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re blocking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의한 정밀여과 막의 오염특성 (Fouling Behavior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in Microfiltration)

  • 남석태;한명진
    • 멤브레인
    • /
    • 제18권1호
    • /
    • pp.53-64
    • /
    • 2008
  •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의한 폴리에틸렌 정밀여과 모세관 막의 오염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막오염의 윈인은 막표면 위에서 생성되는 케익층의 성장과 입자들이 세공을 막는 표준 및 완전세공막힘 때문이었으며, 막오염은 이들 세 가지 오염형태가 동시에 발생하지만 케익여과오염에 의해 크게 지배를 받는다. 운전압력 $1.0kg/cm^2$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표준세공막힘 3.36%, 완전세공막힘 3.18% 그리고 케익여과오염 93.46%이었다. 현탁액의 농도가 1000 ppm인 경우에는 완전세공막힘 1.71%, 표준세공막힘 1.90% 그리고 케익여과오염이 96.39%이었으며, 운전초기에 총 오염의 96.14%가 발생했다. 총 오염에 대한 케익여과의 영향은 세공이 $0.34{\mu}m$막에서 컸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성분오염은 약 10.20% 감소하였고, 총 오염에 대한 세공막힘의 비율은 높았다.

정밀여과 모세관 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 (Characteristics of Flux Decline in Microfiltration Capillary Membrane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 남석태;한명진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52-61
    • /
    • 2005
  • 폴리에틸렌 정밀여과 모세관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운전시간이 경과하면서 투과유속이 감소되는 원인은 막표면 위에서 케익층의 성장과 입자들에 의한 세공막힘 때문이었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투과유속은 케익여과 모델에 의해 지배받는다. 운전압력이 높은 경우의 투과유속 감소는 세공막힘과 케익층이 치밀해졌기 때문이다.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J/J₁는 감소하였으며, 0.5 kg/sub f//㎠일 때의 45%, 2.0 kg/sub f//㎠일 때 38%로 감소하였다. 운전압력 0.5 kg/sub f//㎠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표준세공막힘 14.6%, 완전세공막힘 23.4% 그리고 케익여과 62.0% 이었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투과유속은 증가하였고, 그 효과는 운전압력이 1.0 kg/sub f//㎠일 때가 운전압력 2.0 kg/sub f//㎠ 경우보다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투과유속은 세공의 크기가 0.24 ㎛인 막보다 컸으며, 용액의 농도에 따른 투과유속은 농도가 낮은 용액이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막오염 형태는 유사하지만 농도가 200 ppm인 용액의 경우 1000 ppm인 용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약한 세공막힘 현상을 보였다.

정규화된 수두손실률에 의한 방조제 구간별 차수상태 평가 (The Estimation of Seepage Blocking State with the Normalized Hydraulic Head Loss Rate at Each Seepage Segment in Sea Dike Embankment)

  • 임성훈;허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59-167
    • /
    • 2014
  •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normalizing hydraulic head loss rate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stimation of seepage blocking state at each seepage segment in sea dike embankment. Pore water pressure sensors were installed with some interval along seepage path, then the hydraulic head loss rate at each segment between pore water pressure sensors was calculated, and then the calculated hydraulic head loss rate was normalized based on seepage path length. The comparison of normalized hydraulic head loss rates showed that the cross section of sea dike embankment was homogeneous approximately and the width of cross section was long enough to blocking tide water.

Microfiltration of Chlorella sp.: Influence of material and membrane pore size

  • Ahmad, A.L.;Yasin, N.H. Mat;Derek, C.J.C.;Lim, J.K.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4권2호
    • /
    • pp.143-155
    • /
    • 2013
  • Four membranes were used to separate Chlorella sp. from their culture medium in cross-flow microfiltration (MF) experiments: cellulose acetate (CA), cellulose nitrate (CN), polypropylene (PP) and polyvinylidenefluoride (PVDF). It was found that the hydrophilic CA and CN membranes with a pore size of 1.2 ${\mu}m$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s among all the membranes in terms of permeation flux. The hydrophobicity of each membrane material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ngle between the water (liquid) and membrane (solid). Contact angle measurements showed that deionized (DI) water had almost adsorbed onto the surfaces of the CA and CN membranes, which gave $0.00^{\circ}$ contact angle values. The PP and PVDF membranes were more hydrophobic, giving contact angle values of $95.97^{\circ}$ and $126.63^{\circ}$, respectively. Although the pure water flux increased with increasing pore diameter (0.8 < 1.2 < 3.0 ${\mu}m$) in hydrophilic CA and CN membrane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 of filtration rate for filtering a microalgae suspension was attained by membranes with a pore size of 1.2 ${\mu}m$. The fouled membrane pore sizes and pore blocking were inspec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F with large pore diameters was more sensitive to fouling that contributed to intermediate blocking, where the size of the membrane pores is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cells.

수두손실률에 의한 방조제 침투류 감시 및 해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Seepage Monitoring and Analysis Method with the Hydraulic Head Loss Rate in Sea Dike)

  • 임성훈;허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9
    • /
    • 2014
  • In this study the pore water pressures were measured in sea dike constructed with the sand dredged in the sea, and they were analyzed with the hydraulic head loss rate to estimate quantitatively the state of blocking seepage in the sea dike embankment. Blocking state was expressed as the number between 0 and 1. the number of 1 means the state of perfectly blocking seepage and the number of 0 means the state of sea water being passing free. The deeper the installed position was the lower the hydraulic head loss rate was and the longer the seepage path length was the higher the hydraulic head loss rate was. The estimated R-squareds were close to 1, which means that the embankment was steady state without movement of soil particles.

알루미나 현탁액에 의해 오염된 정밀여과막의 역세척 거동 (Back Flushing Behavior of Microfiltration Membrane Fouled by Alumna Colloidal Suspensions)

  • 남석태;한명진
    • 멤브레인
    • /
    • 제19권1호
    • /
    • pp.34-46
    • /
    • 2009
  • $Al_2O_3$ 현탁액의 폴리에틸렌 정밀여과에 있어 역세척이 막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탁액의 투과저항은 역세척을 한 경우가 역세척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작았으나 투과저항 증가율은 역세척을 하지 않은 때보다도 더 컸다. 막오염 형태는 역세척을 한 경우나 하지 않은 경우 운전초기에는 케익오염이 지배적이었으며, 이어 세공막힘오염이 나타났고,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투과유속은 다시 케익여과 오염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척공정에 앞선 막은 운전초기에 세공막힘오염이 케익오염에 앞서 일어났다. 총오염에 대한 케익여과 오염의 비율은 역세척에 관계없이 역세척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세공크기가 $0.24{\mu}m$인 막의 투과저항은 세공이 $0.34{\mu}m$인 막에 비해 더 컸으나, 막오염 형태는 세공의 크기가 $0.34{\mu}m$인 막에 비해 케익오염이 작았다. 총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역세척을 한 경우에는 세공막힘이 약 7.8%, 케익오염 약 92.2%이었고, 역세척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세공막힘은 9.6% 그리고 케익오염이 90.4%이었다.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Containing Si Fine Particles through Ultrafiltration

  • Park, Ho-Sang;Park, Young-Tae;Lee, Seok-Ki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5권1호
    • /
    • pp.31-35
    • /
    • 2003
  •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containing Si fine particles were examined by ultrafiltration using the polyolefin tubular membrane module. Flux with time was due to the growth of Si cake deposited on the membrane surface and the pore plugging by fine particles. The rate of flux decline in the initial stage increased with the trans-membrane pressure. The pore blocking resistance was the dominant resistance at the initial period of filtration and the cake resistance began to dominate with the initial pore blocking resistance. The larger pores compared with the fine particles, the more the membrane pores could be blocked by the fine particl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was shifted toward to the left. Then, the average size of fine particles in the permeate was 20 nm.

은이 침착된 활성탄의 표면과 세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Surface and Pore for Ag-impregnated Activated Carbon)

  • 김종규;오원춘;김명건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29-733
    • /
    • 1998
  • 은 침착된 활성탄의 표면 구조와 세공의 크기 분포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침착물은 내부 표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외부 표면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착 등온선은 침착되지 않은 활성탄이나 침착된 활성탄 모두 전형적인 BET 분류 type-I 임을 확인하였으며, 침착물 양이 증가할수록 흡착량이 감소하며 window blocking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침착물 양이 증가할수록 비 표면적 값은 감소하였으며, 미세세공 부피도 감소하였다. 은 침착된 활성탄의 평균 미세세공 반경은 침착물 양과는 무관하게 일정하였다.

  • PDF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차단 침구에 사용되는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 측정을 위한 입자 투과 실험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Apparatus to Measure a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Used for a Bedding to Block the House Dust Mite Allergen)

  • 김동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57-563
    • /
    • 2022
  • 극세 공극 직물의 알레르겐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을 측정하는 편리하고 적절한 실험 장치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여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실험 방범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미세 입자 투과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직물의 공극 크기를 측정하여 알레르겐 차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의 크기는 중량 감소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중량 감소 비율의 값은 입자 투과 장치를 통과하는 흡입 압력이 작을수록, 흡입 시간이 길수록 큰 값을 나타났으며, 이 값으로부터 직선 삽입 방법을 통하여 실험 직물의 공극 크기를 측정 할 수 있었다. 개발된 실험 장치 및 방법은 집먼지 진드기 차단 침구에 사용되는 극세 공극 직물에 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품질 관리 방법의 실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