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mine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19초

Polyamine이 Spectinomycin에 의한 Group I Intron의 Splicing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amine on the Self-splicing Inhibition of Group I Intron by Spectinomycin)

  • 박인국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257
    • /
    • 1999
  • Cadaverine, putrescine, spermidine과 spermine이 spectinomycin에 의한 T4 파지 thymidylate synthase 유전자(td) intron의 splicing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olyamine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7mM spectinomycin은 splicing rate를 약 40% 감소시켰다. 사용한 농도 범위(0.1~5mM)에서 cadaverine은 splicing rate를 감소시켰으나, putrescine은 0.5mM 농도에서 약 13% 정도의 splicing rate를 증가시켰다. Spermidine은 0.5mM 농도에서 약 11% 정도의 splicing rate를 증가시켰으며, sperimine은 0.01mM 농도에서 약 16% 정도의 splicing rate을 증가시켰다. 시험한 polyamine 중에서 특히 sperimine은 가장 낮은 농도에서 spectinomycin에 의한 억제반응을 극복하는 최고의 활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억제 회복 효과는 polyamine에 의한 td intron 리보자임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포플라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s of Polyamines on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Populus Leaf Segments)

  • 김성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17-23
    • /
    • 1992
  • Polyamine과 polyamine의 생합성 억제제가 포플라(Populus nigra var. $betulifolia{\times}Populus$ trichocarpa)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olyamine의 생합성 억제 물질인 DFMA, DFMO 및 DCHA를 배지에 각각 1m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포플라 잎절편의 생중량 감소와 함께 부정아의 분화율이 감소하였고 부정아의 분화되는 시기도 지연되었다. 특히, 부정아 분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DCHA가 가장 강하였으며 그 다음 DFMO, DFMA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polyamine 생합성 억제제에 의한 부정아의 분화 억제 현상이 polyamine의 처리에 의하여 경감 내지는 상쇄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spermidine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polyamine, 특히 spermidine은 포플라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 PDF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 Biosynthesis InhibItion on the Microbicidai and Jumoriddal Activities in Mouse Macrophage)

  • 이준백;정노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3-180
    • /
    • 1991
  •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rnithine의 억제제인 $\alpha$ -Difluoromethylomithine (DFMO)과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의 억제제인 methylhlyoxal bis(guanylhydrazone)(MGBG)을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처리하였다. 대시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의 지표로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과 nitroblue tetrazolium(NBT)의 환원정도를 측정한 결과, 염증유발물질인 thioglycollate(TG)와 세균이 세포내 독소인 liopopolysac- charide(LPS)를 주사하였거나 BCG를 감염시킨 후 측정된 화학 발광의 수준은 TG, LPS, BCG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화학발생의 수준은 DFMO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세포에 의한 NBT 환원정도 또한 DFMO와 MGBG의 in vitro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한편 BDG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종양 괴사인자분비에 의한 종양치사 및 종양세포와의 부착에 의한 직접적 치사정도를 측정한 결과, polyamine생합성억제제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정도는 감소하였지만, 외부에서 polyamine인 putrescene을 처리 하였을 때 회복되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대식세포내의 polyamine 생합성은 이 세포의 최적 활성화와 과정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물호르몬과 광이 인삼의 Polyamine 함량과 Arginine decarboxyl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hormones and Light on Polyamine Content and Arginine Decarboxylace Activity in Ginseng)

  • 조병구;조영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29-233
    • /
    • 1989
  • The effect of some phytohormones and light on the growth, ADC activity and polyamine content in ginseng was studies. In seedlings, the growth, ADC activity and putrescine content were in creased by Ghs treatment. ADC activity ann putrescine content were slightly slightly derreased by ABA, but not changed by kinetin. Light treatment increased ADC activity and putrescine content greatly. In two year ginseng leaves treated by GA3, the ADC actin$.$its reached maximum and the spermidine content reached maximum 2 days faster than in the control. Tht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se regulators are closely related to growth and polyamine cotent. UeVo'ordsEPanaxgineng C.A. Meyer, Polyamine, Putrescine spermidine, arginine decarboxylose, GA3 kiiletin , ABA.

  • PDF

상이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성장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내의 폴리아민 (Polyamines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n on different energy sources)

  • 엄치용;이순희;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0-296
    • /
    • 1990
  •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were found to persent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ing on methanol, succinate, glucose, or nutrient broth as an energy source. Spermidine was found to be a major polyamine in cells growing on methanol or succinate, while putrescine to be the one in nutrient broth-grown cells. The overall content of polyamines in cells growing on glucose was less than that in cells growing on other substrates. Spermine was the most abundant polyamine in glucose-grown cells. Accumulation of polyamines in M. extorquens AM1 was maximal at the mid-exponential or early stationary phase during growth on each substrate. The effect of polyamines added into the medium on the polyamine composition in M. extorquens AM1 was variable. Each polyamine added into the nutrient broth medium was foun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respective polyamine in the cell. Exogeneously added polyamine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M. extorquens AM1.

  • PDF

생체생장에 관한 세포생물학적 연구 당근 뿌리의 원형질체에서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활성도에 미치는 polyamine과 $Ca^{2+}$의 영향 (Cell Biological Studies on Growth and Development Effect of polyamine and $Ca^{2+}$ on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activity in carrot root protoplast)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4호
    • /
    • pp.249-255
    • /
    • 1987
  • The effect of polyamine and Ca2+ on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activity was studied in Daucus carota root. The enzyme activity was reduced in response to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Ca2+, not the Ca2+-calmodulin complex. The inhibition effect due to Ca2+ was reversed by polyamine, especially remarkable at low concentration of Ca2+. The effect of the Ca2+ on the enzyme seemed to compete with polyamine according to the Lineweaver-Burk plot. The enzyme activity from carrot root protoplast cultured in the prescence of verapami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uch cumulativ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by the Ca2+ and enhancement or reversal by polyamine could regulate the biosynthesis of pectin and hemicellulose to some extent.

  • PDF

당근 현탁 배양세포의 생장과 분화에 관한 연구 I. 배형성 과정에서 Peroxidase 활성, Polyamine 함량 및 Ethylene 성성의 변화 (Studies on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uspension-Cultured Carrot Cells I. Alterations in Peroxidase Activity, Polyamine Content and Ethylene Production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 김응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59-269
    • /
    • 1990
  • Changes of peroxidase activity, polyamine content and ethylene production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in suspension-cultured carrot (Daucus carota L.) cells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with nonembyrogenic cells and their medium, embryogenic cells and their medium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levels of peroxidase at all times of culture period. Peroxidase in embryogenic cells showed higher oxidation activity of IAA than in nonembryogenic cells at the torpedo stage, but the IAA oxidation activity of peroxidase released into embryogenic medium was lower than that of peroxidase released into nonembryogenic medium. Peroxidase patterns of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cells showed three cathodic bands, and one anodic band, while peroxidase patterns released into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media did not show any anodic bands and the isoelectric points of cathodic peroxidase were pH 7.7, 7.5 and 6.6. Compared with nonembryogenic cells, polyamine content in embryogenic cells was increased by 15% at the torpedo stage, but polyamine ratio was constant, and ethylene production was extremely low at all times of culture perio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eroxidase in embryogenic cells is correlated with embryogenesis by regulating hormone ratios through IAA oxidation, while the peroxidase isozyme patterns may be used as a biochemical marker of embryogenesis. The increase of polyamine content and the decrease of ethylene production suggest an interaction between polyamine and ethlyene during embryogenesis.

  • PDF

돈분뇨 액비시용에 의한 고추 및 배추의 polyamine 생합성 (Polyamine Biosynthesis in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by the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 황선웅;성좌경;강보구;이춘수;윤승길;김태완;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1-176
    • /
    • 2004
  • 밭토양에 돈분액비를 기비로 전량시용하고 고추 및 배추에 대한 수량, polyamine 생합성량 및 잎의 무기성분 함량을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고추의 적과 수량은 액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많아졌고 배추수량은 액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화학비료 대비 액비 시용량간에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작물의 stress 발현물질인 polyamine의 경시적인 생합성량을 보면 두 작물 모두 액비시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낮아 액비에 의한 생리적인 질소stress는 발생하지 않았다. 생육시기별로 보면 생육초기에는 bound polyamine과 monoamine의 생합성량이 많았으나 생육기간의 경과에 따라 conjugated polyamine과 polyamine의 생합성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고추는 액비시용으로 화학비료에 비하여 잎의 인산 및 칼리 함량은 증가하였고 질소,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배추 잎의 무기성분 함량은 화학비료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Hydrocortisone, DHEA, Estradiol 및 Testosterone에 의하여 나타나는 마우스-간 및 소장 Polyamine 대사의 변동에 관한 연구 (Influences of Hydrocortisone, DHEA, Estradiol and Testosterone on the Hepatic and Intestinal Polyamine Metabolism of Castrated Mice)

  • 최상현;전보권;김남헌;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6
    • /
    • 1990
  • 웅성-마우스의 고환을 diethyl ether 마취하에서 제거하고, 수종의 steroid 홀몬을 각각 매일 1회씩 4일간 피하주사하여, 간 및 소장의 polyamine 함량과 소장의 diamine oxidase (DAO) 활성도에 미치는 그들의 영향을 검색하였다. 1. Hydrocortisone succinate 50 mg/kg (HC) 및 dehydroepiandrosterone 250 mg/kg (DHEA)에 의하여, 소장의 putrescine (PT)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spermidine (SD) 및 spermine (SM)은 별 영향을 받지 않았고, 간의 SD은 다소 증가되고, SM은 다소 감소 되었으나, PT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2. Estradiol cypionate 5 mg/kg (E2)에 의하여, 간의 PT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소장의 PT은 다소 증가되었고, 그외 소장 및 간의 SD와 SM의 변동은 보이지 않았다. Testosterone cypionate 5 mg/kg (TS)에 의하여는 간의 SD이 다소 감소되었을 뿐 별 변동이 없었다. 3. 소장의 DAO 활성도는 HC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E2 및 TS에 의하여는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DHEA에 의하여는 별 영향을 받지않았다. 그러나 간의 monoamine oxidase 활성도는 HC, E2, DHEA, 및 TS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Aminoguanidine 25 mg/kg로 소장의 DAO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간 MAO 활성도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소장의 PT 및 SD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간의 polyamine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간 및 소장의 polyamine 대사-특히 PT 함량의 변동이 각각 E2 및 HC에 의하여 특이적으로 조절되는 바, E2에 의한 간 PT 함량의 증가는 주로 생성촉진 작용에 연유되며, HC에 의한 소장 PT 함량의 증가는 주로 polyamine의 이화성 대사를 억제함에 기인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무우의 유자엽에서 Polyamine의 수송 분석 (Analysis of Polyamine Transport of Young Spring Radish Cotyledons)

  • 조봉희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130-134
    • /
    • 1998
  • 봄무우의 어린자엽을 이용하여 polyamine의 수송을 분석하였다. Spermidine(SPD)은 20분까지는 빠른 속도로 세포내로 수송되었고, 1시간 이후에는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다. SPD의 수송속도는 세포내에 polyamine(PA)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었다. PA의 수송속도는 외부배지의 pH에 의존되었고, 수송속도는 pH 7.5에서 최고에 도달되었다. $K_m-$$V_{max}-$값도 외부 배지의 pH에 의존되었다. KCl은 세포막전위를 낮추어 PA의 수송을 방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