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conservation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3초

멸종위기종 붉은박쥐의 개체군 경향과 보호 관리 - 동면처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The Population Trend and Management for Conservation in Myotis formosus)

  • 김선숙;최유성
    • 생태와환경
    • /
    • 제50권4호
    • /
    • pp.411-421
    • /
    • 2017
  • 온대지역에서 동면박쥐에 대한 분포와 생태정보는 대상 종의 보전 및 서식지 보호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연구에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 개체군 경향 분석과 생태적 요구 조건을 파악하여 보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수행한 결과, 전국 58개의 동면처에서 붉은박쥐 570개체가 확인되었다. 붉은박쥐가 이용한 동면처의 유형은 자연동굴에 비해 폐광산이 많았으며, 폐광산에서 보다 더 많은 붉은박쥐 개체가 동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붉은박쥐의 동면처는 평균 $12.13{\sim}15.07^{\circ}C$의 온도와 92% 이상의 습도가 동면기간 동안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개체군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TRI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붉은박쥐 개체군의 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동면처 사례를 통하여 동면처의 구조 및 환경 변화로 인한 붉은박쥐 개체수가 급감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한 개체군 경향분석 결과와 현장 사례를 분석을 통하여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보전 및 서식지 보호 관리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서식지 보호 관리 방안은 방향은 종의 온도 선호도 및 서식지 환경이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과 서식지 내 인위적인 간섭요인을 차단하는 것은 중요 사항이 될 것이다.

Evaluation of Genetic Effects of Demographic Bottleneck in Muzzafarnagri Sheep from India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Arora, R.;Bhati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09
  • Genetic varia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ability of populations to adapt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change. Severe human impacts reduced Muzzafarnagri sheep of India from 500,000 in 1972 to 10,989 in 1973-74. Here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effect of this population decline on levels of genetic variability at 13 FAO recommended ovine microsatellite loci and contrast levels of variability to that in a breed from the same geographical region, which differed in numbers, by an order of magnitude (Marwari sheep). Of the 13 loci, 100% were polymorphic in both breeds. A high degree of genetic variation was observed within populations in terms of both allele diversity (number of alleles per locus, >4) and gene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0.5), which implied that there is still a substantial amount of genetic diversity at the nuclear loci in a declining population. Nevertheless, overall low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nd relatively less abundance of low frequency alleles in Muzzafarnagri sheep suggested that genetic variability has been comparatively reduced in this population. Bottleneck analysis indicated that a genetic bottleneck did not occur during the most recent declin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was moderate ($F_{ST}$= 11.8%). This study on assessment of genetic effects of the population declines in ovines is a step towards identification of genetically impoverished or healthy populations, which could prove to be a useful tool to facilitate conservation planning in this important species of small ruminants.

Population Dynamics of the Long-Tailed Clawed Salamander Larva, Onychodactylus fischeri, and Its Age Structure in Korea

  • Lee, Jung-Hyun;Ra, Nam-Yong;Eom, Jun-Ho;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31-36
    • /
    • 2008
  • Larvae of the long-tailed clawed salamander, Onychodactylus fischeri, have a relatively long larval period, spending a year or more within the stream where they hatch; therefore, a well-established larval population could be critical for the conservation of adult populations. To study the population dynamics of long-tailed clawed salamander larvae, we surveyed a field population once or twice a month from September, 2005 to June, 2006, and determined the age of larval clawed salamanders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populations in October, 2004 using skeletochronology. The age of long-tailed clawed salamander larvae ranged from 0 to 3 years. New recruitment of larvae in the population primarily occurred in November, 2005, and mid-March, 2006. Larvae with a snout-vent length of more than 30 mm disappeared from the streams in September, 2005, suggesting that two to three year-old clawed salamander larvae metamorphosed during this period.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Bottleneck Analysis of Ankleshwar Poultry Breed by Microsatellite Markers

  • Pandey, A.K.;Kumar, Dinesh;Sharma, Rekha;Sharma, Uma;Vijh, R.K.;Ahlawat, S.P.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7호
    • /
    • pp.915-921
    • /
    • 2005
  • Genetic variation at 25 microsatellite loci,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bottleneck hypothesis were examined for Ankleshwar poultry population found in Gujrat, India. The estimates of genetic variability such as effective number of alleles and gene diversities revealed substantial genetic variation frequently displayed by microsatellite markers. The average polymorphism across the studied loci and the expected gene diversity in the population were 6.44 and 0.670${\pm}$0.144, respectively. The population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groups, and showed fairly high level of inbreeding (f = 0.240${\pm}$0.052) and global heterozygote deficit. The bottleneck analysis indicated the absence of genetic bottleneck in the pa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Ankleshwar poultry breed needs appropriate genetic management for its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study may further be utilized for studying different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Indian poultry breeds.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Far East Regions during 52 Years

  • Gong, Yeong;Jeong, Hee-Dong;Choi, Kwang-Ho;Seong, Ki-Tack;Kim, Sang-W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1-16
    • /
    • 2006
  • Environmental variables, fishing and biological dat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used to describe changes in structure, migration and abundance of the squid population in relation to ocean climate shifts.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main groups of the squid (autumn and winter-spawned groups) as a single population to aid conservation in the waters around Korea and Japan (TWC and KOC regions). The patterns of yearly fluctuations in abundance of the squid population in the two regions were the same during 52 years of $1952{\sim}2003$. The abundance of the squid began to decrease in both regions in the early 1970s, remained low in the 1980s and the main squid groups synchronously increased in the 1990s coincident with favorable changes of thermal conditions and plankton production in those ecosystems. The mechanism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mmon squid population in relation to current-mediated migration circuits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phenological variables responding to climate shifts.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 김영철;채현희;홍보람;오현경;이경화;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1-307
    • /
    • 2016
  • 전 세계적인 그리고 국가적인 규모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 평가와 더불어 지역적인 규모에서의 멸종위험평가는 직접적인 보전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는 34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이 분포하였다. 각각의 종에 대해 분포지, 분포면적, 개체수 및 개체군의 소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라 각각의 종이 소유하고 있는 생활사 특성을 포함한 10가지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위험요인을 평가하였다. 34종에 대한 위험요인 평가결과 첫째, 다수의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심각한 훼손압력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이고 시급한 생육지 보전활동이 필요한 12종, 둘째, 소수의 직접적인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16종, 셋째, 비교적 넓은 분포지와 많은 개체수에 따라 소극적인 관리를 통해서도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6종으로 구분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은 인구의 증가, 개발, 채취에 따른 생육지와 개체군의 소멸이었다. 또한 식생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합한 생육지의 감소와 재정착의 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생태계 건강성의 상실이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지와 출현 빈도 및 중요도를 바탕으로 5개 권역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의 특성에 따른 보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에 대한 평가는 분포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종의 생활사 특성을 포함하는 평가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개체군동태와 생태적 지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한국 특산식물 미선나무의 이화주성(Distyly) 및 개체군 크기 (Distyly and Population Size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 Endemic Plant in Korea)

  • 김소담;문애라;권신영;윤석민;김휘민;이동형;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39-650
    • /
    • 2022
  •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오직 한반도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지구범위 인 IUCN Red List Endangered로 평가·등재되어 있는 이화주성(distyly, 二花柱性) 특성을 가진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 개체군 8개 지역과 천연기념물 개체군 6개 지역 등 총 14개 지역의 정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선나무 이화주성에 따른 개화 특성과 개체군 크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미선나무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관리방안 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체군별 출현 개체는 전수조사하였으며, 각 개체의 화기 형태로 장주화·단주화 개체를 식별해 개화 개체를 현장에서 조사·기록 후 분석하였다. 미선나무 전체 출현 개체 수는 총 13,130개체(개화 7,003개체, 미성숙 6,127개체)로 각 개체군의 장주화·단주화 개화 개체 수 적정 균형 상태가 유의적(P<0.05)이지 않고,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냈다. 특히, 영동 개체군은 타 개체군 대비 매우 불균형적 형태를 나타내 타 개체군과 비교했을 때 유전다양성이 낮고, 근친교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관리 단위별 평균 개화·결실률은 각각 자생 개체군 39.0%, 8.5%, 천연기념물 개체군 89.2%, 55.3%로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층 수관 울폐 차이에 따른 임내 광유입 변화와 관계된 생식 생장 크기 차이로 사료된다. 한반도 내 미선나무 전체 점유면적은 23,224.5m2이었고,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개체군 점유 면적은 작으나 밀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정 면적에 대한 보호시설 설치로 개체군 확산에 제약이 있는 천연기념물 개체군 내 주기적인 관리가 천연기념물 개체군 밀도를 높인 주된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미선나무 보전을 위해서는 현재 인위적·유전적 교란이 의심되는 천연기념물 집단을 해제하고, 새로운 보호구역을 신규로 지정함으로써 보전 우선 개체군의 확대가 필요하다. 천연기념물 개체군의 경우 문화재청과 지자체에서 자생지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나 자생 개체군의 경우 관리 주체가 전무한 실정으로 미선나무 전반적 관리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Population size, group and age structure of geladas (Theropithecus gelada) in escarpments of Eastern Tigray, Ethiopia: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 Girmay, Teklay;Dati, Derib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78-184
    • /
    • 2020
  • Background: Geladas (Theropithecus gelada), endemic to Ethiopia, are distributed closely related to the escarpments and gorge systems of the country, and large populations are found in the Simien Mountain National Park. This study was conducted in Eastern Tigray, Northern Ethiopia, from February 2018 to August 2019 in order to determine population size and composition of geladas. Total coun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population structure of geladas. Observations of the group of geladas based on body siz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classify age and sex categories of the population. SPSS Version 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sex ratio of geladas and population size among the counting sites between wet and dry seasons. Results: A total of 112 and 99 individual of geladas were counted during wet and dry seasons, respectively. Of the average gelada population recorded in this study, 11.4% were adult males, 30.3% were adult females, 12.8% were sub-adult males, 25.6% were sub-adult females, and 19.9% were unidentified juvenil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age and sex groups of geladas counted during wet and dry season (χ2 = 2.6, DF = 4, P > 0.05). Variations of group size along season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Sex ratio of adult male to adult female was 1:2.6 and 1:2.7 during the dry and wet seasons, respectively. Conclusion: Very small gelada population size was recorded in the current study. An average of 105.5 geladas was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A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gelada population in escarpments of Eastern Tigray, population trend of the geladas cannot decide based on the current study.

아산 명암리 출토 인골의 고유전학적 연구 (A Paleogenetic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Myeongam-ri Site, Asan in Korea)

  • 지상현;김윤지;정용재;서민석;박양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81-93
    • /
    • 2008
  • 오늘날 고대 DNA 분석을 통한 고유전학 연구는 인류학, 고고학, 생물학 분야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DNA 추출 및 PCR 과정에서 연구자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DNA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과정은 무균작업대에서 시약과 소모품을 고온멸균 및 자외선 처리하여 진행되었으며, 음성대조군을 설정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으며, 이를 현대 한국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아산 명암리 소규모 지역집단의 옛사람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기대이상의 다양한 mtDNA haplogroup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랜 세월 동안 생활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은 아산 명암리 유적 주변의 개방적인 지역적 조건과 이곳에 거주했던 개체군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아산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이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 PDF

Insights into the genetic diversity of indigenous goats and their conservation priorities

  • Liu, Gang;Zhao, Qianjun;Lu, Jian;Sun, Feizhou;Han, Xu;Zhao, Junjin;Feng, Haiyong;Wang, Kejun;Liu, Chous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01-1510
    • /
    • 2019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of 26 Chinese indigenous goats by 30 microsatellite markers, and then to define conservation priorities to set up the protec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weight given to within- and between-breed genetic diversity. Methods: Twenty-six representative populations of Chinese indigenous goats, 1,351 total, were sampled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of China. Within-breed genetic diversity and marker polymorphism were estimated calculating the mean number of alleles, observed heterozygosities, expected heterozygosities, fixation index, effective number of alleles and allelic richness. Conservation prioritie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Results: A relatively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was found in twenty-four population; the exceptions were in the Daiyun and Fuqing goat populations. Within-breed kinship coefficient matrices identified seven highly inbred breeds which should be of concern. Of these, six breeds receive a negative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when the method was based on proportional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Based on Weitzman or Piyasatian and Kinghorn methods, the breeds distant from others i.e.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Chengdu Brown goat and Leizhou goat obtain a high ranking. Evidence from Caballero and Toro and Fabuel et al method prioritized Jining Gray goat, Liaoning Cashmere goat, and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which agree with results from Kinship-based methods. Conclusion: Conservation prioriti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multiple methods. Our results suggest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most methods), Jining Gray goat and Liaoning Cashmere goat (high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and total diversity) should be prioritized based on most methods. Furthermore, Daiyun goat and Shannan White goat also should be prioritized based on consider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size. However, if one breed can continually survive under changing conditions, the straightforward approach would be to increase its utilization and attraction for production via mining breed germplasm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