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mide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4초

경량 베어링 수명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Bearings)

  • 이충성;박종원;임신열;강보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819-825
    • /
    • 2021
  • In the industry, the use of lightweight bearings is increasing to minimize motor power loss, and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next-generation systems such as robots and drones is increasing. Bearing manufacturers are producing lightweight bearings by changing the bearing material, but related researche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life test and structur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lightweight bearings, and shape parameters and scale paramet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life tes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parameter was 2.52 and the scale parameter was 164 hour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dynamic load rating based on the B10 life, it was confirmed that the dynamic load rating of the lightweight bearing was 7% compared to the formula suggested by ISO 281. The reason is that the material of the retainer, which is a major failure part, is a polyamide 66 series that reacts sensitively to heat, so It is judged to show a lot of difference from the ISO 281 calculation formula.

A Study on Electric Properties of Polyamide Film due to Temperature Change

  • Lee, Sung Il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1호
    • /
    • pp.1-6
    • /
    • 2019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akage current at $30{\sim}80^{\circ}C$ and $90{\sim}170^{\circ}C$ under a voltage of 200~980 V applied to samples (ordinary temperature) and polyamide film specimens degraded at $170^{\circ}C$ for 20 minute respectively. After the specimen was degraded at $130^{\circ}C$ and $50^{\circ}C$, a voltage of 200 to 800 V was applied for 10 to 60 minutes. The measurement of the leakage current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case of using Al and Cu as the main electrod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kage current also increased in high temperatures as the voltag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main electrode, when the temperature was constant at $130^{\circ}C$ and $50^{\circ}C$, the leakage current increased as the voltage increased, and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As a result of the FTIR measurement, the main absorption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C=O at about $1650cm^{-1}$ and N-H diagonal vibration occurred at around $1550cm^{-1}$. There was no change in the material, so no effect of temperature was observed. By the results of SEM measurements, as the temperature of degradation increases, cracks in the specimen disappear. This may be because the amide bond (-CO-NH-) is absorbed by the material.

Electrical Properties of CNT and Carbon Fiber Filled Hybrid Composites Based on PA66

  • Lee, Minji;Park, Se-Ho;Jhee, Kwang-Hwan;Kye, Hyoungsan;Bang, Daesu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6권2호
    • /
    • pp.65-71
    • /
    • 2021
  • In recent times, the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has increased because of advancement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Consequently, research on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from electronic devices has also progres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research on imparting electrical conductivity to plastic has seen substantial progr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ybrid fillers comprising carbon fiber (CF) and carbon nanotubes (CNT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amide 66 (PA66) composites was investigated. PA66 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a BUSS Co-Kneader single-screw extruder. EMI shielding effectiveness (S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ddition of unsized CF (UCF), sized CF (SCF), and CNTs. For the PA66/SCF/CNT hybrid filler composites, EMI S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CF content. Finally, the hybrid filler comprising SCF and CNTs may have a synergistic effect on the EMI SE and surface resistivity of PA66/SCF/CNT composites.

카울크로스빔용 PA/GF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alysamsarais of PA/GF Composite Materials for Cowl Cross Beam)

  • 김환국;박종빈;이지훈;정헌규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41
    • /
    • 2023
  • This study is about a hybrid lightweight cowl crossbeam structure with high rigidity and ability to absorb collision energy to support the cockpit module, which is an automobile interior part, and to absorb energy during a collision. It is a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composite material bracket parts are inserted and injected into existing steel bars. When considering the mounting condition of a vehicle, the optimization of the fastening condition of the two part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s 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volume content of Polyamide(PA) and Glass Fiber used as a composite material for a composite material-metal hybrid cowl crossbe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GF composite material, experimental data were obtained that can further enhance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by using PA66 rather than PA6 used as a base material for the composite material. And based on this, it contributed to securing the advantage of lightening by using high-stiffness composite material by improving the high disadvantage of the weight of the cowl crossbeam material, which was made only of existing metal materials.

역삼투막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코팅을 통한 파울링 현상 감소연구 (Studies on the Fouling Reduction through the Coating of Poly (vinyl alcohol) on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Surfaces)

  • 김일형;지은희;임지원;정성일
    • 멤브레인
    • /
    • 제22권4호
    • /
    • pp.272-2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복합막 표면에 중성 친수성 고분자인 poly (vinyl alcohol) (PVA)를 코팅한 후 모델 오염물질인 bovine serum albumin (BSA), humic acid (HA), sodium alginate (SA)에 대하여 파울링 개선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분자의 파울링 유도를 위해 모델 오염물질인 BSA, HA, SA 등이 100 ppm으로 용해된 공급원액을 2, 4, 8 atm 조건에서 PVA 코팅된 막과 코팅되지 않은 막에 대하여 파울링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압력이 증가함에 모든 오염물질에 대해서 파울링은 심화되었다. 파울링 심화 현상은 BSA > HA > SA의 순으로 일어났으며, PVA가 코팅된 막에 대해 파울링 개선효과는 HA > BSA > SA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현미경 사진 결과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PVA가 코팅된 역삼투막은 어느 경우에서나 파울링 개선효과는 뚜렷하게 있었으며 HA의 경우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Influence of Processing on Morpholog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Flexural Properties of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Polyamide Nanocomposites

  • Liu, Wanjun;Do, In-Hwan;Fukushima, Hiroyuki;Drzal, Lawrence T.
    • Carbon letters
    • /
    • 제11권4호
    • /
    • pp.279-284
    • /
    • 2010
  • Graphene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for many applications.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not only as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polymer to obtain a combination of desirable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barrier properties in the resulting nanocomposite but also as a component in energy storage, fuel cells, solar cells, sensors, and batteries. Recent research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ha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exfoliate natural graphite into graphite nanoplatelets composed entirely of stacks of graphene. The size of the platelets can be controlled from less than 10 nm in thickness and diameters of any size from sub-micron to 15 microns or greater.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elt compounding process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polyamide 6 (PA6)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xGnP). The morpholog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xGnP-PA6 nanocomposite were characterized with electrical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C imped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was found that counter rotation (CNR) twins crew processed xGnP/PA6 nanocomposite had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with co-rotation (CoR) twin screw processed or with CoR conducted with a screw design modified for nanoparticles (MCoR). Microscopy showed that the CNR processed nanocomposite had better xGnP dispersion than the (CoR) twin screw processed and modified screw (MCoR) processed on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NR processed nanocomposite at a given xGnP content showed the lowest graphite X-ray diffraction peak at $26.5^{\circ}$ indicating better xGnP dispersion in the nanocomposite.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NR processed 12 wt.% xGnP-PA6 nanocomposite is more than ten times higher than the CoR and MCoR processed o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tter dispersion of an xGnP-PA6 nanocomposite is attainable in CNR twins crew processing than conventional CoR processing.

$PEBAX^{TM}$/TEOS 하이브리드 분리막을 통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기체투과특성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for $PEBAX^{TM}$/TEOS Hybrid Membranes)

  • 김현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60-464
    • /
    • 2011
  • Poly(ether-block-amide)(PEBA, $PEBAX^{TM}$)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CU)로서 hard-rigid amide block과 soft-flexible ether block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과 두 block간의 구성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PEBAX^{TM}$는 분리막소재로 이용할 경우, $PEBAX^{TM}$의 hard amide block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선택도를, 그리고 soft ether block은 높은 투과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PEBAX^{TM}$를 사용하여 기체분리막을 제조하고,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순수 $PEBAX^{TM}$ 분리막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전구체로서 TEOS(tetraethoxysilane)를 사용하여 $PEBAX^{TM}$/TEOS 하이브리드막을 제조하고, 그 투과특성을 순수 $PEBAX^{TM}$ 분리막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순수 $PEBAX^{TM}$-1657과 $PEBAX^{TM}$-2533 분리막의 투과도 측정 결과, ether block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PEBAX^{TM}$-2533 분리막의 투과도 계수가 보다 높은 투과도 계수값을 가졌다. 이는 $PEBAX^{TM}$-2533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ether block 함량 때문에 고분자 사슬의 유연성이 보다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PEBAX^{TM}$/TEOS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투과특성을 순수 $PEBAX^{TM}$ 분리막의 결과와 비교할 때,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기체 투과도 계수가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EOS의 축합반응으로 생성된 silica domain에 의해 결정성이 감소하고 또한 이산화탄소와 silanol group과의 친화도(affinity) 증가에 따른 용해도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투과도 계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상분리인자는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산화탄소와 silanol group의 친화도 증가로 인한 용해선택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 66/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상업화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olyamide 66/Polypropylene Blend)

  • 김석준;남병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3호
    • /
    • pp.262-272
    • /
    • 2003
  • 말레인산 무수물을 그라프트시킨 폴리프로필렌(PP-g-MA)을 폴리아마이드 66(PA 66)/PP-g-MA 이원 블렌드 및 PA 66/polypropylene(PP)/PP-g-MA 삼원블렌드에 한 성분 및 상용화제로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 및 삼원블렌드 사이의 여러가지 물성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평가된 물성으로는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용융흐름지수 그리고 전단속도 증가에 따른 점도변화가 포함된다. 이원 블렌드의 충격강도는 모든 조성에서 삼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A 66 말단의 아민 그룹과 PP-g-MA의 산 무수물이 반응하여 이미드(imide) 그룹이 형성되어 PP-g-PA 66 공중합체의 합성이 분자량을 증가시키고 이 반응이 삼원 블렌드에서 보다 이원 블렌드에 더 많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삼원 블렌드계의 경우 대부분의 물성이 이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P의 물성이 PP-g-MA의 물성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충격에 매우 강한 70/30(PA 66/pp-g-MA) 및 80/20 조성의 이원 블렌드는 가공성이 나빠 상업적 응용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상업적 응용에는 낮은 용융점도를 보이는 삼원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표면 개질된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폴리아마이드 섬유와의 복합페이퍼 제조 및 특성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Paper Using Polyamide Fiber and Surface Modified Microfibrillated Cellulose)

  • 이종희;임정혁;김기영;김경민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74-79
    • /
    • 2014
  • 두 가지 서로 다른 실란 화합물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S)과 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MRPS) 그리고 lauroyl chloride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MFC)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하였다. 화학적으로 표면 처리한 MFC의 구조 및 특성은 FTIR, EDX, TGA, 접촉각 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렇게 유기 관능기로 치환된 MFC와 폴리아마이드(PA) 섬유를 사용하여 복합 페이퍼를 제조하였다. MFC의 표면 개질은 MFC 사이의 응집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PA 섬유와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단섬유인 PA 섬유를 연결시켜주는 바인더 역할을 하는 MFC 없이는 페이퍼를 제조할 수가 없었다. 즉, 표면 개질된 MFC는 PA 섬유 내에서 분산되어 PA 섬유들을 연결시켜 복합페이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두 가지 실란 화합물로 개질된 MFC를 이용한 복합페이퍼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의 기계적 물성은 lauroyl 그룹으로 치환된 MFC를 이용한 복합페이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화학적으로 표면 처리한 MFC와 PA 섬유로 제조된 복합페이퍼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물성은 SEM과 UT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 평가 (Evaluation for Long Term Drying Shrinkage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 김요셉;배수호;이현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60-66
    • /
    • 2019
  • 콘크리트의 낮은 인장강도 및 균열제어 능력 등의 약한 재료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년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로서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목표 압축강도 40 및 60 MPa 각각에 대해서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률을 전체 체적비로 1.0%로 설정하여 비정질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한 결과, 재령 365일 및 730일에서의 장기 길이변화율은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각각30%, 25% 이상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융해 300 사이클 후의 내구성 지수는 90% 이상으로, 내동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