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vinylchloride(PVC)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PVC-THF 용액에 비용매 첨가에 따른 PVC 박막의 표면 특성 분석 (Analysis of Surface Properties of PVC Thin Film according to Addition of Non-solvent to PVC-THF Solution)

  • 이승규;문제철;이원규
    • 공업화학
    • /
    • 제33권4호
    • /
    • pp.367-372
    • /
    • 2022
  •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tetrahydrofuran (THF) 용액에 PVC 비용매의 첨가와 박막 건조 공정이 PVC 박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비용매는 알코올과 비알코올계로 구성되었으며, 첨가에 따른 PVC 박막의 표면 거칠기와 표면 형상의 차별성에 따른 소수성 성질을 비교하였다. PVC-THF 용액 제조과정에 발생하는 용액 내 기포 함유가 박막의 표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인 고농도 PVC-THF 용액에서 코팅 박막의 정상적 표면 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적절한 박막 건조법의 선택이 요구된다. 알코올계 비용매를 첨가할 경우 과립형 형상의 다공성 표면을 갖는 PVC 박막이 얻어져 초소수성 특성을 보인다. 비용매에 대한 PVC-THF 용액의 부피 비는 코팅 박막의 표면 형상에 영향을 주며, 비용매 첨가량이 많을수록 초소수성 PVC 박막을 형성하는 데 유리하다.

식품용 PVC 포장재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Characteristic of PVC Food Packaging)

  • 이선희;정규진;이융국;임종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56
    • /
    • 2008
  • Polyvinylchloride(PVC) is variously used to produce food packaging, wrap film, sealing compound of drinking bottle cap. Safety of these PVC food package is controlled by Food Code, PVC regul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researches on manufacture process,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and monomer(CAS No., common name, molecular structure) of PVC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PVC material. Also, this study helps us the understanding of regulation through researches on the foundation of PVC regulation, the purpose of test and the comment of test metho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informations of material properties and explanations of test method are very useful to PVC producers, users and analyzers of them.

  • PDF

PAN-PVC 공중합체의 응력완화와 비선형 점탄성 모델 (Stress Relaxation and Nonlinear Viscoelastic Model of PAN-PVC Copolymers)

  • 김남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4호
    • /
    • pp.250-255
    • /
    • 2010
  • 비뉴톤 점탄성 Maxwell 요소와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3 요소 비뉴톤 모델로부터 응력완화 식을 유도하였다. 이 식을 응력완화 실험 결과에 적용하여 여러 가지 모델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모델 파라메타로부터 계산한 이론 곡선은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과 잘 일치하였다. 비선형 점탄성 모델 파라메타로부터 섬유고분자 물질의 홀부피, 미세구조, 점탄성성질, 역학적인 성질 등을 연구하였다.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두 종류의 polyacrylonitrile-polyvinylchloride 공중합체와 또 다른 두 종류의 PVC 모노 필라멘트 섬유를 여러 온도의 공기와 물속에서 응력완화 실험을 하였다.

TGA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의 연소반응에서의 열적 특성 연구 (Thermal Characteristics of Polyvinylchloride in Combustion Reaction Using TGA)

  • 서수은;강윤진;민영초;배동철;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26
    • /
    • 2009
  • The combustion reaction of polyvinylchloride(PVC) was investigated using a thermogravimetric technique under an air atmosphere condition at several heating rates from 10 to $50^{\circ}C$/min.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kinetic parameters, the dynamic thermogravimetric analysis curve and its derivative were analyzed by a variety of analytical methods such as Kissinger, Friedman, Chatterjee-Conrad, Ozawa and Coats-Redfern methods. The combustion reaction of PVC proceeded in two steps; the first step was caused by the dehydrochlorination process in PVC, and the second step by the combustion of polyene. The comparative works for the kinetic results obtained from various methods should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kinetic parameters, because there are tremendous differences in the calculated kinetic parameters depending upon the mathematical method taken in the analysis.

프로판올 첨가에 따른 PVC 용액의 박막 형성과 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Propanol to PVC Solution on the Structure of Thin Film and its Surface Property)

  • 박재남;신영식;이원규
    • 공업화학
    • /
    • 제26권1호
    • /
    • pp.35-39
    • /
    • 2015
  • 범용성 고분자인 폴리염화비닐(PVC)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미세다공성 구조의 표면을 갖는 초소수성 박막을 제조하고 박막의 형상에 따른 표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용매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비용매인 프로판올로 구성된 PVC 용액을 딥코팅으로 물과의 접촉각이 $150^{\circ}$ 이상인 초소수성 PVC 박막을 얻었다. PVC 박막 제조과정의 표면 건조공정에서 온도가 증가는 표면 거칠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표면의 소수성 특성 저하를 가져왔다. PVC 용액에 비용매인 프로판올의 양을 증가시키면 코팅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균일해지고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초소수성의 PVC 박막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면 노출시간에 따라 친수성으로 표면특성이 변환됨을 확인하였다.

DMF를 이용한 PVC 필름의 압축성형 (Compression-molding of PVC Film Using DMF)

  • 윤경훈;강영아;이양헌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2
    • /
    • 2002
  • Polyvinylchloride(PVC)는 1838년 Regnault에 의해 처음으로 합성된 고분자로 1920년대 후반부터 섬유로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상업적 규모로 제조되기 시작한 것은 1942년경부터였다[l]. 현재, PVC는 건축자재용 파이프, 필름 등의 포장재, 가구 및 수송자재, 자동차 내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다른 폴리머에 비해 열안정성이 낮아 분해시 HCl 외에도 benzene, naphthalene, toluene과 다른 alkylated benzene이 방출되어 유독성과 금형 및 기기의 부식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2]. (중략)

  • PDF

수면전개 복합막의 기체투과 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Casting Composite Membrane)

  • Nam, Suk-Tae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2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9-5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기체분리용 고분자 분리막을 박막화하기 위하여 기체의 선택도와 투과도가 서로 상이한 celluloseacetate(CA), polyvinylchloride(PVC) 및 polystyrene(PS) 등의 고분자용액을 사용하여 수면전개법에 수면 전개기구와 박막의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또한 기체 분리막으로서의 이 수면전개막을 개발하기 위하여 CA, PVC, PS 단일 적층막, CA-PVC 복합적 층막, PVC/PS 혼합적층막의 형태로 제막하여 기체분리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으로 개질된 Polyvinylchloride의 제조와 물성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Modified Polyvinylchoride)

  • 안재준;이승태;김병규;신영조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215-222
    • /
    • 1994
  •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CSM)은 수지의 toughness modifier로서 사용할 수 있다. CSM는 산소와 오존에 대해서 저항성이 클 뿐 아니라 가교 가능한 기능기인 sulfonyl chloride를 가졌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에 의해 가교 될 수 있다. Polyvlnylchloride(PVC)는 물성이 좋을 뿐 아니라 값이 싼 plastic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범용수지이나 저온에서 충격강도가 약하고 빛과 산소 그리고 오존에 의해서 분해되어 물성을 떨어뜨리는 결점이 있다. 이런 결점을 개선하고저 PVC/CSM블렌드를 연구하였다. CSM함량 10~30%에서 현저한 toughening효과를 나타내었다. CSM을 블렌드함으로써 PVC의 내후성, 내오존성 및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었으며 toughening효과를 SEM을 통하여 관찰하고 확인하였다.

  • PDF

방사선(放射線)으로 조사(照射)된 Polyvinylchloride의 내방사성(耐放射性)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가소제(可塑劑)가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sticizer to Radioresis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Irradiated Polyvinylchlorde)

  • 김봉흡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23-28
    • /
    • 1978
  • 유기석계(有機錫系) 안정제(安定劑)를 포함하고 있는 polyvinylchloride (PVC)의 내방사성(耐放射性)은 가소제(可塑劑)로서 첨가된 dioctylphthalate(DOP)의 양의 증가와 더부러 증가하며 이와 같은 내방사성(耐放射性)의 평가는 시료의 IR 특성 상에서 안정제의 해이(解離)에 기인(起因)하고 있는 $1,540{\sim}1,640cm^{-1}$에서의 흡수대가 선량과 더부러 변화하는 거동으로 살필 수 있다. 가소화된 PVC에서의 내방사성의 증가는 DOP 분자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benzen 환(環)에서 방사 에너지가 공명흡수 되기 때문이라 사료(思料)되며 이와 같은 견해(見解)는 방사선량에 대한 도전율변화특성(導電率變化特性)의 고찰 결과와도 잘 일치 한다. 실용적면(實用的面)에서 $0{\sim}100Mrad$ 사이의 선량에 대한 충분(充分)한 내방사성(耐放射性)을 얻기 위하여는 30phr 전후의 DOP 첨가량이 필요하다.

  • PDF

PVC(Polyvinylchloride)섬유의 열 수축률에 관한 연구

  • 오승민;임종철;최선호;박용완;김환철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83-86
    • /
    • 1998
  • PVC사의 연신은 Fig. 1과 같이 끊는 물 속에서 이루어지며 연신 후 정전기 방지를 위해 유제를 습식 방법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건조와 heat set chamber에 들어가기 전 어느 정도의 수분과 유제를 함유한 체 각각의 chamber를 통과하며 건조, heat set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연신 후 squeezing roller의 접압에 따른 건조시간의 관계와 heat set온도, 시간에 따른 열 수축률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