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carcass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1초

비육돈 생산단계에 따른 도체 및 부분육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Meat Yields of Fattening Pigs by Production Step)

  • 김진형;박범영;유영모;조수현;김용곤;이종문;윤희진;김경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93-800
    • /
    • 2002
  • 본 연구는 수출규격돈 생산과 고품질 돈육 생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도체 및 부분육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도체중량에서는 듀록종이 원종, $F_1$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적었다(p<0.05). 거래정육중량은 요크셔종과 $F_1$종이 다른 원종과 비육돈에 비하여 높은 반면 듀록종이 가장 낮았다(p<0.05). 도체길이는 랜드레이스와 $F_1$종이 다른 원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고(p<0.05), 도체폭은 $F_1$종이 다른 순종 및 비육돈 보다 넓었다. 도체후도는 $F_1$종과 비육돈이 원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안심과 등심의 생산량은 랜드레이스와 요크셔 및 $F_1$종이 듀록 및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듀록이 가장 적었다(p<0.05). 목심 생산량은 요크셔와 $F_1$종이 다른 순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생산되었고(p<0.05), 듀록과 랜드레이스종이 가장 낮았다. 삼겹살 생산량은 듀록종이 낮았으며, 뒷다리는 요크셔와 $F_1$종이 다른 순종과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생산되었고, 앞다리는 요크셔종이 생산량이 많았다(p<0.05). 일본 수출 기준에 따른 등심 합격율은 전체적으로 대단히 낮았고, 안심 합격률은 랜드레이스종이 100%로 가장 높았다. 앞다리와 뒷다리 합격률은 요크셔종이 각각 90.91%, 87.88%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육돈의 부분육 및 수출규격육 생산이 미흡하므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순종의 도입과 교배체계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Phase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in Finishing Pigs

  • Han, In K.;Kim, J.H.;Chu, K.S.;Xuan, Z.N.;Sohn, K.S.;Kim,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559-56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regimen on the growth and nutrients excretion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80 pigs (59.91 kg BW) and 6 pigs (85 kg BW) were employed in a growth trial and metabolic trial, respectively. Treatments were grower-grower (GG), grower-early finisher(GE), early finisher-early finisher (EE), and early finisher-late finisher (EL) diet feeding regimens for feeding trial and G, E, L diets for metabolic trial. Through whole experimental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ny of the criteria measured. Pigs fed on a GG regimen gained slightly faster than pigs fed on other feeding regimen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there was a trend that pigs fed on a GG or GE regimen showed improved feed/gain over pigs fed on a EE or EL regimen, the difference also was not significant. In the metabolic trial, dry matter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diets, however, phosphorus digestibility tended to be decreased as nutrients contents was decreasing in the diets.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nutrients contents in th diets. The data suggested that 11.7% crude protein seemed to be low for the 85 kg pigs. Though nutrients excretion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etary treatment except phosphorus, there was a trend that pigs fed diets with low nutrient content excreted less amou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than pigs fed diets with high nutrients content. There was a trend that GG or GE feeding regimen gad a favorable effect on carcass grade when only 10 lighter pigs of each treatment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However, with 10 heavier pigs, EE and EL feeding regimen showed better carcass grade,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summary, it seemed that producers generally oversupply the expensive nutrients for the finishing pigs. High nutrient diets do not always guarantee high growth rate of pigs. It rather seems that to meet nutrient requirements for the each growth phase is more important in economical pork production.

두록과 교잡돈(두록×재래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과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ion of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s between Duroc and corssbred pigs (Duroc × Korean native pig))

  • 김두완;김기현;홍준기;조규호;사수진;김용민;박준철;설국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고유 특성을 살린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체특성은 DK1이, 육질특성과 지방산조성은 DK2가 두록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재래돼지를 활용한 우수한 육질의 돼지 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ssoci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2 genotypes with grow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pigs

  • Prasongsook, Sombat;Choi, Igseo;Bates, Ronald O.;Raney, Nancy E.;Ernst, Catherine W.;Tumwasorn, Sornthep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9호
    • /
    • pp.31.1-31.11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ssociation of variation in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2 (IGFBP2) gene with grow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pigs. IGFBP2 is a member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family that is involved in regulating growth, and it maps to a region of pig chromosome 15 containing significant quantitative trait loci that affect economically important trait phenotypes. Results: An IGFBP2 polymorphism was identified in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MSU) Duroc ${\times}$ Pietrain $F_2$ resource population (n = 408), and pigs were genotyped by MspI PCR-RFLP. Subsequently, a Duroc pig population from the National Swine Registry, USA, (n = 326) was genotyped using an Illumina Golden Gate assay. The IGFBP2 genotypic frequencies among the MSU resource population pigs were 3.43, 47.06 and 49.51 % for the AA, AB and BB genotypes, respectively. The genotypic frequencies for the Duroc pigs were 9.82, 47.85, and 42.33 % for the AA, AB and BB genotypes, respectively. Genotype effects (P < 0.05) were found in the MSU resource population for backfat thickness at $10^{th}$ rib and last rib as determined by ultrasound at 10, 13, 16 and 19 weeks of age, ADG from 10 to 22 weeks of age, and age to reach 105 kg. A genotype effect (P < 0.05) was also found for off test Longissimus muscle area in the Duroc population. Significant effects of IGFBP2 genotype (P < 0.05) were found for drip loss, 24 h postmortem pH, pH decline from 45 min to 24 h postmortem, subjective color score, CIE $L^*$ and $b^*$,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sensory panel scores for juiciness, tenderness, connective tissue and overall tenderness in MSU resource population pigs. Genotype effects (P < 0.05) were found for 45-min pH, CIE $L^*$ and color score in the Duroc population.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ssociations of the IGFBP2 genotypes with grow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pigs. The results indicate IGFBP2 as a potential candidate gene for growth rate, backfat thickness, loin muscle area and some pork quality traits.

계절과 성분리 사육이 비육돈의 생산성, 스트레스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ason and Split-sex Feeding on Performance, Stress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s)

  • 김두환;송준익;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4
    • /
    • 2011
  • 본 연구는 계절과 성 분리가 생산성, 스트레스, 도체품질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름과 겨울로 계절을 나누고 각 계절별 암컷구, 거세 수컷구 및 혼합구를 설정하고 평균체중 $82.1{\pm}0.82kg$인 삼원교잡$(LY{\times}D)$ 비육돈 270두를 공시하여 비육돈 생산성과 출하 과정의 스트레스 및 도체품질과 육질을 분석하였다. 사료섭취량은 겨울에 많았고 증체 또한 겨울에 우수하였다 (p<0.05). 성 분리는 사료요구율에 영향을 미치며, 겨울과 혼합구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상차 후 혈중 cortisol과 CPK치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차시 극도의 스트레스가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차시 급격한 상승을 보였던 혈중 cortisol과 CPK 농도는 수송과정에 낮아지며, 3시간 계류 후에는 출하 전 수준으로 안정되었다. 상차 후 계절 관계없이 혼합구가 가장 높은 cortisol 농도를 보여 돈 방내에서의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거세 수컷 혹은 암컷만으로 구성된 돈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도체품질은 겨울에 우수하였고 PSE 발생율 또한 겨울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름철 거세 수컷구가 가장 높은 PSE 발생율을 나타내었으나 겨울철 혼합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계절과 성 분리가 돼지고기의 pH, drip loss 및 육색 등 육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여름철에 비육돈 관리 특히 출하취급에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성 분리는 관리자, 시설 등 농장여건에 따라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송시간이 돼지의 혈액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ort Time on the Blood Profile and Meat Quility of Slaughter Pigs)

  • 이제룡;서종태;허태영;정재두;하영주;이진우;이정일;이중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57-864
    • /
    • 2003
  • 여름철 수송시간이 돼지의 혈액성상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생체중 110kg 내외의 비육돈 120두를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수송시간은 농가에서 도축장까지 20분과 2시간으로 하였고 계류는 약 1시간 30분 실시하였다. 돼지 혈액은 도축장 하차직후 채취하였다. 관행적인 방법으로 도축 후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도축 1시간 후 pH$_1$과 도체의 피부손상을 측정한 후, 도체를 냉각시키고 사후 24시간에 최종 pH$_{u}$ 및 돈육품질을 조사하였다. 20분과 2시간 수송사이 도체중, 등지방두께 및 도체등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돼지의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Cortisol과 물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측정하는 LDH는 2시간 수송이 20분 수송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중 pH$_{u}$는 20분 수송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가열 감량, 육즙 감량 및 경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IE L$^{*}$, a$^{*}$ b$^{*}$와 주관적인 육색인 NPPC에도 수송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또한 도체의 피부손상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돈육품질은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시간 수송한 돼지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the slaughter weight of non-lean finishing pigs on their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 Oh, Sang-Hyon;Lee, Chul Young;Song, Dong-Heon;Kim, Hyun-Wook;Jin, Sang Keun;Song, Young-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2호
    • /
    • pp.353-364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increasing the slaughter weight (SW) of non-lean finishing pigs to improve their meat quality. A total of 36 (Landrace × Yorkshire) × Duroc gilts and barrows were slaughtered at 115 (Av), 125 (Hi), or 135 (XHi) kg, followed by physicochemic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on their longissimus dorsi (LD) and Semimembranosus (SM) muscles. Backfat thickness was greater (p < 0.05) for the XHi (31.2 mm) and Hi (29.3 mm) groups than for Av (25.0 mm). Dressing percentage and yield of the belly per whole carcass were also slightly greater for XHi and Hi vs. Av. The intramuscular fat (IMF) content of SM was greater for XHi (2.64%) than for Av (1.83%) and Hi (2.04%) and also was correlated with SW (r = 0.55). The pH value, lightness, redness, drip loss, shear force, and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LD and SM, as well as IMF content of LD, were unaffected by SW. Percentages of 14:0, 16:0, and total saturated fatty acids (FA) were less for Hi and XHi vs. Av in SM, those of total unsaturated FA, 18:2, 20:4, and n-6 being opposite; FA composition of LM was not influenced by SW except for a reduced 18:0 percentage for XHi vs. Av. The sensory score was less for XHi vs. Av for odor in fresh LD and SM, and less for Hi and XHi vs. Av for aroma in fresh LM; scores for color, drip loss, marbling, and acceptability were unaffected by SW. As for cooked muscles, none of the scores for color, aroma, flavor, juiciness, tenderness, and acceptability was affected by SW, except for a greater LD color score for Hi and XHi vs. Av. Coll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yield of the carcass and belly due to increased SW is outbalanced negatively by excessive backfat deposition in production efficiency, whereas the SW increase exerts little influence on overall sensory quality of fresh or cooked meat. Production of non-lean market pigs overweighing 115 kg therefore will be uneconomical unless consumers pay a substantial premium for the over-fattened pork.

Objectively Predicting Ultimate Quality of Post-Rigor Pork Musculature: II. Practical Classification Method on the Cutting-Line

  • Joo, S.T.;Kauffman, R.G.;Warner, R.D.;Borggaard, C.;Stevenson-Barry, J.M.;Rhee, M.S.;Park, G.B.;Kim, B.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77-85
    • /
    • 2000
  •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ssessing method of pork quality, 302 carcasses were selected randomly to represent commercial conditions and were probed at 24 hr postmortem (PM) by Danish Meat Quality Marbling (MQM), Hennessy Grading Probe (HGP), Sensoptic Resistance Probe (SRP) and NWK pH-K21 meter (NpH). Also, filter paper wetness (FPW), lightness (L*), ultimate pH (pHu), subjective color (SC), firmness/wetness (SF) and marbling scores (SM) were recorded. Each carcass was categorized as either PSE (pale, soft and exudative), RSE (Reddish-pink, soft and exudative), RFN (reddish-pink, firm and non-exudative) or DFD (dark, firm and dry). When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sort carcasses into four quality groups the highest proportion of correct classes was 65% by HGP, 60% by MQM, 52% by NpH and 32% by SRP. When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bined to sort carcasses into groups the success was only 67%. When RSE and RFN groups were merged so that there were only three groups (PSE, RSE+RFN, DFD) differentiating by color MQM was able to sort the same set of data into the new set of three groups with 80% accuracy. The proportions of correct classifications for HGP, NpH and SRP were 75%, 61% and 35% respectively. There was a decline in predication accuracy when only two groups, exudative (PSE and RES) and non exudative (RFN and DFD) were sorted. However, when two groups designated PSE and non-PSE (RSE, RFN and DFD) were sorted then the proportion of correct classification by MQM, HGP, SRP and NpH were 87%, 81%, 71% and 66% respectively. Combinations of variables only increased the prediction accuracy by 1 or 2% over prediction by MQM alone. When the data was sorted into three marbling groups based on SM this was not well predicted by any of the probe measurements. The best prediction accuracy was 72% by a combination of MQM and NpH.

탈모방법과 성별이 돈육질 및 냉장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hairing Methods and Sex on Pork Quality and Cold Storage Stability)

  • 이상훈;임광수;최영민;류연철;김병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4-319
    • /
    • 2007
  • 본 연구는 도축과정 중 탕침법과 박피법의 탈모기법이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식육의 냉장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탈모기법에 따른 온도체중과 등지방은 탕박을 실시한 처리구가 박피 처리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등심 근의 온도에서도 등지방이 두껍고 도체중이 무거웠던 탕박 거세돈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H와 육색에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보수력의 경우는 탕박과 박피 처리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탕박법에 의해 탈모된 처리구에서 보수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냉장 저장 중 지방산패에 의한 TBA 측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 1일 탕박 거세 돈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와 더불어 대부분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Metmyoglobin의 경우 저장일 별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BA측정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의 경우도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며 저장 7일과 14일 사이에 급속하게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14일 이후에는 완전 부패하였다.

출하 전 마그네슘 단기급여가 돼지의 혈중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 함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MgSO_4$ Supplement on Serum Stress Hormones Concentrations and Pork Quality in Late Finishing Pigs)

  • 성필남;이종언;조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6-70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축장 현실에서 출하 전 마그네슘 단기 첨가 급여가 돈육 육질을 개선시키고 PSE 돈육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거세비육돈(Landrace) 60두를 대조구(MgSO₄ 무첨가구)와 MgSO₄ 급여구로 30두씩 나누어 도축 전 5일 동안 사료와 물을 무제한 급여하여 6일째 도축장으로 수송한 후 2시간 내에 도축하였다. 도축 전 MgSO₄ 첨가 급여는 도축 시 혈중 마그네슘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혈중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adrenaline, noradrenaline) 역시 마그네슘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사후 초기 pH는 대조구가 더 높았고, 최종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후 도체온도는 도축 직후 MgSO₄ 급여구가 더 높았으나 3시간과 6시간에는 비슷하였다. PSE 발생율은 대조구 30%, 마그네슘 급여구 23.3%로 마그네슘 급여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드립로스와 육색 명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록 본 연구에 공시된 비육돈의 유전적 배경과 도축 전 비육돈의 취급방법이 기존 보고자들과 달랐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할 때 마그네슘 첨가급여에 의해 돈육 육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확립된다면 돼지 사육업자나 가공업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므로 마그네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경제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