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Air-stable N-type Doped Graphene by Multiple Lamination with Polyethyleneimine

  • Cha, Myeong-Jun (BK21 Physics Research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Song, U-Seok (Thin Film Materials Research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KRICT)) ;
  • Kim, Yu-Seok (BK21 Physics Research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Jeong, Dae-Seong (Department of Energy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
  • Jeong, Min-Uk (BK21 Physics Research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u-Il (BK21 Physics Research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
  • An, Gi-Seok (Thin Film Materials Research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KRICT)) ;
  • Park, Jong-Yun (BK21 Physics Research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Published : 2014.02.10

Abstract

그래핀은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차원 물질로써,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대면적 합성법과 전사 공정을 통해 다양한 기판에서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차세대 전자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온 대기에서 간편하게 적용 가능한 고분자용액공정을 도입하여, 그래핀과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의 다양한 적층구조를 제작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의 높은 밀도의 극성 기능기와 그래핀의 가스배리어 특성을 이용한 상호 보완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환경에 장시간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n형 도핑 효과를 유지하였다. 그래핀에 결함 형성없이 도핑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그래핀 고유의 선형적인 상태밀도를 이용한 일함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래핀 p-n 접합 소자를 제작을 통해 베젤라고 렌즈 효과, 반정수 양자 홀 효과를 이용한 기초 연구에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응용 분야에서는 태양광전지, 유기 전자 소자 분야 등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적 접촉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