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blend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28초

Transesterification and Compatibilization in the Blends of Bisphenol-A Polycarbonate an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 Na Sang-Kuwon;Kong Byeong-Gi;Choi Changyong;Jang Mi-Kyeong;Nah Jae-Woon;Kim Jung-Gyu;Jo Byung-Woo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88-95
    • /
    • 2005
  • Melt blending of Bisphenol A polycarbonate (PC) an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was carried out over the entire composition range. The mixing time was varied up to 90 min. The resulting samples were analyzed by FT-IR, DSC, XRD, DMTA, $^{1}H NMR$, and SEM. The process of transesterification between the two polymers and their resulting compatibilization were observed. The behaviors of the PTT-rich and PC-rich blends were different and an equilibrium was found to exist. Peculiar behavior,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TT-rich and PC-rich blends, was exhibited by the 50/50 (PTT/PC) blend.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특성연구 : 모폴로지, 기계적 성질, 및 가스 투과도 (Characterizations of Cellulose Blend Films: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y, and Gas Permeability)

  • 장서원;장진해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63-69
    • /
    • 2008
  • 두 가지 서로 다른 첨가제(additive)를 사용한 셀룰로오스 블렌드들의 기계적 성질과 모폴로지를 비교하였다. 용액 블렌딩법을 통해 만든 셀룰로오스 블렌드에는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과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등의 첨가제가 사용되었다. 고분자 매트릭스에 사용된 첨가제의 양에 따라 블렌드 필름의 물성들은 다양하게 변하였다. PVA와 EG가 각각 30 wt%와 10 wt% 포함되었을 때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최종인장 강도와 초기 탄성률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용액 블렌딩법을 이용하여 EG를 셀룰로오스 블렌드(셀룰로오스/PVA (70/30=w/w))에 섞은 삼성분계(ternary system) 필름을 얻었으며, 이 필름에서는 EG가 40 wt% 포함되었을 때 기계적 물성이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또한, 이 값은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이성분계 블렌드 필름들보다 더 높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삼성분계 블렌드 필름에서 산소 투과도($O_2TR$)는 EG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스 투과도 역시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블렌드된 셀룰로오스 필름의 기계적 성질이 순수한 셀룰로오스보다 더 우수하였다.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

  • 이수;진석환;이재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5-101
    • /
    • 2012
  • 완전 생분해성 고분자 블렌드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치환도가 다른 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에 5 - 50%의 저분자량 폴리락타이드(PLA)를 블렌딩하였다. 이 때 사용된 각각의 고분자는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제에 녹여서 점도가 같은 조건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각 조성의 블렌드필름의 표면 모폴로지와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화학적 구조는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 분석 결과 5% 이하의 폴리락타이드를 함유한 블렌드필름은 상분리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20% 이상이 함유된 경우 상분리가 매우 심각하였다. 또한 블렌드필름의 인장강도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TAC/PLA의 경우 $820kg_f/cm^2$ 및 DAC/PLA의 경우 $600kg_f/cm^2$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Enhanc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through Polymer Blending: A Study on PVA-PDDA Blended Films fo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 Nebiyou Tadesse Debele;Alemtsehay Tesfay Reda;Yong Tae Park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139-142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polymer blend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capability of composite polymers. A multifunctional free-standing polymer blend composed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DDA) was fabricated using a polymer casting method. Stress-strain analysis of the polymer blend revealed an enhanced stretchability of 308.4% with excellent transparency. Furthermore, triboelectric analysis revealed dynamic energy harvesting capabilities with impressive electrical voltage and current output of 50 V and 5 μA. These results represent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individual PVA and PDDA polymers and highlight the potential of polymer blending to enhance both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비상용 고분자 블렌드 용액의 전단 균질화 연구 (Shear Induced Homogenization Study of an Immiscible Polymer Blend Solution Using Fluorescence Microscope)

  • 유재웅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413-420
    • /
    • 2003
  •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4-클로로-7-니트로벤조퓨라잔이 표지된 폴리스티렌과 폴리부타디엔 블렌드 디옥틸프탈레이트 용액의 전단력하에서의 상평형 거동을 관찰하였다. 형광 현미경과 위상차 현미경을 동시에 사용하여 형광이미지가 실제 블렌드용액의 모폴로지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도메인에서 형광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도메인상 (폴리스티렌 풍부상)과 연속 매트릭스상 (폴리부타디엔 풍부상)이 외부에서 가해준 전단력에 의하여 조성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렇게 측정되어진 전단력의 변화에 따른 조성 차이의 변화로부터 상분리 곡선이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Mechanical Property, Thermal Conductivity, Rebound Resilience and Thermal Property of Chloro Isobutylene Isoprene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Blend

  • Hwang, Young-Bea;Lee, Won-Ki;Park, Chan 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3권2호
    • /
    • pp.80-85
    • /
    • 2018
  • Chloro isobutylene isoprene rubber (CIIR) and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compounded with other formulation chemicals, depending on the polymer blend, were prepared by mechanical mixing. After manufacturing the rubber vulcanizate by compression molding with a hot press,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including thermal conductivity, rebound resilience of the CIIR/EPDM blends were measured. As the EPDM rubber content increased, hardness and tension se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Pure CIIR exhibited the lowest tensile strength; however,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loading of EPDM rubber. On the other hand, in CIIR rubber, which is usually a low-rebound elastomer owing to a high damping effect, rebound resilience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content of EPDM rubber increased. As the EPDM rubber content increased, thermal stability was improved due to reduction of decomposition rate in the rubber region of the blend vulcanizate.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Bionolle)와 폴리에피클로로하이드린 블렌드의 상용성 및 열적 거동에 관한 연구 (Miscibility and Thermal Behavior of Biodegradable Synthetic Aliphatic Polyester (Bionolle) and Poly(epichlorohydrin) Blends)

  • 김진호;최형진;이동주;윤진산;진인주
    • 폴리머
    • /
    • 제24권3호
    • /
    • pp.358-365
    • /
    • 2000
  • Miscibility itnd thermal behavior of blends of synthetic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Bionolle) with poly(epichlorohydrin) (PECH) were investigated by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zer (DMTA) and a rotational rheometer. Observed both singl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from the DSC in agreement with the Fox equation and single T$_{g}$ changes as a function of composition from the DMTA indicate that these blend mixtures are miscible. In addition, the miscibility of this blend system was also observed from the single curve of the Cole-Cole Plot of log G′($\omega$) vs. log C"($\omega$) from the dynamic test using a rotational rheometer. This was further verified from the cryogenically fractured surface of BDP/PECH blend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PDF

서로 다른 위치 규칙성을 가지는 두 개의 Poly(3-hexylthiophene) 공액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복합 박막의 구조와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orphologies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Polymer Blend Thin-Films Based on Two Poly(3-hexylthiophene) Conjugated Polymers with Different Regio-regularities)

  • 정강훈;Nann Aye Mya Mya Phu;박래수;윤정우;고영운;장민철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5호
    • /
    • pp.349-354
    • /
    • 2023
  • Poly(3-hexylthiophene) (P3HT)는 유기 용매에서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공액 고분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전자소자의 활성 소재로써 전기적 특성은 실제로 응용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 규칙성 (regio-regularity)을 가지는 두 P3HT 고분자 (즉, regioregular (RR) P3HT 및 regio-random (RRa) P3HT)를 혼합하여 혼합 박막의 전하 전달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두 P3HT 고분자 간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혼합 박막의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원자 힘 현미경(AFM), X선 회절(XRD) 및 UV-vis 흡수분광법을 사용하여 혼합 필름의 구조 및 광전자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혼합 박막의 결정성은 RRa-P3HT 함량이 20 wt%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후 80%까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하 이동도의 경향성 또한 이와 같았으며, 20 wt%의 RRa-P3HT를 포함하는 혼합 박막의 전하 이동도는 가장 높은 0.029 cm2/V·s로 측정되었고 함량이 80 wt%까지증가함에따라 0.0007 cm2/V·s 로감소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블렌드로 제조한 미세다공성 중공사막 (Microporous Bellow Fiber Membrane Prepared from High Density Polyethylen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Blend)

  • 남주영;최승은;이광희;장문석;김진호;임순호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07-312
    • /
    • 2003
  •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HMWPE)을 혼합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이의 형태구조와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자량 측정과 FT-IR을 이용한 분석 결과, 상품화된 중공사막(Sterapore)은 고분자량의 HDPE로 제조되었으며, 표면은 친수성 고분자인 비닐 알코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코팅되어 높은 수투과도를 갖는 이유를 규명하였다. HDPE/UHMWPE 블렌드에서 UHMWPE의 혼합 한계 조성비는 10 wt% 이하이며, UHMWPE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혼합과정에서 광유를 도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조된 HDPE/UHMWPE 블렌드 중공사의 기계적 물성과 막 구조는 Sterapore와 유사하였다.

Li 이온 포함하는 PEO/PMMA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거동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EO/PMMA Containing Li Ion)

  • 한아름;박수진;신재섭;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76-480
    • /
    • 2009
  • 본 연구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는 poly(ethylene oxide)(PEO)와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블렌드를 사용하고, 용매로는 Ethylene carbonate(EC), 그리고 $LiClO_4$를 리튬염으로 하는 전해질 복합체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PMMA의 함유량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결정화도와 이온전도도는 시차주사열량계(DSC)와 주파수반응분석기(FR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PMMA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PEO의 결정 영역이 감소하고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PMMA의 함량이 20 wt.% 이상인 경우, 고분자 블렌드필름에서 상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즉, SEM 분석결과에 의해서, PMMA 주성분 영역과 PEO 주성분 영역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20 wt.% 첨가한 경우 가장 큰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함유량이 20 wt.% 이상에서는 PMMA 상의 증가로 인해 다소 감소된 이온전도도 변화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