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r music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9초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 발상을 위한 대중음악 장르별 감성 언어이미지 연구 I (A Study on the Emotional Language Imagery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for Development of Textile Print Design Ideas I)

  • 김지연;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4-36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itioning of emotional language imagesin popular music genres for developing textile print design ideas. Auditory and synaesthetic imagery were employed to deduct emotional language imageries from popular music genr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emotional language imageries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Six genres of popular music were selected as stimulu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emotional language imager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depending on popular music gen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on emotional language imager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that include Lyrical-Feminine, Intense-Masculine, Euphoric-Active, Gloomy-Melancholy, Abstruse-Sophisticated, and Addictive-Continuous. The results of the mean scores of emotional language imagery of each popular music genre showed that respondents tended to perceive that ballad and new age music are similar and hip-hop & rap, dance, and metal-rock are similar.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new age positioned Lyrical-Feminine, metal-rock positioned Intense-Masculine, dance music positioned Euphoric-Active, and ballad positioned Gloomy-Melancholy. This study provides elementary resources to inspire innovative textile prints designed throug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nguage imagery according to each popular music genre.

대중음악 지도자 양성 필요성에 대한 고찰 -기관 및 자격증의 설립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nessesity for training an educator of popular music -Concentrating on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and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 조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83-389
    • /
    • 2017
  • 본 논문은 대중음악 전문 지도자 양성 필요성에 대한 논문으로 대중음악 전문 교육기관 및 실용음악교육 관련 자격증의 설립을 촉구하는 논문이다. 대중음악은 사람들에게 시선과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문화의 큰 축으로 자리 잡았으며, 장르도 점차적으로 다양화가 이루어져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미디어에 등장하는 가수들은 퍼포먼스 위주의 보이, 걸 그룹들이 대부분이고 기량 면에서 다소 부족함이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한 원인을 대중음악 전문 지도자 양성체제의 결여에서 찾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공교육의 부재로 인해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공공교육시스템이 미흡하다. 또한 필드 위주로 인식되는 대중음악은 학문적 필요성의 인식이 부각되지 못해서 교육에 대한 필요성까지 감소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등교육기관 등에서의 전문지도자 양성체제의 결여로 지도자 육성에까지 큰 문제를 안고 있어서 총체적으로 문제점들이 반복되어 순환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방법으로는 전문 교육기관의 확립과 자격증의 설립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실행은 현재 정체 단계에 머물러 있는 K-POP발전과 세계화에 더욱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대중음악계의 안정 및 이미지 격상에도 도움을 줄 것이고, 탄탄한 대중음악 역사 형성 등 수 많은 부분에 기여해서 전반적으로 대중음악계를 성장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전문지도자 양성을 위한 기관 및 자격증의 설립을 실용음악전공자들 뿐만이 아니라 전 방위에 걸친 관련 음악 종사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교육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줌으로써 대중음악계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교육적 콘텐츠로의 한국 대중가요의 활용과 필요 (Application and Need of Korean Popular song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 정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4-185
    • /
    • 2012
  • 한국의 대중가요는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산업적 규모도 다른 예술적 장르보다 비중이 높다. 또한 대학 등과 같은 교육기관의 전공신설과 대학원 과정에서의 실용음악 분야가 크게 증가하면서 대중가요는 사회문화적 경향뿐만 아니라 교육적 그리고 학술적 연구대상으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측면의 음악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중가요는 교육적 콘텐츠로써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학술적 연구대상으로 대중가요의 정립과 분석을 그 활용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대중가요의 작곡가와 시대별 가요경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활용의 기반이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예술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많은 부분 기여할 수 있다.

대중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 (Creating the Idea of Textile Print Pattern Design Using the Visual Expression of Popular Music)

  • 김지연;오경화;정혜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4-540
    • /
    • 2015
  • This study develops textile pattern design ideas created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Methods of auditory and synesthesia were employed to analyze various attributes of popular music genres and appoint language image, shape image, and color image to obtain their inter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to express emotional images on textile print pattern designs. This research used different genres of popular music as stimuli. The language image was extracted and introduced to the overall color scheme; in addition, the color image was verified. The analysis of the color image was executed by applying it with the color set image scale of I.R.I colors. Then, the color image of the target genre of popular music was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a color tone system. The preference in shape image was realized through visual images based on basic principles of points, lines, and sides composition; subsequently, an analysis of the emotional image of popular music followed. An examination of the emotional images of different popular music genres have led to the discovery that language image, color image, and shape image all share a common emotional image. There was also a realization that similarity and interrelationship exists in language, color, and shape images experienced by listening to popular music.

대중음악 장르에 따른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패션의 특성과 음악과의 연관성 -2019, 2022, 2023년도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 Fashions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and their Relevance to Music -Focusing on the Years 2019, 2022, and 2023-)

  • 이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11-232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morphological and expressive aspects of fashion and its connection to music at Korean music festivals. The research involves a theoretical review and a case study analyzing fashion and music at rock, EDM, hip-hop, and jazz festivals in Korea from 2019 to 2023. The process of selecting fashion cases was reviewed by experts in the field of fashion, and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while fashion and music differ in terms of their fundamental morphological components of sensory media, they share features in terms of sensory harmony between their components. In terms of expressive aspects of fashion,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and object of expression are the same for the artist and for the audience. Both music and fashion have sensory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udience, and both transmit personal and social meaning. Using these commonalities as indicators of relevance, a relev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popular music festival fashion and music were interpreted as having a high degree of relevance in terms of expressing emotions and tastes, providing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and conveying cultural meaning.

유행가요 가사에 나타난 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시대 상징을 중심으로- (A Study of Clothing Symbolism on Popular Music -Focused on the Periodic Symbol-)

  • 이수진;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1호
    • /
    • pp.43-5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ation of the clothing symbolism on the words of a popular music. The result shows that clothing symbolism on the popular music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periodic background. And also that re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e clothing as a symbol.

  • PDF

음악요법에 관한 국내 간호학 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Music Therapy in Korea)

  • 홍명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4-30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trend and issues of nursing research on music therapy. This study was aimed to help direct developing better music therapy programs in the future. Method: We reviewed 57 dissertations and published articles from 1983 to Feb. 2005 that were related to music therapy in nursing. Result: Among the 57 published researches on music therapy, 47 (82.5%) were dissertations and 10 (17.5%) were published articles. Among the 57 researches, 55 (96.5%) were experiential researches and 2 (3.5%) were non-experimental researches. Surgical patients were the most popular subject for researches. The number of subject was a minimum of 7 people and maximum of 143 people. Listening to music 41 (74.5%) was the most popular program for music therapy. Among 55 researches, 33 (60.0%) had a music therapy session of 25-60 minutes and this was the most popular time duration of therapy. Among all the 108 dependent variables, 57 (52.8%) were psychological variables, 40 (37.0%) were physical variables and 11 (10.2%) were social-cognitive variables. Conclus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ystematic music therapy programs with different nursing interventions, as based on theories and principles while consider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 PDF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도출 -교육체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Long term solution for K-POP globalization -Concentrating to the change in education system-)

  • 조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18-4423
    • /
    • 2015
  • 본 논문은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일환으로, 현 실용음악 교육체제의 변화를 촉구하는 논문이다. 한국의 대중음악은 이전에 비해 음악적으로는 물론 음향적으로도 크게 발전하였고 k-pop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아이돌 음악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음악적인 자질 문제와 관계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수많은 아이돌이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최근 공개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인해서 전체적으로 실력이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저 기획사와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 등에 유망주 발굴을 맡기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대중음악도 클래식이나 국악과 같이 특성화된 중 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기초교육 부터 철저히 이행하여야 한다. 그러면 더 이상 어린나이에 학교생활에는 부진한 채로 소속사에 들어가거나 학원에서 높은 수업료를 지불하고 검증되지 않은 강사에게 음악을 배우는 것은 사라질 것이다. 또한 학업의 부진도 면하게 하여 지성인으로써의 면모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그와 더불어 대학의 교직과정 설치와 교육대와 사범대에 실용음악교육과정의 개설을 통해 본격적으로 음악교육자 양성을 실시해야 한다.

Bayesian Learning through Weight of Listener's Prefered Music Site for Music Recommender System

  • Cho, Young Sung;Moon, Song Chu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1호
    • /
    • pp.33-43
    • /
    • 2016
  • Along with the spread of digital music and recent growth in the digital music industry, the demands for music recommender are increasing. These days, listeners have increasingly preferred to digital real-time streamlining and downloading to listen to music because it is convenient and affordable for the listeners to do that. We use Bayesian learning through weight of listener's prefered music site such as Melon, Billboard, Bugs Music, Soribada, and Gini. We reflect most popular current songs across all genres and styles for music recommender system using user profile. It is necessary for us to make the task of preprocessing of clustering the preference with weight of listener's preferred music site with popular music charts. We evaluated the proposed system on the data set of music sites to measure its performance. We reported some of the experimental result, which i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evious system.

대중가요의 창작성 요소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reative Elements of Popular Music)

  • 김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13-218
    • /
    • 2016
  • 1850년 프랑스에서 시작된 음악 저작권은 건축이나 미술 등의 분야처럼 시각적으로 고정이 되어있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와는 다르게 곡 시간의 흐름에 의한 저작물이다. 음악 저작물의 보호되어지는 범위는 다른 분야의 저작물과 같이 전체 음악이기 보다 음악저작물 안의 각각의 요소와 구조를 분석하여 법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창작적 표현이라 판단되는 부분을 보호의 범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우리나라 대중가요에서 표절에 관한 이슈 중 창작성 판단은 원고의 저작물에 대한 보호에 해당 되는지 여부를 가리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로 인정되는 곡안의 아이디어나 창작요소의 판단은 중요한 논점이다. 창작성을 판단하기에 앞서 해당 표현이 창작의 표현에 해당하는 음악적 요소에 대한 문제는 법원의 판단이 아닌 산업과 학계에서 검토되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문제라 판단된다. 또한 오늘날 대중가요는 저작권을 보호받는 저작물 중 창작적 표현의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을 통해서 대중가요의 창작적 요소와 비창작적 요소를 구분하고, 창작적 표현 요소에 대한 음악 창작자들의 공감대를 마련하는 시론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