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mace and see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9초

느타리버섯 병재배 면실박 대체배지 선발 (Selection of substitute medium of cotton seed pomace on the oyster mushroom for bottle cultivation)

  • 김정한;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08
    • /
    • 2005
  • 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 배지의 면실박 대체배지로서 아주까리박, 유채박을 사용한 경우 C/N율은 대조와 유사하였고,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보다 높은 C/N율을 나타났다. 아주까리박, 유채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2~5일, 초발이소요일수는 2일 지연 되었고 수량 또한 대조보다 20g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야자박, 코코넛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3일 지연되었으나 수량은 관행재배 128g/병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미송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의 관행재배에서 면실박 대체배지로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시 1000병규모로 연간 8.2회 재배 경우 소득이 각각 2,864천원, 2,733천원으로 관행재배의 2,849천원 대비 101%, 96%의 소득지수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grape pomace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 Choi, Chang-Sook;Chung, Hae-Kyung;Choi, Mi-Kyung;Kang, Myung-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114-120
    • /
    • 2010
  • The effects of grape seeds extract and grape peels extract prepared from grape pomace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serum and liver tissue were investigated in rabbits fed on high cholesterol die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as follows ; 1) NOR (normal group); 2) CHOL (cholesterol group); 3) GSH (cholesterol + grape seed extract group); 4) GPE (cholesterol + grape peel extract); 5) GSP (cholesterol + grape seed powder); 6) GPP (cholesterol + grape peel powder); 7) GE (cholesterol + grape seed and peel extract); 8) GP (cholesterol + grape seed and peel powder). Eight groups of rabbits were studied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rabbits were sacrificed and the liver tissue were removed. Then, GSH, GPx, GST, CAT and MDA in the liver were measured. In liver tissues, total glutathione contents (GSH),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CAT) activity,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rape seed extract supplementation.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was lower in the serum of rabbits fed grape seed extract or grape peel powder plus cholesterol than in the serum of rabbits fed cholesterol alone. It is therefore likely that grape seed extract prepared from grape pomace functioned as antioxidants in vivo, negating the effects of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1% cholesterol diet. The grape seed extract was found effective in converting the oxidized glutathione into reduced glutathione, and in removing $H_2O_2$ that is created by oxidative stress. The grape peel powder was found to have small influence on reduced glutathione content, CAT and GPX activity, but it increased GST activity in liver tissues, resulting in promoting the combination of lipid peroxide and glutathione (GSH), and further, lowering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 the serum. Therefore, grape pomace (grape seed extract and grape peel powder) supplementation is considered to activate the antioxidant enzyme system and prevent damage with hypercholesterolemia.

Effect of Grape Pomace Powder Addition on TBARS and Color of Cooked Pork Sausages during Storage

  • Ryu, Kyeong Seon;Shim, Kwan Seob;Shin, Daek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0-206
    • /
    • 2014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ape skin and seed pomace (GSP) additions on the lipid oxidation susceptibility and the color change of cooked pork sausage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SP itself and the addition for two different levels of GSP (0.5 and 1.0% GSP, respectively) to sausages were examined. Both the redness and blueness of the GSP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pH level was increased from 5 to 7, but a reverse result was determined in the color tint and yellowness (p<0.05). The GSP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fluenced by the percentages of methanol solvents, and more flavonoids were established when 100% of methanol was applied as a solvent to the GSP. But, similar results were not observed in the polyphenol of GSP. In cooked pork sausage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lightness and redness were found in both the 0.5% and 1.0% of GSP sausages during the storage period (p<0.05). However, an incompatible effect was observed in terms of yellowness, which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sausage after 6 days of storage. The 0.5% addition of GSP decreased the levels of TBARS (p<0.05), but the ability of GSP to minimize lipid oxidation was not dose dependent.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SP is an efficient suppressor of lipid oxidation and has latent effects as a natural antioxidant when 0.5% of GSP is added to the cooked pork sausages.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of Streptomyces padanus PMS-702 for the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 Yang, Chia-Jung;Huang, Tzu-Pi;Huang, Jenn-W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57-71
    • /
    • 2021
  • Rice sheath blight (ShB),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ühn AG1-IA, is one of the destructive rice diseases worldwid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biocontrol strategies focusing on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with a biocontrol agent for ShB management. Streptomyces padanus PMS-702 showed a grea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 solani. Fungichromin produced by S. padanus PMS-702, at 3.07 mg/l inhibited 50% mycelial growth, caused leakage of cytoplasm, and inhibited the formation of infection structures of R. solani. Fungichromin could reach to 802 mg/l when S. padanus PMS-702 was cultured in MACC broth for 6 days. Addition of 0.5% S. padanus PMS-702 broth into soil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pathogen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amended with 0.5% S. padanus broth and 0.5% tea seed pomace resulted in the death of R. solani mycelia in the infested rice straws, and the germination of sclerotia was inhibited 21 days after treatment. Greenhouse trials revealed that S. padanus cultured in soybean meal-glucose (SMGC-2) medium after mixing with different surfactants could enhance its efficacy for inhibiting the pathogen. Of six surfactants tested, the addition of 2% tea saponin was the most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pathogen. S. padanus broth after being fermented in SMGC-2, mixed with 2% tea saponin, diluted 100 fold, and sprayed onto rice plants significantly reduced ShB disease severity. Thus, S. padanus PMS-702 i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The efficacy of S. padanus PMS-702 for disease control could be improved through formulation.

오미자 열매, 씨, 착즙 후 박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Fruit, Seed and Pomace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미선;성화정;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가공산업의 부산물 이용을 위해, 오미자 열매, 씨 및 착즙 후의 박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의 유용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오미자 열매, 씨 및 박의 추출 수율은 각각 28.3, 22.1 및 7.2%로 나타났으며,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81, 37.22 및 9.20 mg/g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박(4.31 mg/g)>씨(1.25 mg/g)>열매(0.76 mg/g)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다양한 radical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 박>씨>열매 추출물 순으로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오미자 박 추출물의 DPPH 양이온, ABTS 음이온 및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_{50}$는 각각 226.2, 192.5 및 $92.5{\mu}g/ml$로 계산되었다. 항균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열매, 씨 및 박 추출물(0.5 mg/disc)은 B subtilis 및 P. vulgaris 균에 대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액응고저해 활성의 경우, 오미자 열매 및 박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TT, PT 및 aPTT를 모두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시켰으며, 박 추출물(2.5 mg/ml)은 aspirin (1.5 mg/ml)과 유사한 혈액응고 저해를 나타내었다. 혈소판응집 저해 활성 평가 결과, 열매 추출물과 씨 추출물(0.25 mg/ml)은 동일농도의 aspirin 보다 우수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오미자 시료들은 0.5 mg/ml 농도까지 유의적인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오미자 가공산업에서 발생하는 오미자 씨와 착즙 후의 박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항혈전 기능성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Pleurotus ostreatus 영양원의 수입국별 재배 가능성 검토 (Possibility of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Nutrition by Importing Country)

  • 조용구;박윤진;오태석;김창호;오민교;이영수;장명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49-758
    • /
    • 2017
  • This Research was the standardization of nutrient sources by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and analysis of imported nutrient sources used in Pleurotus ostreatus culture. As a first resul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not detected or trace,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cotton seed pomace was 6.22% in Australia,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or USA. As a second result of physical properties of nutrient sources,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beet pulp from Egypt was higher with increasing pressure. The volume water content of US was highest at 400hpa and 500hpa in case of cottonseed meal. Third,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was the highest at pH 5.51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the highest at 2.45, and the C/N ratio was the highest at 28.18. Last result shows that first germination day, yield and biological effciency of all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net except T2. These results shows that australian cootton was inappropriate to Pleurotus ostreatus culture. Nevertheless, the safety and standardization of the Pleurotus ostreatus culture medium should be assured by reviewing the media low material importing season, mushroom yield and nutrient sources.

발아지수를 이용한 혼합 혐기소화액의 부숙도 평가 및 폭기기간 설정 (Maturity Evaluation and Determination of Aeration Time Using Germination Index of Co-Digestates)

  • 변지은;이홍주;황선구;임태진;류종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2호
    • /
    • pp.5-13
    • /
    • 2020
  • 본 연구는 가축분뇨 슬러리와 과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의 폭기기간이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혐기소화액 종류별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6개 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기간 중 공기의 량을 0.1 ㎥ air/min.㎥ 주입하고, 52일 동안 폭기하였다. 혐기소화액의 부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 종자를 이용하였다. 돈분 + 우분 + 감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은 처리구 중 가장 빨리 폭기처리 30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을 나타내었다. 돈분 + 우분 혼합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36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를 나타내었다. 돈분 슬러리 100 % 단독 혐기소화액의 발아지수(GI)는 가장 늦은 폭기처리 54일에 70에 도달하였다. 돈분슬러리 + 과실착즙박 혼합소화액이 돈분 단독 혐기소화액 보다 발아지수 70 도달 폭기기간이 24일 단축되었다. 혐기소화액의 호기성 액비 처리에서 종자 발아지수는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 혐기소화액별 폭기처리에 따른 화학적 성분 변화와 무의 발아효과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Germination of Radish Seed from Aeration of Co-digestate Fertilizers)

  • 변지은;이홍주;류종원;황선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508-517
    • /
    • 2020
  • 본 시험은 혐기소화액의 폭기처리 기간에 대한 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혐기소화액을 액비로 이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숙완료 시기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혐기소화액은 돈분 혐기소화액(SS AD),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을 이용하였으며, 공기량은 1 ㎥당 0.1 ㎥/air/min를 30분 유입, 15분 중단되도록 설정하였다. 1. pH는 모든 혐기소화액 처리구에서 폭기처리 3일차에 폭기처리 전보다 급격히 높아졌으며,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은 9일차 후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은 15일 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27일과 36일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급격히 낮아졌다. 27일과 36일 사이의 급격히 낮아진 pH는 부숙기간 동안 발생한 질산태 질소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2. 전기전도도(EC)는 모든 혐기소화액이 폭기처리가 진행 될수록 감소하였으며, 48일차에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이 16.0 mS/cm로 가장 높았다. 3. 용존산소(DO)는 모든 혐기소화액이 폭기처리 전보다 폭기처리 시작 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48일차에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가 3.93 mg/L로 혐기소화액 중 용존산소가 가장 높았지만 돈분 혐기소화액(SS AD),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도 각각 3.24 mg/L, 3.69 mg/L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었다. 4. 총질소량(T-N)과 암모늄태 질소(NH4-N)는 폭기처리가 진행될수록 모든 혐기소화액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질산태 질소(NO3-N)는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의 경우 24일차까지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 후 36일차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고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36일차까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그 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은 폭기처리 후 24일차까지 감소하였으나 36일차에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5. 환경부고시(제 2018-115호) 퇴비액비화기준 중 부숙도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의한 원액을 이용한 방법과 Halder et al. (2016)이 제시한 액비발아지표(LFGI)법을 이용하여 서호무(Raphanus sativus cv. Seoho) 종자발아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은 상대발아율, 뿌리신장률, 발아지수에서 다른 혐기소화액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혐기소화액과 비교하여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암모늄태 질소(NH4-N)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Lee & Eue (1999)의 연구에 의하면 배추 종자를 이용하여 종자발아시험을 하였을 때 암모늄태 질소의 농도에 의해 발아지수가 영향을 받았다(Lee & Eue, 1999). 6. pH가 약알칼리성을 띄면서 EC와 암모늄태 질소가 낮아지면 발아지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 서호무(Raphanus sativus cv. Seoho) 종자의 발아지수를 통한 부숙도 완료 평가에서 환경부고시(제 2018-115호) 퇴비액비화기준 중 부숙도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의한 원액을 사용한 방법은 폭기처리 기간에 모든 혐기소화액에서 적절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으나 Halder et al. (2016)이 제시한 액비발아지표(LFGI)법을 적용할 경우 60일의 폭기처리에서 70 이상의 적절한 발아지수를 관찰하였다. 혐기소화액 후처리 방법으로 폭기처리를 실시할 경우 최소 60일 이상 진행되어야 부숙완료로 판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