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imin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8초

Long-term Air-stable N-type Doped Graphene by Multiple Lamination with Polyethyleneimine

  • 차명준;송우석;김유석;정대성;정민욱;이수일;프라산타 아드히카리;안기석;박종윤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9.1-379.1
    • /
    • 2014
  • 그래핀은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차원 물질로써,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대면적 합성법과 전사 공정을 통해 다양한 기판에서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차세대 전자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온 대기에서 간편하게 적용 가능한 고분자용액공정을 도입하여, 그래핀과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의 다양한 적층구조를 제작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의 높은 밀도의 극성 기능기와 그래핀의 가스배리어 특성을 이용한 상호 보완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환경에 장시간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n형 도핑 효과를 유지하였다. 그래핀에 결함 형성없이 도핑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그래핀 고유의 선형적인 상태밀도를 이용한 일함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래핀 p-n 접합 소자를 제작을 통해 베젤라고 렌즈 효과, 반정수 양자 홀 효과를 이용한 기초 연구에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응용 분야에서는 태양광전지, 유기 전자 소자 분야 등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적 접촉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친수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저압용 PVDF 나노복합중공사막의 제조 및 성능 연구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Low Pressure PVDF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Using Hydrophilic Polymer)

  • 박철오;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8권5호
    • /
    • pp.361-36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한 저압용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layer-by-layer 및 염석 효과 방식으로 지지체막에 코팅하였다. 막의 투과도와 염 배제율 성능을 알아보고자 NaCl, $MgCl_2$, $CaSO_4$ 100 mg/L수용액을 1 L/min의 유량으로, 2 bar의 압력을 상온에서 가해주었다. 20,000 ppm의 PSSA (이온세기 1.0)용액에 3분, 30,000 ppm (이온세기 0.1)용액에 1분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하였다. 투과도와 염 배제율은 NaCl 공급액에서는 38.5 LMH, 57.1%, $MgCl_2$는 37.9 LMH, 90.2%, $CaSO_4$는 32.4 LMH, 54.6%로 각각 측정되었다.

고정화 전화당 효소에 의한 메틸 프룩토시드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Meth.yl Fructoside by Immobilized Invertase)

  • 허주형;김해성
    • KSBB Journal
    • /
    • 제8권4호
    • /
    • pp.313-319
    • /
    • 1993
  • 다공성 실리카표변에 폴리에틸렌이민과 글루타르 알데히드로 전화당 효소를 고정화시키고 자당과 에 탄올로부터 메틸 프룩토시드를 합성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다공성 설리카를 폴리에틸렌이 민으로 표면처리하여 얻어진 고정화 담체는 그 다공 성 구조와 표면화학적 특성이 효소의 고정화에 적합 하여 전화당 효소에 대한 고정화 함량 120mg/g, 활 성도 lOOD/mg을 얻어 배당체의 합성반응에서 필요 로 하는 고정화 촉매를 제조할 수 었었으며 고정화 담체 표변에 형성된 폴리에틸렌이민 피막은 효소 부근에 친수성 분위기를 유지하여 높은 효소활성을 나 타내었고 에틸 프룩토시드가 효소에 접근하여 가수 분해되는 반응을 억제하여 메틸 프룩토시드의 수율 과 농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자당과 메탄올 수용액 으로부터 메틸 프룩토시드를 합성한 결과, 자당 농도 O.291mol/l , 메탄올 농도 30%(v/v), 반응온도 $25^{\circ}C$, pH 4.8, 효소활성도 2U/ml일 때 자당의 전화 율 91.2%, 에틸 프룩토사드 농도 27.0g/l , 그 평균 수율 55.9%을 얻었으며, 위의 연구결과로부터 고정화 효소에 의한 배당체의 합성반응이 연속생산공정 으로 연구개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Molecular Weights of Polyethyleneimine on the Polyplex Formation with Calf Thymus DNA

  • Cho, Tae-Sub;Jungho Han;Kim, Seog K.;Lee, Jae-Cheol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276-281
    • /
    • 200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tr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ic absorption, circular and linear dichroism (CD and LD), and fluorescence emission, of DNA in a DNA-branched polyethyleneimine (BPEI) polyplex at various polymer molecular weights (M$\_$w/) and BPEI-amine-to-DNA-phosphate ratios (N/P ratios). All BPEIs exhibited a common N/P dependence in their absorption and CD spectra. At N/P ratios < 1.0, we observed some hyperchromism in the absorption spectrum, red-shifts in CD bands, and decreases in LD intensity and fluorescence intensity of intercalated ethidium. At intermediate N/P ratios, complete collapse of all spectra occurred. As the N/P ratio increased further, the polyplex dissolved in water. From its characteristic CD spectrum obtained under these conditions, we conclude that the DNA exists in a B-like form. The fluorescence and LD intensities never recovered even at high N/P ratios- which indicates that the dissolved polyplex possesses positive charges and the DNA in the polyplex is condensed despite its B-form CD spectrum. The N/P range in which the absorption and CD signals collapsed was wider when the BPEIs M$\_$w/ decreased. In the case where the BPEIs M$\_$w/ was 0.8 k, recovery of the absorption and CD spectral properties at a high N/P ratio was never achieved, which suggests tha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its dissolution at a high N/P ratio.

친수성 고분자의 코팅을 통한 Poly(acrylonitrile) 나노복합중공사막의 제조 및 성능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Poly(acrylonitrile)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the Coating of Hydrophilic Polymers)

  • 박철오;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9권3호
    • /
    • pp.140-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acrylonitrile (PAN) 중공사막을 지지체막으로 하여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이용하여 layer-by-layer법으로 선택층을 형성시켰다. 코팅용액에 Mg염을 첨가하여 염석법(salting out method)을 이용하였다. 코팅용액의 이온세기, 고분자 농도, 코팅시간 등을 달리하여 나노여과막을 제조하였으며 NaCl, $MgCl_2$, $CaSO_4$ 100 mg/L를 공급액으로 하여 2 atm의 구동 압력에서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평가하였다. PSSA 20,000 ppm, 코팅시간 3분, 이온세기 1.0, PEI 30,000 ppm, 코팅시간 1분, 이온세기 0.1의 조건으로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100 ppm의 NaCl, $MgCl_2$, $CaSO_4$ 공급액에서 각각 20.4, 19.4, 18.7 LMH의 투과도와 67, 90, 66.6%의 염 배제율을 나타내었다.

PEI(Polyethyleneimine)를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고정화된 Lipase AH 제조 및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한 반응 특성 연구 (Immobil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Lipase on Weak Base Styrene Resin Using Polyethyleneimine with Cross-linking)

  • 이치우;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25-1035
    • /
    • 2014
  • 본 연구는 polyethyleneimine(PEI)을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Burkholderia cepacia)를 고정화한 후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고정화 효소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에 canola oil, palmitic ethyl ester와 stearic ethyl ester를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합성물의 TAG 조성 분석을 통해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두 가지 고정화방법(multi layer, mono layer)으로 고정화를 진행하였으며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와 pH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효소와 support 간의 친화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정화에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가 8 mg/mL일 때 친화력이 좋았으며 MUIM의 경우 pH 7.5에서, MOIM의 경우 pH 8.0에서 고정화 효율이 가장 좋았다. 또한 고정화 효소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teresterification을 진행하였고 TAG와 sn-2 position 분석을 통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참고하여 가장 친화력이 좋았던 조건에서 고정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UIM의 경우 total saturated fatty acid(${\Sigma}SFA$)의 함량이 16.79 area%였으며 MOIM의 경우는 ${\Sigma}SFA$의 함량이 26.17 area%로 나타났다. 반면에 sn-2 position 분석결과 MUIM과 MOIM 모두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의 sn-1, 3 특이성을 가지는 lipase AH가 고정화를 통해 무작위 특이성으로 변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RP-HPLC를 이용하여 TAG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기질은 canola oil이 주로 OOO와 LOO로 조성되었으나 고정화 효소의 interesterification 반응 후 합성물은 주로 POO/SLO, LPO/LOP와 SOO, SOS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생산된 MUIM과 MOIM을 이용하여 interesterification 반응을 온도, 시간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전체적으로 MOIM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lipase AH, MOIM과 MUIM 모두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Sigma}SFA$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12시간 이후로는 시간대비 효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sn-2 position의 ${\Sigma}SFA$ 함량이 높아졌다. 한편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Sigma}SFA$의 함량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상온인 $25^{\circ}C$보다 높은 melting point를 가지는 stearic ethyl ester와 palmitic ethyl ester가 semi solid 형태로 존재하여 활성이 저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ipase AH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였지만 고정화 효소인 MUIM과 MOIM은 5번을 재사용하여도 그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음이온계 레진에 PEI를 이용하여 lipase AH를 고정화하였을 경우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보다 MUIM과 MOIM의 활성이 더 높아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Cross-Linking Agents on L-Sorbose Production by Immobilized Gluconobacter suboxydans Cells

  • PARK, YOUNG-MIN;SANG-KI RHEE;EUI-SUNG CHOI;IN SIK CH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696-699
    • /
    • 1998
  • Biological oxidation of D-sorbitol to L-sorbose using permeated and immobilized cells of Gluconobacter suboxydan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The stabilization effect of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utaraldehyde, tannic acid, and polyethylene imine to prevent the leakage of enzymes from beads containing permeated and immobilized cells of G. suboxydans was examined by the production of L-sorbose from the mixture of D-sorbitol and gluconic acid. The protein concentration effused from immobilized beads treated with only glutaraldehyde was $5.2\mug/m\ell$ after 20 h. The beads of G. suboxydans immobilized with alginate and cross-linked with 0.3% glutaraldehyde was the most useful for the oxidation of D-sorbitol to L-sorbose.

  • PDF

Characterization of DNA/Poly(ethylene imine) Electrolyte Membranes

  • Park, Jin-Kyoung;Won, Jong-Ok;Kim, Chan-Ky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581-586
    • /
    • 2007
  • Cast DNA/polyethyleneimine (PEI) blend membrane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DNA were prepared using acid-base interaction and characterized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operties. Two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f PEI were used to provide the mechanical strength, while DNA, a polyelectrolyte, was used for the proton transport channel. Proton conductivity was observed for the DNA/PEI membrane and reached approximately $3.0{\times}10^{-3}S/cm$ for a DNA loading of 16 wt% at $80^{\circ}C$. The proton transport phenomena of the DNA/PEI complex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mplexation energy using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method. In the case of DNA/PEI, a cisoid-type complex was more favorable for both the formation of the complex and the dissociation of hydrogen from the phosphate. Since the main requirement for proton transport in the polymer matrix is to dissociate the hydrogen from its ionic sites, this suggests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basicity of the matrix.

Studies of Repeated Fed-Batch Fermentation of Cephalosporin C in an Immobilized Cell Bioreactor

  • Park, Hong-Je;Khang, Y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29-233
    • /
    • 1995
  • Acremonium chrysogenum was immobilized in ionotropic gel beads to develop semi-continuous production of cephalosporin C (CPC). Barium alginate beads were more stable than calcium alginate or strontium alginate beads in chemically defined media. The gel stability of Ba-alginate was further increased by cross-linking with polyethyleneimine (PEI). The presence of carboxymethyl cellulose inside Ba-alginate beads did not reduce mass transfer resistance. Ba-alginate microbeads that had little diffusion limitation increased CPC production rate 1.6 fold higher than that of normal beads. CPC fermentation with immobilized cells in Ba-alginate microbeads was performed continuously for 40 days by way of repeated fed-batch operations. Mathematical modeling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repeated fed-batch fermentation system. Results of the computer simulation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which made it possible to predict an optimal feeding rate that could maximize total CPC productions.

  • PDF

Type conversion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stable n-type dopants

  • 윤장열;하정숙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8-268
    • /
    • 2010
  •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는 그 뛰어난 전기적, 물리적 특성 때문에 반도체 공정에 있어서 중요한 p-type 채널 물질로 꼽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CNT를 성장하여 이를 이용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또한, 부분적인 폴리머의 코팅으로 타입을 변화하는 연구를 보이고자 한다. Ferritin용액을 DI-water에 2000배 희석하여 SiO2 기판 위에 뿌린 뒤 Methanol을 이용하여 기판 표면에 촉매가 붙어있게 한다. 이 기판을 $900^{\circ}C$로 가열하여 유기물질을 제거한 뒤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SWCNT를 성장하게 된다. 이렇게 성장된 SWCNT는 촉매의 농도에 비례하는 밀도를 가지게 되며 이 위에 전극을 증착하고 back-gate를 설치하여 FET를 제작한다. 메탈릭한 SWCNT는 breakdown 공정을 통하여 제거한 뒤, 전자 농도가 높은 NADH를 전체적으로 코팅을 한다. NADH는 기존의 다른 폴리머(polyethyleneimine: PEI)에 비교하여 코팅 후 전자 제공 효과가 크며 그 성질의 재현성이 높고 공기 중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NADH의 코팅으로 n-type으로의 SWCNT FET를 제작하였으며 type conversion 현상을 이용하면 국부적인 NADH의 코팅으로 homojunction-diode의 제작 등 다양한 소자의 제작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