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able navig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시각 장애인을 위한 Android OS 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 설계 및 구현 과 N : N Servi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Android OS Based Portable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N : N Service)

  • 공성훈;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7-330
    • /
    • 2012
  • 도시의 급격한 발전으로 공사의 증가가 증가하게 되고 이동 차량 또한 증가 하게 된다. 이는 자연히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Android 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돕고, 서비스 센터에서 시각 장애인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서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노인이 서비스 센터에 배치되어 노인 인구 증가 문제의 해소 방안도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이 들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Android 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은 GPS, Camera, Audio, wifi를 가지고 있어, GPS위치 정보와 Camera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wifi망을 이용해 서비스 센터로 전송을 하여 주고, 서비스 센터에서 시각 장애인의 GPS Location 정보를 바탕으로 그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Camera 영상 정보로 시각 장애인이 바라보고 있는 곳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Audio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화를 통해서 길안내 해주는 Navigation System이다.

  • PDF

Smart Portable Navigation System 개발 및 1:N 서비스 구현 (Smart Portable Navigation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1:N ser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변재령;서재길;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424-2430
    • /
    • 2012
  • 기존의 개발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를 위한 보조기구는 지팡이에 장착된 RFID 태그를 이용, 표지블록과 RF통신을 하는 정도의 간단한 보행 안내 서비스였습니다. 이는 RFID의 리더기의 인식거리가 짧고, 명확한 장애물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판단 할 수 없다. 이에 위험 사항이나 길안내 중 경로 이탈 발생 시 대책방안이 시급히 필요하다. 오늘 날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혜택과 편리성을 제공 하고 있다. 이에 안드로이드 플랫폼 Client 와 Server(PC)간의 소켓 스트림을 이용, 실시간 영상정보와 음성,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시각장애인의 위험 상황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1:N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Business Method Developing a "Walking" Navigator for Street Shoppers)

  • 이종덕;황기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9-141
    • /
    • 2008
  • 최근 포터블 네비게이션 시장은 전년도 대비 95%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터블 네비게이션 중에서도 보행자 네비게이션에 중점을 두고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로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을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서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은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터로서 제안된 워나비 쇼나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각 구조별로 제안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이와 함께 워나비 쇼나비 시스템 전체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합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워나비 쇼나비 비즈니스 모델의 제안은 보행자용 네비게이터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임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현재의 시장경제 체제하에서 완전경쟁시장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PHUND (Portable Head Up Navigation Display) for a Motor vehicle

  • Shin, Sung-Chul;Hahn, Sang-Hoon;Chi, Yong-Seok;Ahn, Tae-Jeong;Choi, Ho-Young;Park, Tae-Soo;Kim, Sung-Ta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421-424
    • /
    • 2007
  • We have succeeded in designing a PHUND (portable head up navigation display), which has a compact system with a MD panel and full color display device using RGB LED sources. The PHUND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built-in type HUD system targeting the high volume aftermarket with an affordable price.

  • PDF

승객 휴대 전자기기 사용에 대한 위해요인 식별 및 리스크 평가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for the Use of Passeng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임인규;김무근;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88-294
    • /
    • 2018
  • 항공기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고정된 모니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승객 개인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이로 인해 기내 설비는 간소해진 반면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전기 충전으로 안전에 대한 리스크는 증가되었다. 송신 기능이 없는 개인 휴대전자기기와 달리 와이파이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T-PED)의 사용이 허용되고 기내에서 배터리의 충전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 무선 환경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NASA 항공안전보고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내 전자기기 사용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항공기 안전관리 관점에서 비행 중에 발생된 객실 전자장비나 승객 휴대용 전자기기(특히 스마트폰)로 인한 이벤트 발생 사례를 공유하여 개인용 전자기기의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잠재적 위해요인의 식별과 리스크 평가 작업이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리스크 완화 전략이 제시되었다.

해상교통특성과 계류중인 선박의 Roll 동요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oll Motion of Moored Ships Using Marine Traffic Characteristics)

  • 권유민;이진석;이홍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4-80
    • /
    • 2021
  • 부두가 항로와 인접한 위치에 건설되었을 경우 계류선박은 항행 선박에 의해 발생되는 항주파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ortable 계측시스템을 제작하여 실제 선박의 Roll 동요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Roll 동요량은 하역안전성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실제 선박의 계측 결과에서는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시간대가 분석되었다. 하역안전성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Roll 동요량은 총 18회 분석되었으며, 이 중 다른 시간대의 영향을 받은 3회를 제외한 15회의 상황 중 11회(73.3%)의 상황이 목포-제주간을 운항하는 총톤수 10,000톤 이상의 여객선이 입항하는 시간대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하역안전성 평가 시 해상교통특성 반영을 제안하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선박의 하역안전성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Navigation System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공성훈;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702-2707
    • /
    • 2012
  • 도시의 급격한 발전으로 공사가 증가하게 되고 이동 차량 또한 증가 하게 된다. 이는 자연히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Android 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돕고, 서비스 센터에서 시각 장애인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서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노인이 서비스 센터에 배치되어 노인 인구 증가 문제의 해소 방안도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이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Navigation System은 GPS, Camera, Audio, wifi를 장착하고 있다. GPS위치 정보와 Camera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wifi망을 이용해 서비스 센터로 전송을 하여 주도록 설계 하였다. 서비스 센터에서 시각 장애인의 GPS Location 정보를 바탕으로 그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Camera 영상 정보로 시각 장애인이 바라보고 있는 곳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Audio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화를 통해서 길안내 해주는 Navigation System이다.

ARM Cortex-A9 Platform기반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Navigation System 구현 (Navigation system for the people who are visually impaired using ARM Cortex-A9 Platform)

  • 임익찬;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5
    • /
    • 2013
  • 기존의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보행 보조도구는 초음파, 혹은 RFID 태그를 이용한 간단한 장애물을 식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인식거리가 짧아 명확한 안내가 불가능하고, 돌발 상황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ARM Cortex-A9 Platform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과 Service Center를 구현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고자 한다. Service Center에는 노인을 적극 고용하여 노령 인구의 증가에 따른 해소 방안도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이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Navigation System은 Camera, GPS, Audio, Ethernet 등의 장치를 탑재하고 있어 시각장애인의 위치에서 보이는 영상과 GPS 정보, 음성을 TCP/IP를 통해 서비스 센터로 실시간 전송한다. 서비스 센터의 직원은 전송 받은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시각 장애인과 대화형식을 통해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PND 의 내진특성 개선 (Anti-vibration and Shock-resistant Design for Personal Navigation Device)

  • 황효균;하상우;유승헌;최인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61-862
    • /
    • 2008
  • One of trend of portable devices is convergence with other devices, especially with navigation system. This converged system is generally called PND (Personal Navigation Device). This detachable device is developed for personal entertainment in everyday life and navigation system when deriving, so it should meet the specification of vehicle thermal environment, anti-vibration as well as the anti-shock by sudden drop. In this paper, the way to design the hard disk drive damper with CAE, is introduced to get a reliable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 step.

  • PDF

An Analysis of Future Ship Operation System under the e-navigation Environment

  • An, Kwang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9-265
    • /
    • 2015
  •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e-navigation is beneficial to prevent collision and grounding of 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present a future ship operation system under the e-navig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clear direction for the design of Korean e-navigation system. The future ship operation system consists of shipboard navigational system, shore supporting system and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ship operation system was discussed separately into SOLAS ships and non-SOLAS ships in this study. In SOLAS ships, mariners become a system manager, choosing system presets, interpreting system output, and monitoring vessel response. In small ships and fishing vessels, mariners may enjoy their navigation by using the automatic tracking of ship's position on the portable electronic chart display. The improved bridge design, integrated and harmonized navigational system and single window reporting will reduce significantly the administrative and physical workload of mariners. Mariners can concentrate their attention more on navigational duty under the e-navigation environment. To build an effective Korean e-navigation system, the essential navigational functions and e-navigation services for small ships and fishing vessels must be identified and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user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