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ization degree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4초

${\beta}-Cyclodextrin$ 중합체와 한외여과 공정을 이용한 감귤류의 쓴맛 성분 제거 (Debittering of Citrus Products Using ${\beta}-Cyclodextrin$ Polymer and Ultrafiltration Process)

  • 우건조;하성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2-308
    • /
    • 1997
  • Epichlorohydrin을 이용하여 ${\beta}-CD$ 중합체를 제조한 후 차단분자량 10,000인 막(YM 10)을 이용하여 수용성 ${\beta}-CD$ 중합체와 불용성 ${\beta}-CD$ 중합체를 분리하였다. 최적분리 조건은 막횡단압력 51.7 kPa, 운용온도 $35^{\circ}C$, 용적농축비 10이었으며, 이때의 flux는 $0.025\;mL/cm^{2}/min$ 이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수용성 중합체의 중합도는 $2{\sim}8$, 불용성 중합체는 1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beta}-CD$ 중합체의 소수성 물질들과의 포접 형성능을 비교하였다. 색소물질인 4-dimethylaminoazobenzene과 methyl red를 이용하여 ${\beta}-CD$${\beta}-CD$ 중합체와의 포접 능력을 측정하였다. 포접 복합체 형성 여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분광학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두 색소물질 흡광도의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최대 흡광도 위치가 변하였다. 감귤류의 주된 flavonoid이며 쓴맛물질인 naringin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으나 ${\beta}-CD$ 중합체과 포접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수용성이 증가하였다. ${\beta}-CD$ 단위체보다는 ${\beta}-CD$ 중합체의 포접능력이 훨씬 강하였으며, 중합도별 포접능력에 있어 불용성 ${\beta}-CD$ 중합체와 수용성 ${\beta}-CD$ 중합체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eta}-CD$ 단위체는 용해도가 극히 낮아 쓴맛 물질 제거 이용에 있어 제한이 있는 반면, 수용성 ${\beta}-CD$ 중합체는 용해도가 높아 감귤류 등으로부터 쓴맛 성분을 감소시키는 공정에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ari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 with Isoflavones in Maturing Soybean Seeds

  • Kim Sun-Lim;Lee Young-Ho;Yun Hong-Tae;Moon Jung-Kyung;Park Keum-Yong;Chung Jong-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05
  • This study was focuses on the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during seed development and their interaction with major chemical components such as protein, amino acids, saccaharides, lipid and fatty acids. During maturing, lipid,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in soybean seeds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R7 stages, but isoflavone contents were increased until R8 stage. It was noted that malonyl glucosides $(64.2\%)$ are predominant forms among conjugated isoflavones followed by glucosides $(30.7\%)$, acetyl glucosides $(4.1\%)$ and aglycones $(0.9\%)$. Sucrose and stachyose were presented as a major saccharide in soybean seeds. As maturing days progressed, they were constantly increased and the highest contents were observed at R8 stage. While small quantities of raffinose, fructose, glucose, maltose, DP3 (DP: degree of polymerization), DP6, and DP7 were detec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saccharide composition at the beginning of seed development is primarily monosaccharides with little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but as maturing days proceeds, sucrose and starch increase with concomitant decrease in monosaccharides. Sucrose and stachyo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soflavone (r=0.780, 0.764 at p<0.01, respectively), while fructose, glucose, maltose, and DP7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651, -0.653, -0.602, and -0.586 at p<0.05, respectively). Soybeans at R8 stage were high in protein and amino acid, but low in free amino acid contents.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soflavone (r=0.571 and 0.599 at p<0.05, respectively), but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negatively correlation with isoflavone (r=-0.673, p<0.01). The lipid content reaches its final content relatively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and remains constant as compared with other chemical components. Among the fatty acids, although varietal difference was presente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gradually decreased, while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as seed maturing progressed. Lipi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0.754, p<0.01) with isoflavones. However, neither saturated fatty acid nor unsaturated fatty acid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soflavone contents of maturing soybean seeds.

Hemicellulose계열 올리고당 탐색 및 탄소원 대체에 의한 장내세균 생육활성용 신규 MRS배지의 조제 (Screening of Hemicellulose Oligosaccharides and Preparation of the Recipe for Modified MRS Medium by the Replacement of Carbon Source)

  • 이희정;박귀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72-276
    • /
    • 2008
  • 정제효소에 의해 locust bean gum galactoman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4와 6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3}(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triose)$로, D.P. 6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4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5}(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pentaose)$로 유추하고 있다. B. longum, B. bifidum,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4와 6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4와 6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galact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10배의, D.P. 4을 처리한 경우에도 7.6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6.6배, D.P 4에서 4.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animalis에 있어서는 D.P. 6의 경우 3.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6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4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MRS 배지의 제품화와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탄소원 대체소재는 Bacillus sp. 유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 인 ${Gal^3}{M_4}$가 가장 유리한 소재로 결정되어 신규 배지의 scale-up 공정을 구축중에 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Xylogone sphaerospora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이희정;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9-163
    • /
    • 2008
  •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합도 3과 4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3과 4의 예상되는 구조는 본 연구실에서 확보하고 있는 standard glucomannooligosaccharides에 의한 TLC에서 나타나는 Rf value 상으로 1차적으로 확인하고, Aspergillus niger 5-16 유래 정제 ${\beta}$-mannanase를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 pattern을 TLC로 해석한 결과 D.P. 3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G-M)로,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3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M-G-M)로 예상하고 있다. B. longum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3과4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3과 4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4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3.9배의, D.P. 3을 처리한 경우에도 2.7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4에서 2.47배, D.P 3에서 2.0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있어서는 D.P. 4의 경우 2.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4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3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Chindo Black Rice Starch)

  • 박종훈;오금순;강길진;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41-246
    • /
    • 2000
  •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고 신선찰벼와 비교 검토하였다.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의 전분-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은 각각 523 nm, 521 nm였고, 고유점도는 각각 183 ml/g, 178 ml/g였으며, ${\beta}-amylolysis$ limit(%)는 각각 62.8%, 60.3%였다. 진도산 검정쌀은 요오드 반응과 Sepharose CL-2B의 용출패턴 결과로 찹쌀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40{\sim}50$(획분 II), 중합도 $15{\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획분 II에 대한 획분 III의 비율(A/B 사슬비)는 진도산 검정쌀이 3.02, 신선찰벼가 2.82로 나타났다. 또한, 초장쇄 부분이 획분 I은 진도산 검정쌀이 신선찰벼의 아밀로펙틴 보다 많았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 베타-한계 덱스트린 분자량 분포는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30{\sim}45$(획분 II), 중합도 $10{\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도산 검정쌀 전분은 polymodal 구조를 갖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선찰벼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였다.

  • PDF

Ganoderma lucidum IY 009로 부터 분리된 항암성 다당류의 정제 및 구조분석 (Pur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Ganoderma lucidum IY 009)

  • 이권행;정훈;이준우;한만덕;최경숙;오두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6
    • /
    • 1994
  • Alkali soluble(AS) fraction, revealed the highest antitumor activity of the alkali extracted fractions of G. lucidum IY 009, was loaded on DEAE cellulose(OH$^{-}$ form) column. AS-1, AS-2, AS-3, AS-4 and AS-5 were obtained by stepwise elution with H$_{2}$O, 0.1 M NaHCO$_{3}$, 0.3 M NaHCO$_{3}$, 0.5 M NaHCO$_{3}$ and 0.5 N NaOH respectively, and their antitumor activities(I.R. %) against the sarcoma 180 were 97.5%, 68.0%, 73.0%, 81.0% and 66.0% respectively. AS-1 observed highest antitumor activity was appeared as single peak on the Sepharose CL-4B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ir molecular weight was about 580,000 dalton. The carbohydrate content of AS-1 was 98.9%, their monosaccharide consisted of 67.5% of mannose, 22.5% of xylose, 5.8% of glucose, 1.8% of galactose and 2.0% of ribose. AS-1 was assumed $\alpha $linkaged xylomannan having infrared absorption at 864.3 cm$^{-1}$. The main alditol acetates of AS-1 were identified as 1,5-Di-O-acetyl1-2,3,4-Tri-O-methylxylitol, 1,4,5-Tro-O-acety1-2,3,6-Tri-O-methylmannitol and 1,3,4,5-Tetra-O-acety1-2,6-Di-O-methylmannitol by methylation analysis, and their molar ratio was 1 : 2 : 1. The core portion of AS-1 might be $\alpha $-(1$\longrightarrow $ 4)mannopyranosyl unit branched with side chain, C1 of xylopyranosyl residue linked to C3 of every 3 mannopyranosyl units,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structural unit in AS-1 was about 835.

  • PDF

나노 충전제 함량에 따른 복합레진의 표면 미세경도 차이 (EFFECTS OF NANOFILLER CONTENT ON THE MICROHARDNESS OF EXPERIMENTAL MICROHYBRID RESIN COMPOSITES)

  • 정영정;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2
    • /
    • 2005
  • 최근에 개발된 나노 충전제를 microhybrid 복합레진에 첨가할 때, 나노 충전제 함량이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나노 충전제의 함량을 다르게 제작한 복합레진에서 광중합 후 미세경도를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2%, 3%인 군은 0%, 1%인 군에 비해 중합된 면의 미세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레진 시편의 하면에서의 미세경도는 증가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레진 시편의 상면과 하면의 미세 경도 차이는 나노 충전제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xtrans Produced by Leuconostoc sp. strain JYY4 from Fermented Kimchi

  • Gu, Ji-Joong;Ha, Yoo-Jin;Yoo, Sun-Kyu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58-766
    • /
    • 2015
  • Dextran is a generic term for a bacterial exopolysaccharide synthesized from sucrose and composed of chains of D-glucose units connected by ${\alpha}$-1,6-linkages by using dextransucrases. Dextran could be used as vicosifying, stabilizing, emulsifying, gelling, bulking, dietary fiber, prebiotics, and water holding agents. We isolated new strain capable of producing dextran from Korean traditional kimchi and identified as Leuconostoc sp. strain JYY4. Batch fermentation was conducted in bioreactor with a working volume of 3 L. The media was MMY and 15% (w/v) sucrose. Mineral medium consisted of $3.0g\;KH_2PO_4$, $0.01g\;FeSO_4$, $H_2O$, $0.01g\;MnSO_4$, $4H_2O$, $0.2g\;MgSO_4\;7H_2O$, 0.01 g NaCl, $0.05g\;CaCl_2$ per 1 liter deionized water. The pH of media was initially adjusted to 6.0. The inoculation rate was 1.0% (v/v) of the working volum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8^{\circ}C$. The agitation rate was 100 rpm. The production pattern of dextran was associated with the cell growth. After 24 hr dextran reached its highest concentration of 59.4 g/L. The sucrose was consumed completely after 40 hr. Growth reached stationery phase when sucrose became limiting,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fructose or mannitol. When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0.54 hr-1, utilization averaged 5.8 g/L-hr. The yield and productivity of dextran were 80% and 2.0 g/L-hr, respectively. Dextrans produced by were separated to two different size by an alcohol fraction method. The size of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 (45% alcohol, v/v), less soluble dextran, was between MW 500,000 and 2,000,000. Soluble dextran (55% alcohol, v/v) was between 70,000 and 150,000. The molecular weight average of total dextran (70% alcohol, v/v) was between 150,000 to 500,000. The enzymatic hydrolyzates of total dextran of ATCC 13146 showed branched dextrans by Penicillium dextranase contained of glucose, isomaltose, isomaltotriose,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greater than DP4 (degree of polymerization) that had branch points. Compounds greater than DP4 were branched isomaltooligosaacharides. Hydrolysates by the Lipomyces dextranase produced the same composition of oligosaccharides as those by Penicillin dextranase.

키토올리고당과 수용성 키토산의 열처리가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와 항 로타바이러스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Chitooligosaccharide and Water-Soluble Chitosan on the Changes in Oligosaccharide Content and Anti-Rotaviral Activity)

  • 박범석;김종헌;유대환;유제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809-816
    • /
    • 2002
  • 키틴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화합물인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므로 생물의학적인 응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키토올리고당과 수용성 키토산의 열처리 후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와 어린이 바이러스성 설사를 유발하는 HRV(human rotavirus)의 MA-104 세포감염에 억제작용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 후 비색법으로 측정한 올리고당의 함량은 수용성키토산의 경우 62.67 %에서 60.45%로 약 2%정도, 키토올리고당은 59.48%에서 54.31%로 약 5%정도 감소하였다. 키토산 유래물질의 항로타바이러스성 탐색은 AEC staining으로 측정하였으며, 수용성키토산은 농도 0.125% 이상에서 HRV S2의 세포감염에 있어 90% 이상의 감염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HRV Wa의 경우 89%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키토올리고당은 HRV의 세포감염에 억제효과가 없었다.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수용성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모두 열처리가 HRV의 감염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합도가 높은 수용성키토산은 열처리를 거치는 식품에 첨가하여도 그 기능이 크게 감소하지 않으므로 향후 식품첨가물로서 이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함량 분석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 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0-316
    • /
    • 1994
  •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물성 식품 및 민간요법에서 이용되는 비상용식품 45가지를 선택하여 총페놀함량은 Folin-Denis 법으로, 축합형 탄닌의 함량은 vanillin 법과 modified vanillin 법으로,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의 함량은 단백질 침전법으로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건물기준)은 $0.1{\sim}5.8%$로 감잎, 밤속껍질, 모과, 호두, 해바라기씨, 칡뿌리에서는 2%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축합형 탄닌함량(건물기준)은 $0{\sim}48%$로 모과 밤속껍질에서 매우 높이 나타났다. 단백질 침전성 페놀성분의 함량(건물 기준)은 $0.4{\sim}2.2%$로 밤속껍질, 호두, 모과에서 매우 높았고 그들의 단백질 침전능은 트립신보다 펩신이나 알부민에서 더 잘 나타났다. 식품중 페놀성물질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총페놀 함량과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 함량(r=0.65)과 축합형 탄닌함량(r=0.56)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축합형 탄닌함량과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 함량간에는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r=0.39)를 보였다. 축합형 탄닌의 중합도를 예측하는 vanillin/Folin-Denis 비를 살펴본 결과 모과, 밤속껍질, 수수에서 높은 값을 보여 결국 낮은 중합도를 보였다. 메밀, 도토리, 쑥, 칡 등을 이용한 가공식품에서의 페놀물질 함량은 원료상태에서 보다 낮은 함량을 보여 식품단백질의 이용율에는 큰 장애를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