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or

검색결과 13,794건 처리시간 0.041초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 - 잠재성장모형의 응용 - (Income Trajectories of Working Poor and Working Non-poor: A Latent Growth Model)

  • 이소현;임업
    • 지역연구
    • /
    • 제37권1호
    • /
    • pp.15-27
    • /
    • 2021
  • 연구는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하고, 이를 인구·사회학적 요인(결혼, 교육수준)과 지역적 요인(대도시 거주)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2~21차(2009~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차함수형 궤적으로 추정한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소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2009년에서 2016년까지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근로비빈곤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면서 격차가 완화되었지만, 이후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정체되면서 다시 격차가 심화되었다. 소득 궤적(시작점의 소득 수준과 증가율)에 결혼, 교육수준, 대도시 거주가 미친 영향은 집단 간 차이를 보였는데, 이 요인들은 근로빈곤층의 궤적을 더욱 잘 설명하고 있다. 결과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근로빈곤층의 소득변화율과 대도시 거주 여부의 정(+)적 연관성으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이 근로빈곤층에 경제적 프리미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근로빈곤층의 도시 프리미엄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누가 왜 빈곤에 빠지는가? 빈곤진입자의 특성 및 요인 (Why Do Some People Become Poor? Th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Poverty Entry)

  • 김환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5-388
    • /
    • 2011
  • 본 연구는 1998~2008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빈곤진입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빈곤진입의 원인과 그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진입자들은 장기빈곤층과 비빈곤집단의 중간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다수가 빈곤에의 진입과 탈출을 반복하는 집단으로 추정된다. 외환위기 직후 높은 수준을 보이던 빈곤진입율은 점차 안정화되고 있으나, 전통적인 위험집단뿐만 아니라 청년층과 고학력자, 전문직 등에서도 빈곤에 빠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빈곤진입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실직 및 고용불안정으로 빈곤정책 역시 여기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빈곤진입의 원인과 특성이 향후 빈곤지속기간과 탈출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등 빈곤의 동태적 측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국토정보를 활용한 빈곤·취약지구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xtracting the Poor Deprived Districts b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 이희연;안은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5-25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국토정보들을 활용하여 빈곤 취약지구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빈곤 취약지구를 추출하기 위한 지표들을 선정하고 지표들의 작동성을 검정하였으며, 특히 빈곤 취약지구를 추출하는 위계적인 공간 영역에 따라 지표들의 활용이 조정 가능하도록 융통성있는 방법론을 구축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빈곤 취약지구를 추출하기 위한 지표들을 빈곤층, 노후불량주택, 근린불량주거환경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대표 지표들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행정동 차원에서 빈곤 취약지구 추출을 위한 핵심 지표는 천명당 기초생활수급자수와 노후단독주택 거주 가구 비율 지표로 나타났다. 국가기초구역 차원에서 근린불량주거환경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불량도로 접도 주택비율, 과소필지 비율, 노후불량주택 비율이 상당히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소구역 단위에서 격자 분석을 통해 여러 지표들을 중첩시켜본 결과 상대적으로 더 빈곤하고 취약한 소구역을 추출할 수 있었다. 국가공간정보포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필요한 목적에 맞추어 활용하는 경우 고부가가치의 정보 창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빈곤 취약 우선 대상지구를 효율적으로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여자대학생이 인지하는 남성의 음주행위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Stereotypes of the Poor Drinker Held by University Students)

  • 박경란;이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41-3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tereotypes toward the poor drinker held by students. Stereotypes toward the poor drinker were examined at two levels: to assess students' beliefs about the traits of the poor drinker and to categorize the traits into stereotyp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tudents reported 97 traits associated with the poor drinker. 2)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of the trait groupings revealed two high-level clusters: a cluster of 35 positive traits and a cluster of 62 negative traits. Within the positive and negative clusters, 15 middle-level categories, 5 positive categories(a kind patriarch, pure, thrifty and diligent, self-controlled, prudent), and 10 negative categories(isolated, dull, passive, not confidant, unsociable, repressed, unstable, egocentric, naive, childish) were identified. This results suggested that students believed negative stereotypes are more typical than positive ones.

  • PDF

연약지반 배관응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적용 (Stress Monitoring System for Buried Gas Pipeline in Poor Ground)

  • 홍성경;김준호;정석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7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stress monitoring system for buried gas pipeline in poor ground. During the six months of improvement construction of poor ground, maximum settlement of gas pipeline is about 40 cm. This value represents relative small compared to the initial settlement estimation of ground improvement construction plan, 90 cm. Also, this paper includes the result of finite element analysis of gas pipeline to confirm safety of pipelines in poor ground. The stress monitoring system for gas pipeline was developed to guarantee the safety of buried gas pipeline in poor ground. Eventually, the ground improvement workings are ended safely and it is proved that the pipeline has no safety problem.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근로빈곤 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ing Poor in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 금재호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1호
    • /
    • pp.41-73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제 1차~6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근로빈곤(working poor)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동태적 이행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빈곤가구의 절반 이상이 근로빈곤(working poor)가구이며, 취업자가 있는 가구의 상당수는 빈곤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근로빈곤가구는 빈곤의 진입과 이탈이 매우 활발하고 미취업가구에 비해 빈곤에 빠질 위험성이 낮으며, 빈곤에 빠지더라도 곧장 벗어날 확률이 높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고 저학력일수록 근로빈곤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임금근로가구에 비해 자영업가구와 임금 자영업 혼합가구의 근로빈곤 위험성이 높다.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빈곤 취약계층의 능력개발과 좋은 일자리의 창출이 중요하다. 특히 좋은 일자리의 창출은 고용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소득불평등의 완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자영업가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의 제고와 더불어 근로빈곤계층에 대한 합리적인 사회복지 지원책의 마련도 요구된다.

  • PDF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Generation of Working Poor as New Urban Poverty and Its Policy)

  • 노대명;최병두;조명래;류정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71-692
    • /
    • 2006
  • 최근 대도시 내부의 노동인구 가운데 새로운 빈곤, 즉 근로빈곤층이 형성되어, 이에 따른 계층 간 사회공간적 갈등을 심화시킬 징후를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노동과 빈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특수한 문제로서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근로빈곤층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 우선 근로빈곤층에 대한 개념정의에서 출발하여, 근로빈곤층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근로빈곤층의 실태를 정태적 및 동태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노동과 빈곤문제가 어떻게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근로빈곤층 지원 정책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대안적 정책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Live birth outcomes of vitrified embryos generated under growth hormone stimulation are improved for women categorized as poor-prognosis

  • Keane, Kevin N;Ye, Yun;Hinchliffe, Peter M;Regan, Sheena LP;Dhaliwal, Satvinder S;Yovich, John 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78-188
    • /
    • 2019
  • Objective: To determine the clinical pregnancy (CP) and live birth (LB) rates arising from frozen embryo transfers (FETs) that had been generated under the influenc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adjuvants given to women categorized as poor-prognosis. Methods: A registered,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A total of 1,119 patients with first FETs cycle include 310 patients with poor prognosis (109 treated with growth hormone [GH], (+)GH group vs. 201 treated with dehydroepiandrosterone, (-)GH group) and 809 patients with good prognosis (as control, (-)Adj (Good) group). Results: The poor-prognosis women were significantly older, with a lower ovarian reserve than the (-)Adj (Good) group, and demonstrated lower chances of CP (p< 0.005) and LB (p< 0.005).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the chances of both CP and LB in the (+)GH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Adj (Good) group, indicating that the poor-prognosis patients given GH had similar outcomes to those with a good prognosis. Furthermore, the likelihood of LB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poor-prognosis women given GH than for those who did not receive GH (p< 0.028). This was further confirmed in age-matched analyses. Conclusion: The embryos cryopreserved from fresh IVF cycles in which adjuvant GH had been administered to women classified as poor-prognosis showed a significant 2.7-fold higher LB rate in subsequent FET cycles than a matched poor-prognosis group. The women with a poor prognosis who were treated with GH had LB outcomes equivalent to those with a good prognosis. We therefore postulate that GH improves some aspect of oocyte quality that confers improved competency for implantation.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의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의 특성 비교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mparison of Features of Poor Group and Non-Poor group In the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

  • 이미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253-275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당사자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빈곤/비빈곤집단간 특성을 비교하고, 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에서, 건강정도, 직력 유무, 요보호가족원수, 자활가능성변수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활사업이 성인지적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첫째,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의료비 지원의 확대와, 교통비 지급, 건강상태에 맞는 개별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력 유무는 빈곤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요인 중의 하나로, 직력의 경험 유무에 따른 자활사업 프로그램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보호가족원이 있는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활(취업)과 양육/개호가 양립가능하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