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productivity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4초

시뮬레이션 기반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측정 전략 (The Simulation-based Strategy of Measuring Productivities in the Container Terminal)

  • 박병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60
    • /
    • 2002
  • Apart from the DEA method, the traditional measuring systems of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ies generally bring to light the partial productive efficiencies, because they evaluate only the productivity of each individual facility. However, these methods do not play roles of the reasonable productivity measure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efficiencies of terminals to meet the requirement of terminal customers like as shipping lines, shippers, etc. with the cutthroat competition in container handling market. As the suppliers of service, the terminals struggle to cope with the needs of buyers' markets due to the lack of suitable criteria to measure the efficiencies. Therefore, this paper uses the simulation approach to reveal which strategies enhance the productivities through the container terminal analysis. An additional intent of this paper is to build the active strategies to present what the experimental indexes like as norm-time exactness ratio, norm-time excess ratio, etc. compare between terminals to measure the total productivities for the age of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However, the experimental productivity indexes presented in this paper require a validation of the exact usefulness, by consideration from all angles in the future, and a development to more reasonable measuring method/indexes for the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ies.

  • PDF

어항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conomic Appraisal of Fishing Port Investments)

  • 정형찬
    • 수산경영론집
    • /
    • 제14권2호
    • /
    • pp.15-68
    • /
    • 1983
  •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e fishing port is the complex of installations on land, organized to serve the fishing fleet and its cargo, and is the main link in the production chain of all components of the fishing industry, with the aim of achieving the planned targets with the minimum cost. Fishing port investment decisions have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aims of Korean fisheries. Fishing port investments in Korea are made mostly by public or semipublic port authorities. Such investments should be judged not purely on the basis of financial profitability but rather on the extent to which they serve the development aims of the fishing industry. This makes the economic appraisal process more complex and presents certain problems in correctly quantifying the economic costs and benefits of the fishing port projects. This study concentrates more on the theoretical economic appraisal models than on the purely financial aspects of fishing port investments and points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aches. In the result, there is clearly an element of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a shadow price needs to be used in estimating economic benefits and costs. From this viewpoint, some attempts are made to provide definitions of the possible economic benefits and cost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nd evaluating them in Part III and IV. Especially queueing theory is applied in the calculation of economic benefits. When a project is contemplated and analysis shows it to Lave a positive NPV, one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it should be implemented now or delayed. In this paper, the first year rate of return method is regarded as a more concise way of solving the timing of investment, At the end of Part IV, risk analysis of fishing port investments is considered. It can be handled in a number of ways, ranging from informal judgment to complex statistical analyses involving large-scale computer models, This paper recommends that evaluators of fishing port investments use the sensitivity analysis indicating exactly how much NPV will change in response to a given change in an input variable, other things held constant. Decisions regarding the amount of capacity to provide must be made in fishing port investments. Providing too much service would involve excessive capital costs. On the other hand, not providing enough service capacity would cause the waiting line of fishing vessels to become excessively long at times. Therefore, in Part V, the optimal number of berths and berth productivity in fishing port are defined as follows: Minimize E(TC) = E(WC)+E(SC) The minimum of this function is the solution and that is the optimal number of berth and berth productivity in fishing port.

  • PDF

자동화터미널의 ATC 운영전략 개발 (A Development on the ATC Operation Strategy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김우선;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개발예정인 자동화터미널에 적용가능한 효율적인 ATC 운영로직을 개발하기 위해서 ATC 장비 운영전략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ATC의 효율적인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동적운영로직을 개발하고, 단순한 할당규칙을 수립하여 시뮬레이션 실험으로 로직검증을 하였다. 실험결과 ATC 생산성 저해요인인 간섭을 최소화하는 간섭최소화전략과 능동적인 간섭회피전략이 ATC의 대기시간 및 간섭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ATC의 운영효율성을 향상시켜서 자동화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하역차량(ALV:Automated Lifting Vehicle)의 주행구동장치 시험 (The Test of Gantry Travel Mechanism of ALV(Automated Lifting Vehicle))

  • 김우선;김승남;정한욱;고일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17-323
    • /
    • 2006
  • 본 시험의 목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술개발 추진 중인 컨테이너 자기하역차량(ALV:Automated Lifting Vehicle)의 핵심 기술개발 요소 중 하나인 주행구동장치 (Gantry Travel Mechanism) 시제품을 제작하여, 무부하 및 부하 조건에서 각종 Test와 한계하중 실험 과정을 통하여 설게 Data의 확인과 상세 제작도면의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여 최종 제작도면에 수정 반영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장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자동화크레인의 가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leration Characteristics for Automated Rail Mounted Crane)

  • 김환성;김명규;짠록황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5-216
    • /
    • 2009
  • 종래의 크레인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최단 시간내에 작업을 행하는 최단시간제어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률 위해서 목표 위치에 대해서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속도 패턴에 따라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항만에서도 녹색항만정책에 의해 에너지의 고효율 사용법이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ARMC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ARMC의 3D 모델링을 행하며 ARMC의 가속도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먼저, ARMC의 비선형방정식을 통한 3D 상태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ARMC의 가속도 특성을 고찰하여 이상적인 경제적 운전 방법에 대해서 고찰한다.

  • PDF

지역에 따른 육상운송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The Changes of Technical Efficiency and Malmquist Productivity of Land Transportation by Region)

  • 박홍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9-77
    • /
    • 2012
  • 육상운송은 서비스 제공자의 공급초과에 따른 구조적 문제와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개선하기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육상화물운송시장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지역별 물류구조를 지역의 산업특성에 따라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역별 육상운송의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을 연구하였다. 사용한 자료는 각 시도별 육상운송물류의 5개년(2005-2009)간의 균형패널자료(balanced panel data)이용하였다. CCR과 BCC 분석에서 2005년-2008년 까지는 울산광역시가 가장 효율적이다. 2009년은 서울 특별시가 가장 효율적인 DMU이다. Window 분석결과는 광주광역시와 강원도가 0.062로 나타나 가장 안정적이다. Malmquist 생산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경우 4기간 평균 생산성지수는 약 6.6%와 7.3%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물류정책에서 육상운송의 구조개혁에 따른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야드 트랙터 대기시간을 고려한 크레인 듀얼 사이클 계획 (Quay Crane Dual-cycle Plan considering Yard Tractor waiting time)

  • 정창윤;신재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0-221
    • /
    • 2009
  •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 생산성 지표 중에 하나는 안벽에서의 작업 생산성이다. 안벽 크레인(QC)의 작업 일정은 안벽 작업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최근 터미널 관리자들은 안벽 작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로운 개념의 장비도입과 운영 방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더블 사이클이나 듀얼 사이클은 새로운 장비를 도입하지 않고 운영상의 변화만으로 안벽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대다수의 연구들은 안벽 작업을 병목으로 인식하고 거기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안벽 크레인이 야드 트랙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더 많은 대기 시간이 발생하게 되어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야드 트랙터를 고려한 듀얼 사이클 운영을 위한 크레인 일정계획에 대해 해법을 제시하겠다.

  • PDF

항만에서 최적 생산성 및 서비스 수준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Software Development for Optimal Productivity and Service Level Management in Ports)

  • 박상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7-148
    • /
    • 2017
  • 항만의 서비스 수준은 항만의 운영 및 관리 주체인 터미널운영사(TOC), 항만공사 및 정부의 입장에서 항만간 경쟁력의 기준이 되며, 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사 및 화주의 입장에서는 어느 항만을 선택할 지를 결정하는 중요 지표로도 활용된다. 이러한 지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컨테이너 부두 및 벌크부두를 대상으로 중요 서비스 지표인 선석 점유율,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과 같은 6개 지표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컨테이너 부두는 1개 선석부터 6개 선석까지와 벌크 부두는 1개 선석부터 4개 선석까지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6개의 서비스 지표를 산정하여 예측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선석점유율 대비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추가하여 선박의 도착 패턴에 따라 선박 대기율과 항만의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도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TOC 입장에서는 서비스 지표인 선박 대기율과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의 관계에서 최적의 운영 수준을 전략적으로 선택(Trade-off)할 수 있으므로 경쟁 항만에 대비하여 더 많은 선사 및 화주를 유치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수입도 극대화할 수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이송장비 풀링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ansfer Equipment Pooling Systems for Enhancing Productivity at Container Terminals)

  • 차상현;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9-407
    • /
    • 2014
  • 컨테이너터미널의 증가로 터미널 물량이 분산되어 기존 물동량 보존과 새로운 물동량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터미널 물동량 처리 능력과 유치에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은 물동량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신 장비 확충과 최신 터미널 시스템 개발을 통해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 극대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게 존재 한다. 그중 야드 이송장비의 경우, 특정 선석크레인(GC, Gantry Crane)에 야드 트랙터(YT, Yard Tractor)가 고정 할당되는 방식에서 다수 선석크레인(GC, Gantry Crane)에 야드 트랙터(YT, Yard Tractor)가 적절하게 분산 할당 방식으로 처리하는 Pooling System으로 전환하게 되면 터미널 생산성과 YT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지표가 되는 KPI는 GC 생산성이고 GC 생산성은 물리적인 GC 작업 속도를 넘어설 수 없기에 Pooling System 적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의미와 효과는 크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송장비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Pooling System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제로 컨테이너터미널에 적용하여 Non Pooling System과 Pooling System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이송장비 풀링시스템을 도입하여 타 터미널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함으로써 터미널 비즈니스에 있어 지속적인 서비스 질과 수익성 향상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가 있다.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를 이용한 한국 조선 산업의 생산성 변화 (Analysis on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 박석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64
    • /
    • 2018
  • 본 고는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1-2008년, 그 이후인 2008-2015년 두 기간 동안 조선 산업의 생산성변화를 기술효율성변화, 순효율성변화, 규모효율성변화, 기술변화로 구분하여 측정함과 동시에 두 기간 동안 생산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전반기(2001-2008년)에는 2.8%의 생산성 향상되었으며, 이는 기술효율성 보다는 기술진보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후반기(2008-2015)에는 -3.4%의 생산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세계경제의 침체로 인한 선박수주 물량의 감소, 중국 조선 산업의 부상 등으로 인해 기술효율성 저하, 기술퇴보 등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중 전반기 가 후반기보다 생산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 기간 간에 이러한 차이는 기술변화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즉, 기술 퇴보는 생산성 감소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검증을 통해서도 이를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부 그리고 각 DMU들은 향후 생산성 증대를 위해, 글로벌 조선 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신기술개발 그리고 비효율적 요인을 제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