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ization reaction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27초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에 의한 NTC 서미스터의 제조 (Microwave hybrid sintering of NTC themistor)

  • 최영락;안진용;안주삼;백동규;최승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08-512
    • /
    • 1998
  • 마이크로파(2.45GHz)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법으로 $1100^{\circ}C$~$13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반도체 세라믹스인 $Mn_3O_4{\cdot}Co_3O_4{\cdot}3NiO$ 조성의 NTC 서미스터를 소결하였으며,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온도가 높아질수록 소결밀도가 높은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25~$85^{\circ}C$ 범위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저항변화 특성으로부터 구한 비저항 $B_{25^{\circ/85^{\circ}}$ 정수는 3100~3200K이었다.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과 일반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을 비교하면 소결특성과 전기적물성에서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공정은 20분 안에 완료되는 짧은 시간의 급속소결법으로 공정 시간과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멜라민계 고유동화제의 다양한 조건에서의 합성 및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Melamine-Type Superplasticizer at the Different Synthetic Conditions)

  • 윤성원;신경호;노재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811-818
    • /
    • 2005
  • 플래쉬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유동성 감소는 유기 화학혼화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유기화학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하이드(SNF, Sulfonated Naphthalene-Formaldehyde)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가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동성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술포네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SFM, Sulfonated Melamine-Formaldehyde) 고유동화제를 합성하여 SNF 고유동화제의 물리적 특성을 보완하고자 한다. SNF계 고유동화제를 4단계로 나누어 반응을 진행하였고, Step.1은 hyydroxymethylation 단계이고, Step.2는 sulfonation단계이고, Step.3은 중합단계이고, Step.4는 안정화 단계이다. SMF 고유동화제의 합성은 pH,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본 합성에서 우리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의 몰비를 1:3, 1:4로 변화시키고, Step. 3에서 촉매의 양을 조절하면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SMF 고유동화제 및 SNF계 고유동화제와 혼합한 시료에 대해서 시멘트 대비 0.5, 1.0, 1.5wt% 첨가하여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유동화제를 첨가한 시료는 첨가하지 않은 시료 CEM보다 높은 압축강도, 슬럼프 값을 나타내었고, 미세한 기공과 낮은 기공율을 보였다.

Poly(vinyl chloride) 가지형 공중합체를 이용한 수소이온 전도성 가교형 전해질막의 제조와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on Conducting Crosslinked Membranes Based On Poly(vinyl chloride) Graft Copolymer)

  • 김종학;고종관;최진규;박정태;고주환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261-267
    • /
    • 2008
  •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hydroxyethyl acrylate) (PHEA) 곁사슬로 구성된 가지형 공중합체를 원자전달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PVC의 2차 염소원자의 직접적인 개시반응에 의해 친수성인 PHEA 단량체를 그래프팅시켰다. 이렇게 합성된 PVC-g-PHEA을 술포석시닉산(SA)를 사용하여 가교시켰으며, 이는 가지형 공중합체의 -OH 그룹과 SA의 -COOH와의 에스테르 반응임을 FT-I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온교환능(IEC)은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하여 증가하여 0.87 meq/g까지 도달하였고, 이는 전해질막에 이온 그룹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 율은 SA 함량이 20 wt%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수소 이온 전도도도 SA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20 wt% SA 농도에서 0.025 S/cm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 그룹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와 가교가 증가하는 효과가 서로 경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Escherichia coli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유전자 argI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Escherichia coli Ornithine Transcarbamylase Gene, argI)

  • 류기중;유장걸;고영환;김찬식;송성준;오영선;이선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18-122
    • /
    • 1995
  • Escherichia coli의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는 오르니틴과 카바밀인산으로부터 시트룰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효소이다. 이 효소의 기능과 구조와의 상관관계, 반응메카니즘 등 생화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대량의 효소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대량생산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E. coli argI 유전자를 E. coli $DH5{\alpha}$ 세포의 염색체 DNA를 추출한 후에 PCR 방법으로 증폭시켜 얻었다. 증폭된 argI 유전자를 단핵생물 단백질 발현벡터인 pKK223-3에 접합시킨 후,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가 존재하지 않은 E. coli TB2 세포에 클로닝 시켰다. 이 세포로부터 생산된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는 암모늄염에 의한 분할, 열변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SDS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 약 38 kDa 크기의 효소가 순수하게 얻어졌다. 반응속도론적 실험결과 $K_{cat}$$1{\times}10^5m^{-1}$, $K_M$은 오르니틴에 대하여는 0.35 mM, 카바밀인산에 관하여는 0.06 mM이 각각 얻어졌다. 이 결과는 야생형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반응속도 인자들과 비슷한 값이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로부터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기능을 하는 E. coli argI 유전자가 클로닝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Methyl tert-Butylether 合成에 미치는 HZSM-5 觸媒의 SiO$_2/Al_2O_3$ 比의 영향 (Effect of SiO$_2/Al_2O_3$ Ratio of HZSM-5 Catalyst on the Synthesis of Methyl tert-butylether)

  • 김건중;안화승;조병린;권이묵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2
    • /
    • 1989
  • HZSM-5를 觸媒로 하여 메탄올과 이소부틸렌으로부터 Methyl tertiary butyl ether(MTBE)의 氣相合成實驗을 하였으며, zeolite 觸媒의 SiO$_2/Al_2O_3$ 比 및 反應條件의 영향을 硏究하였다. 각 觸媒들은 pyridine을 吸着시켜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TPD) 및 IR法으로 酸點의 세기와 特性을 조사하였으며, 승온탈착실험을 통하여 각 反應物 및 生成物의 吸着特性을 검토하였다. HZSM-5의 SiO$_2/Al_2O_3$比가 증가할수록 强한 酸點의 수는 감소하여 메탄올의 脫水反應은 억제되고 MTBE에 대한 선택도가 증가하였다. MTBE에 대한 전환율과 선택도는 $i-C_4H_8$의 細孔內 확산저항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MTBE合成反應은 發熱的이어서, 전반적으로 80$^{\circ}$C의 반응온도가 合成에 적합하였다. 한편 각 觸媒上에 生成된 coke의 特性을 TG, DTA 및 IR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침착된 coke의 量은 HY > H-Mordenite > HZSM-5順이었으며, H-Mordenite에 있어서는 누적된 coke의 양이 HZSM-5보다 현저하지는 않았으나, 細孔의 配向이 1方向性이므로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심한 活性減退가 일어났다. HY는 큰 細孔을 가지고 있어 M$i-C_4H_8$의 重合이 쉽게 일어났으며, HZSM-5에 비하여 많은 coke의 참착과 빠른 活性減退를 나타내었다.

  • PDF

Inflammatory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Curing Light Irradiation on Raw264.7 Macrophage

  • Jeong, Moon-Jin;Kil, Ki-Sung;Lee, Myoung-Hwa;Lee, Seung-Yeon;Lee, Hye-Jin;Lim, Do-Seo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40
    • /
    • 2019
  • Background: The light-emitting diode (LED) curing light used is presumed to be safe. However, the scientific basis for this is unclear, and the safety of LED curing light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D curing light irradi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pplied for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in dental clinic on the cell viability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264.7 macrophages and to confirm the stability of LED curing light. Methods: Cell viability and cell morphology of Raw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100 ng/ml of lipopolysaccharide (LPS) or/and LED cur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440~490 nm for 20 seconds were confirmed by methylthiazoly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was confirmed by NO assay and $PGE_2$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total RNA and protein wa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LED curing light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and morphology of normal Raw264.7 cells but affect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cytotoxicity in the inflammation-induced Raw264.7 cells by LPS. The irradiation of the LED curing light did not progress to the inflammatory state in the inflammation-induced Raw264.7 macrophage. However, LED curing light irradiation in normal Raw264.7 cells induced an increase in NO and $PGE_2$ production an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L)-1{\beta}$ and $(TNF)-{\alpha}$, indicating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flammatory state. Conclusion: The irradiation of LED curing light in RAW264.7 macrophage may induce an excessive inflammatory reaction and damage oral t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long-term irradiation which is inappropriate when applying LED curing light in a dental clinic.

Metal Anion Polymerization에 관한 연구 (제3보).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lO_4$Solution (Studies on Polymerization of Metal Anion (III).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IO_4$ Solution)

  • 안상운;박의서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5-153
    • /
    • 1973
  • 1M $NaCIO_4$용액에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 평형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20~50$^{\circ}$C온도 범위 내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 온도 범위에서 생성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은 평형 온도에 관계없이 헵타몰리브덴산염($Mo_7O_{24}^{-6}$) 이온과 헵타몰리브덴산염의 양성자화된 꼴($H_LMo_7O_{24}^{(6-L)-}$) 이었다. 실렌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는 지적한 평형 온도에서 각각 다음과 같다. $8H^{+}+7MoO_4^{2-}=Mo_7O_{24}^{6-}+4H_2O$, $k_{7.8}=2.77{\times}10^{53}:20^{\circ}C= 9.29{\times}10^{51}:40^{\circ}C$,$k_{7.8}= 4.22{\times}10^{52}:30^{\circ}C = 9.29{\times}10^{51}:50^{\circ}C$ 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31.50kcal/mole이었다.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이온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 계산법을 유도하여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H + Mo_7O_{24}^{-6} = H_LMo_7O_{24}^{(6-L)-} : L = 1\;or\;2$, $k_1 = 2.31{\times}10^4=2.53{\times}10^4=2.76{\times}10^4= 3.10{\times}10^4$, $k_2 = 6.19{\times}10^7\;20^{\circ}C = 7.80{\times}10^7\;30^{\circ}C = 1.22{\times}10^8\;40^{\circ}C = 2.03{\times}10^8\;50^{\circ}C$ 다음 단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H^{+}+Mo_7O_{24}^{6-}= HMo_7O_{24}^{5-}\;{\Delta}H^{\circ}=1.900 kcal/mole$, $2H^{+}+Mo_7O_{24}^{6-}=H_2Mo_7O_{24}^{4-}\;{\Delta}H^{\circ}=7.500kcal/mole$

  • PDF

Nano-ZnO/Laponite/PVA 광촉매 흡착볼의 메틸렌블루 제거효율 평가 (Evaluation on Removal Efficiency of Methylene Blue Using Nano-ZnO/Laponite/PVA Photocatalyzed Adsorption Ball)

  • 오주현;안호상;장대규;안창혁;이새로미;주진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36-642
    • /
    • 2013
  • 광촉매인 나노크기의 산화아연(ZnO)과 흡착기능의 지지체인 Laponite, 결합제인 poly vinyl alcohol (PVA)를 혼합하여 붕산(boric acid)과 가교반응(crosslinking)을 통해 흡착과 광분해가 동시에 발생하며 회수가 불필요한 nano-ZnO/Laponite/PVA (ZLP) 광촉매 흡착볼을 개발하였다. ZLP 광촉매 흡착볼 제작을 위한 최적의 배합비는 Nano-ZnO:Laponite:PVA:deionized water의 구성비가 3:1:1:16 (by weight)으로 도출되었으며, PVA가 붕산과의 가교결합을 통해서 다층의 망(mesh network)과 막(film)을 형성하여 Laponite의 팽윤과 ZnO의 탈리 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중안정성을 개선하고 비표면적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건조방법은 microwave를 활용하는 방법이며, SEM과 TEM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크기(55~500 ${\mu}m$)의 공극(pore)이 분포하며 ZnO의 균질한 분포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메틸렌블루 광분해 특성은 반응 초기(40분)에는 Laponite와 메틸렌블루의 이온결합에 따른 흡착제거가 주요 제거 기작이며, 메틸렌블루의 흡착이 포화상태에 도달 후 광분해를 통한 제거가 발생함을 확인하여 흡착과 광분해가 동시에 발생하여 수중에 용해된 메틸렌 블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짧은 시간에 흡착과 광분해가 동시에 진행되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광촉매 흡착볼의 제작이 가능하며, 나노물질의 탈리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및 수용체에 미치는 위해성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후 발달과정동안 남성 생식기의 Efferent Ductules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Basigin의 발현 양상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 발현 조절 연구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Basigin and Estrogen Receptor α(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이기호;최인호;정정수;장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09-3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인 efferent ductules(ED)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isoform과 Basigin(Bsg)의 mRNA 발현을 탐구하고, MCT1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생후 여러 연령대의 백서 ED에서 MCT isoform과 Bsg의 mRNA 발현 여부는 real-time PCR에 의해 조사 되었고, 정상 생쥐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knockout 생쥐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의 발현 조절 여부는 immunohistochemistry 방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아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백서의 ED에서 MCT1, 2, 3, 4와 8 그리고 Bsg 유전자의 발현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MCT1의 발현이 ED의 ciliated 세포의 basolateral 지역에서 발현되고 어떤 측면에서 ERα에 의해 조절되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MCT가 monocarboxylate의 세포 내, 외부로 운반을 조절함으로써 남성 생식기의 일부인 ED의 역할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을 시사한다.

표면개질을 이용하여 붕소 제거율이 향상된 역삼투막의 제조 (Fabrication of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Enhanced Boron Rejection Using Surface Modification)

  • 이덕로;김종학;권세이;이혜진;김인철
    • 멤브레인
    • /
    • 제28권2호
    • /
    • pp.96-104
    • /
    • 2018
  • 해수담수화의 빠른 증가와 함께 붕소 제거에 대한 중요성이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표면개질 시 친수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투과량을 최대한 막고 붕소 제거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을 얻기 위해 M-phenylenediamine (MPD)와 trimesoyl chloride (TMC)를 Polysulfone 한외여과막에 계면중합을 시켜 polyamide 활성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표면개질을 진행시켜 D-gluconic acid (DGCA)와 D-gluconic acid sodium salt (DGCA-Na)를 glutaraldehyde (GA)와 hydrochloric acid (HCl)을 이용하여 합성시켰다. 합성된 역삼투막의 표면 분석을 위해 XP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DGCA 및 DGCA-Na 화합물과의 반응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orphology 측정을 위해 FE-SEM과 AFM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polyamide 활성층 형성 및 표면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투과량의 경우,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은 10 GFD 수준이거나 그 이하의 값을 가졌다. 하지만, DGCA 및 DGCA-Na 화합물과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의 붕소 제거율은 94.38, 94.64%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각각 12.03, 12.29 %p만큼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