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urethane adhesiv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2초

지방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합성과 접착 특성 (Synthesis and Adhesion Properties of Aliphatic Polyurethane Adhesive)

  • 박창무;최성옥;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1-469
    • /
    • 2010
  • Polyurethane adhesive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including a food packaging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nthesis of polyurethane adhesive which uses aliphatic isocyanate, and compares with aromatic isocyanate. The isocyanates for this test are toluene-2,4-diisocyanate(TDI),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4,4-dicyclohexyl ethane diisocyanate($H_{12}MDI$), and isophorone diisocyanate(IPDI). And, the effect of any other diisocyanate are evaluated by several methods as for curing rate test, accelerate weathering test, and peel strength test. The polyurethane adhesive using curing catalyst and HDI has adhesion strength of about 560 g/15 mm between aluminium foil and nylon, about 1,520 g/15 mm between nylon and CPP. Those parameters are similar to polyurethane adhesive with TDI. Also, in case of curing rate, those are similar to TDI type polyurethane adhesive. Moreover, data of ${\Delta}E$ as color variation by QUV tester is equal to 4.12, as 48% against those of TDI type.

Polyethylene Glycol의 분자량 및 NCO index의 변화에 따른 Hydrophilic Reactive Hotmelt Polyurethane의 물성 변화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and NCO Index on Properties of the Hydrophilic Reactive Hotmelt Polyurethane Adhesives)

  • 한영철;김덕한;오경석;신현정;양정한;정한모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0-97
    • /
    • 2018
  • Hydrophilic reactive hot-melt polyurethane adhesive(HRHA) using a hydrophilic polyol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NCO index was synthesized. This HRHA was synthesized using Polyethylene glycol(PEG) as a hydrophilic polyol, Polypropylene glycol(PPG) and Polycaprolactone diol(PCL) as hydrophobic polyols, an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MDI) as an isocyanate. The changes in IR spectrum, viscosity and thermal properties of HRHA with different PEG molecular weights and NCO index were investigated, and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HRHA casting film and the peel strength,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 pressure of the HRHA coated fabric were confirmed. In this experiment, as the molecular weight of PEG and NCO index increased, the adhe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moisture permeability was increased but viscosity and Tg was decreased.

우레탄계 해체성 접착제의 해체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mantlement Property of Dismantlable Polyurethane Adhesive)

  • 김동호;정일두;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1호
    • /
    • pp.26-34
    • /
    • 2010
  • 가열에 의해 해체가 가능한 열적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합성하였으며 열팽창비드를 혼합하여 해체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zer (DMA)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의 열적특성을 확인하였고 접착강도와 열팽창비드의 함량, 가열 trigger의 종류와 처리조건에 따른 해체특성을 연구하였다. 열풍과 microwave 처리에 의해서 해체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부피팽창에 따른 접착된 시편의 해체가 가능하였으며, 열팽창비드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접착된 피착재가 더 쉽게 분리되었다. 해체성 접착제에서 접착력과 해체특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열팽창비드 사용량은 40%이였으며, 가열 trigger로 열풍을 사용한 경우에는 $160^{\circ}C$, 30 min의 조건에서, 가열 trigger로 microwave를 사용한 경우에는 조사시간 4 min의 조건에서 접착되어 있는 피착재가 완전히 해체되었다.

내부 기공이 극저온에서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examination for effect of voids on bonding performance in cryogenic temperature condition)

  • 손민영;김종호;김종학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4-17
    • /
    • 2009
  • 접착제에 의한 접합기술은 다양한 목적과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 중 우레탄 접착제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같이 극저온에서 사용되는 환경에서의 접착에 사용되고 있다. 현장 적용에 있어, 본 접착제를 사용시 경화된 접착제 층의 기공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레탄 접착제와 Triplex 복합재료 접착에 있어 인공적으로 기공을 제작 삽입 후 전단응력 (Single Lap Shear) 시험을 실시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접착력은 본 시험에서 적용한 기공의 크기 및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fluence of Manufacturing Environment on Delamination of Mixed Cross Laminated Timber Using Polyurethane Adhesive

  • SONG, Dabin;KIM, Keon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167-178
    • /
    • 2022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environment on bonding performance of mixed cross laminated wood (CLT) using polyurethane (PUR) adhesive, a boiling water soak delamination tes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as conducted. The 5-ply mixed CLT consisted of Japanese Larch for external and middle layer and yellow poplar for internal layer. The PUR adhesives with different opening times of 10 and 30 minutes were used. The mixed CLT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pressing times of PUR and manufacturing environments of summer and winter. In case of summer environment, the delamination rate of the mixed CLT with pressing time of 4 hours using a PUR adhesive with open time of 10 minutes met the requirements of KS F 2081. In case of winter environment, the delamination rate of the mixed CLT didn't meet the requirements of KS standard.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pressing time according to the open time of the adhesive under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delamination rate of CLT with open time 30 minutes PUR, manufactured by indirect moisture supply methods was 11.2% better than direct moisture supply methods. As a result of delamination test in the same condition of relative humidity and adhesive,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of manufacturing environment influences the adhesive performance.

극저온에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의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접착제간의 접착특성이 전체 박리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Adhesion property betwee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Polyurethane adhesives on Peel strength under Gyogenic tempernture)

  • 손민영;이재광;홍정락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3-19
    • /
    • 2009
  • 접착제에 의한 접합기술은 다양한 목적과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 중 우레탄 접착제는 저온에서의 우수한 접착 특성으로 인하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같은 극저온 환경의 접착에 사용되고 있다. 유사한 우레탄 접착제라도 각기 다른 기재와의 접착특성을 갖게 된다. 특히 기재에 사용된 수지의 종류와 섬유와의 상응성에 따른 접착력의 변화는 산업현장에서의 접착제 선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동일한 리섬유강화복합재료에 접착하였을 때 실험 온도에 따른 다른 경향의 박리강도를 얻었다. 그 원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실혐 결과 극저온에서 접착제와 복합재료 수지간의 접착력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접착제와 가재에 노출된 유리섬유간의 접착력이 달라짐에 따른 원인으로 확인하였다.

유도가열에 의한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의 열적 거동 및 접착특성 연구 (Study on the Thermal Behavior and Adhesion Properties of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via Induction Heating)

  • 전호균;박현주;이지은;이종환;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4호
    • /
    • pp.167-17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합성 후, 유도가열에 감응하는 금속 입자를 첨가하여 유도가열 melt형 접착제를 제조하고, 금속입자의 종류 및 크기, 유도가열 조건에 따른 열적 거동 및 접착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금속입자 중에서 iron 및 nickel 적용 시, 유도가열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금속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도가열 효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접착제의 유도가열 출력 세기가 높고, 접착제 두께가 얇을수록 접착강도가 향상되었다.

Effect of Polyisocyanate Hardener on Waterborne Polyurethane Adhesive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Ionic Groups

  • Rahman Mohammad Mizanur;Kim Han-D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6호
    • /
    • pp.634-639
    • /
    • 2006
  • Waterborne polyurethane (WBPU) adhesive with varying amounts of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was synthesized by prepolymer process and blended with polyisocyanate hardener. The mean particle size of the WBPU dispers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DMPA content. $^1H$ NMR spectroscopy confirmed the formation of allophanate bonds and biuret bonds due to the reaction of hardener NCO with urethane/urea groups. The optimum NCO content with the greatest adhesive strength was dependent on the total content of urethane/urea groups in the WBPU molecules. The optimum NCO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urethane groups (DMPA content). The adhesion strength of WBPU adhesives was maximized at a molar ratio of hardener NCO to urethane/urea of about 0.28.

저연기성 이액형 방염우레탄락카 백색도료 연구 (Study for Binary Liquid Type Fire Retardant White Paint of Polyurethane Lacquer)

  • 권경옥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527-530
    • /
    • 2007
  • 방염도료로 일액형 염화고무(Chlorinated Rubber) 백색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탄화시 검은 연기가 많이 발생되고 목재에 대한 표면강도와 접착력 등의 미흡한 단점이 있어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한 Polyurethane Resin계(Alkyd Resin) 이액형 방염우레탄라카 백색도료를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서 개발한 목재용 Polyurethane Resin계 방염도료 조성의 물성은 기존의 방염백색도료보다 목재와의 친화력이 향상되고 다량의 연기발생은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다.

라미네이트 강판용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접착거동 (Adhesion Mechanism of Polyurethane Adhesive for Laminated Steel Plate)

  • 염주선;강호종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119-123
    • /
    • 2012
  • 금속 박막 접착제로 사용되는 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라미네이팅 조건에 따른 접착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접착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강판에 도포된 접착제의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blocking agent로 사용된 옥심이 분해되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발현되고 이들이 강판과 알루미늄 포일의 하이드록실기와 반응하여 강판 접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접착 강도는 접착 온도 및 시간에 따라 발생된 이소시아네이트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지나친 접착 온도 및 접착 시간의 증가는 접착제에 함유된 용매의 감소와 접착제 분해를 유발시켜 접착 강도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