbok styling and develop a progressive plan. The research method was to search six keywords related to 'Hanbok' in the search portal 'Naver' and select 14 Hanbok brand companies. A total of 412 pictures of products for the model used on main screen were analyzed among 14 compani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w-Hanbok sty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New-Hanbok styling showed the unstructured characteristics like unconventional arrangement after getting out of the fixed form of traditional Hanbok styling elements. Secondly, diverse images were represented as the hairstyle and makeup were highlighted as the elements of New-Hanbok styling. Thirdly, the new, fresh, trendy, and fashionable New-Hanbok styling was shown through the mix-and-match of traditional Korean-style accessories and fashion jewelries. However, regarding the New-Hanbok styling shown in online shopping mall, the overlapped items were especially found while the difference in material, pattern, and color required to overcome this problem was insufficient. It was lacking in the styling consistency for the establishment brand image whil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ccessory styling was insufficient. The brand competitiveness of the New-Hanbok could be secured by raising awareness on differentiation, consistency, and importance through the styling elements such as item composition, material, pattern, color, hairstyle, makeup, and accessory of br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