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 unsaturated fatty acids(PUF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Seamustard (Undaria pinnatifida) Improves Growth, Immunity, Fatty Acid Profile and Reduces Cholesterol in Hanwoo Steers

  • Hwang, J.A.;Islam, M.M.;Ahmed, S.T.;Mun, H.S.;Kim, G.M.;Kim, Y.J.;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14-1123
    • /
    • 2014
  • Th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2% seamustard (Undaria pinnatifida) by-product (SW)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carcass characteristics,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profile in Hanwoo steers. A total of 20 Hanwoo steers (ave. 22 months old; 619 kg body weight)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basal diet) and 2% SW supplemented diet. Dietary SW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p<0.05) improved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as well as serum immunoglobulin G concentr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grade of meat and carcass yield grades evaluated at the end of the trial were found to be unaffected by SW supplementation. Dietary SW significantly reduced meat cholesterol concentration (p<0.05). Dietary SW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myristic acid (C14:0) and palmitoleic acid (C16:ln-7) concentration, while SW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tearic acid (C18:0) and linolenic acid (C18:3n-3) compared to control (p<0.05). Dietary SW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saturated fatty acids (SFA), unsaturated fatty acids,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o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muscles. A reduced ratio of PUFA/SFA and n-6/n-3 were found in SW supplemented group (p<0.05). In conclusion, 2% SW supplementation was found to improve growth, immunity and fatty acid profile with significantly reduced cholesterol of beef.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여기간과 첨가수준이 저장기간 중 육계의 부위별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Levels and Periods on Meat Quality in Breast and Thigh Muscles of Broiler)

  • 문성실;신철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07-114
    • /
    • 2006
  • CLA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계의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첨가수준과 급여기간에 따른 부위별 CLA 축적율과 지방산 조성 및 지방산패도를 분석하였다. CLA 축적율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급여기간에 따라서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급여 1주와 급여 2주 및 3주의 비교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불포화 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CLA와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linoleic acid(C18:2)는 CLA 함량이 증가한 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지방산패도의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근육내 CLA 축적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최적의 급여기간은 1주이며, 지방산패도의 효과적인 억제를 위해서 첨가수준 4.8%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방종류에 따른 Hamburg Patty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mburg Patties with Different Lipid Sources)

  • 신기간;이성기;박형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0-88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lipid sources in beef patties during storage for 6 months. Four groups of samples were made of beef meat patties with 22% of tallow, lard, chicken fat and 20% of palm oil. On the analysis result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the patty has its ow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other lipids. Patty with chicken fat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of 61.0%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of patties. Beef patty with chicken fat has 18.8% of poly unsaturated fatty acid(USFA) and beef patty with beef lipid has 1.5% of poly USFA which is the least percentage among the others. SFA/USFA ratio of beef patty with chicken lipid was 0.5 which was the least value. The composition of PUFA in beef patty with lard increased to 10.0% from 1.9% over initial value after storage for 6 months. On the contrary, the composition of PUFA in beef patty with chicken fat decreased to 9.2% from 18.8% over initial value after 6 months. Volatile free fatty acids of beef patties were evaluated with four kinds of lipid sources. Formic acid was the most as of 59$\mu\textrm{g}$/g in beef patty with tallow, acetic acid was 15$\mu\textrm{g}$/g, and heptanoic acid was 10$\mu\textrm{g}$/g at starting time of storage. However,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caproic acid were not detected. After 6 months, formic acid decreased from 59$\mu\textrm{g}$/g to 7$\mu\textrm{g}$/g in the patty with tallow, from 12$\mu\textrm{g}$/g to non-detect level in the patty with palm oil, but two the others patties slightly increased. Volatile compounds in meat patties were reported nearly 1000 kinds of chemical compounds. Beef patty with tallow has aldehydes 5.3, alcohol 1.3, hydrocarbon 0.8, ketones 0.2, ester 0.1, furans 0.1, acid 0.04, sulfur 0.03 in peak area at starting and increased to aldehydes 8.5, alcohol 2.1, ketones 0.5, ester 1.0, furans 1.5 in peak area during the storage. But only furans was not detected after 6 months of storage. From starting to 6 months, aldehydes increased 2∼10 times, alcohol increased 2∼3 times, acids 4∼50 times and ester 9∼20 times in beef patties with pork lipid, chicken lipid and palm oil. Some volatile compounds such as alcohol, aldehydes and acids in all kinds of patti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months of storage. These increases cause oxidative rancidity taste in meat patti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elt-life of meat patties with 4 different lipids were not over 6 months even though they were stored at -20$^{circ}C$. Therefore, they should be classified as off-grade because of oxidative rancidity. Although beef patties with tallow are currently common type, the possibility for new type of hamburg patty can be developed by applying different lipids. Finally, we found out new type of beef patty added with lard, which has the best taste and quality compared to the other common types.

  • PDF

육성기의 티머시 건초 조사료 급여가 거세 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imothy Hay Roughage on the Beef Quality of Growing Period Fattening Hanwoo Steers)

  • 김병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4-289
    • /
    • 2006
  • 본 연구는 거세한우에 대한 육성기의 티머시 건초 조사료의 급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대조구와 시험구의 2개처리구로 생후 5개월 부터 28개월까지 24개월간 비육시험한 후 등심부위 근육을 분석하였다. 가열 감량, 전단력은 대조구가, 다즙성, 향미는 시험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지만, 관능검사 결과 연도는 시험구(5.10점)가 대조구(4.30점)보다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은 $42.83{\sim}40.75%$ 범위였고, 불포화지방산과 MUFA 및 PUFA은 시험구(59.25%, 55.61%, 3.40%)와 대조구(57.17%, 54.40%, 2.77%)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인 결핍에 따른 하수배양 미세조류의 지방산 특성 분석 연구 (Effects of Phosphorus Starvation on Fatty Acid Production by Microalgae Cultivated from Wastewater Environment)

  • 우성근;박준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53-259
    • /
    • 2012
  • 하수에서 배양된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 AG10032, Ankistrodesmus gracilis SAG278-2, Scenedesmus quadricauda AG10308은 오폐수에서 질소 및 인 제거가 우수하고 높은 지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오폐수에서 바이오연료나 기타 바이오 기반의 자원 회수에 유용한 생물자원이다. 오폐수 환경에는 다양한 인의 농도가 존재하는데, 인의 농도 특히 인 결핍조건에 따른 조류의 지방산 특성에 대한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표준 분석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데 일부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지방산을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극성 컬럼법과 식물성 지질을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극성 WAX-type 컬럼 GC-FID 방법의 미세조류 지방산 분석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하수배양 조류에 적용이 보다 적절한 방법을 이용해서 인 결핍에 의한 조류 지방산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극성 컬럼 방법에 비해 극성 WAX-type 컬럼 GC 방법이 $C_{18:3}$ 지방산과 같은 고불포화지방산을 규명하는 분석능력이 우수하였고, 실제 하수배양에서 배양 분리된 미세조류의 지방산 분석에 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이었다. 이 WAX-type 컬럼 방법으로 인 결핍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과 생성량은 인의 농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밝히었다.

한국서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Korean Salt Marsh Plants in the West Sea)

  • 김유아;엄영란;이정임;김해진;임선영;남택정;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21-526
    • /
    • 2009
  • 지질은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식이 섭취로 인한 지방산의 불균형은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어류나 해조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과 질병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이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6종의 염생식물에 대하여 지방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용매 추출된 염생식물 시료는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퉁퉁마디, 수송나물, 염주괴불주머니, 사철쑥, 갯질경 등이 높은 총지방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16:0)는 실험 대상 전체에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도 대부분의 염생식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단일불포화지방산에서는 oleic acid (18:1)가 그리고 n-6계 다중불포화지방산에서는 linoleic acid (18:2)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천일사초가 26.40%로 LNA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모래지치, 수송나물, 갯메꽃 순으로 나타났다. EPA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나 칠면초가 1.8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DHA는 여러 대상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흰명주아뀌가 14.54%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염생식물이 해조류나 어류의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에 있어서 뒤지지 않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천연물 화학적이나 식품학적 추가 연구를 통해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분야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Xiang Study: an association of breastmilk composition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th of life

  • Peng, Xuyi;Li, Jie;Yan, Shuyuan;Chen, Juchun;Lane, Jonathan;Malard, Patrice;Liu, Feit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3호
    • /
    • pp.367-38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mother and child cohort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investigate human breastmilk (HBM) composi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BMI)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 of life. SUBJECTS/METHODS: A total of 101 Chinese mother and infant pair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cohort. Alterations in the milk macronutrients of Chinese mothers at 1 mon (T1), 2 mon (T2), and 3 mon (T3) lactation were analyzed. HBM fatty acid (FA) profiles were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HBM proteomic profiling was achiev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MS). RESULTS: During the first 3 mon of lactation (P < 0.05), significant decreases were determined in the levels of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steopontin (OPN), as well as ratios of long-chain saturated FA (including C16:0, C22:0 and C24:0), monounsaturated FA (including C16:1), and n-6 poly unsaturated FA (PUFA) (including C20:3n-6 and C20:4n-6, and n-6/n-3). Conversely, butyrate, C6:0 and n-3 PUFA C18:3n-3 (α-linolenic acid, A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mon (P < 0.05). HBM proteomic analyses distinguished compositional protein differences over time (P = 0.001). Personalized motherinfant analyses demonstrated that HBM from high BMI mothers presented increased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PN, and increased content of n-6 PUFA (including C18:3n-6, C20:3n-6 and n-6/n-3 ratio) as compared with low BMI mothers (P < 0.05). Furthermore, BMI of the mother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d circumference (HC) of infants as well as the specific n-6 PUFA C20:3n-6 over the 3 time points examined. Infant H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18:0.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o the Chinese HBM database, and further knowledge of FA function. It also helps to establish future maternal strategies that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fants.

오메가-3, -6 지방산 고 함유 급이가 돼지 등심의 지방산조성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omega-3, -6 fatty acid feeding on the free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traits of pork loin)

  • 설국환;김기현;주범진;김조은;김광식;김영화;박준철;이무하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213-220
    • /
    • 2014
  • 본 실험은 비육돈 사료 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증가가 돈육 등심 내 지방산 조성과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 중 유지의 조성은 대조구(우지5%), 아마인유(5%), 홍화씨유(5%) 및 혼합유(아마인유2.5%+홍화씨유2.5%)를 배합하여 비육기 삼원교잡돼지(LYD)에 4주간 급여하였다. 돼지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아마인유처리구(T1)에서 linolenic acid의 함량이 $2.35{\pm}0.21%$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linoleic acid의 함량이 $35.26{\pm}1.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Oleic acid의 함량은 대조구(C)에서 $21.59{\pm}1.85%$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전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양은 홍화씨유처리구(T2)가 $47.80{\pm}1.2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n-6:n-3 비율은 $11.57{\pm}0.90$으로 아마인유처리구(T1)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던 반면, 홍화씨유급여구(T2)는 오메가-6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37.56{\pm}12.5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돈육의 pH와 명도, 적색도는 시험유지급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황색도는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보수력과 가열감량에 있어서도 시험유지의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p>0.05)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시험유지의 급여가 돈육의 육질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성유지의 급여를 통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n-6:n-3 비율이 권장되는 값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므로(11.57:1) 추후 이 비율을 낮추는 사양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충남 및 전북에서 생산된 유기우유와 일반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Milk and Conventional Milk from Chungnam and Jeonbuk, Korea)

  • 기광석;임동현;박성민;임현주;박수범;김태일;정석근;백광수;권응기;이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59-36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충남과 전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유기우유와 일반우유의 이화학적 성분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각 지역에서 유기우유 및 일반우유 생산농가를 각각 5개씩 선정하여 3회(2월, 3월 및 8월) 우유를 채취하였으며, 일반성분, 무기물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유기우유의 유성분 중 유지방(p<0.01), 총 고형물(p<0.05), 유리지방산(p<0.01) 및 구연산(p<0.05)의 함량은 일반우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유단백질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기우유의 유당, 우유 중 요소태 질소(MUN) 및 체세포수는 일반우유와 차이가 없었지만, MUN은 전북지역의 우유가 충남지역보다 높았다(p<0.05). 우유내 무기물 중 P의 함량만 유기우유에서 높았고(p<0.01), Ca, K, Mg, Zn 및 Fe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우유내 지방산 중 함량이 높은 palmitic acid나 oleic acid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stearic acid와 총 포화지방산은 일반우유에서 높았다(p<0.01). 또한, 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 arachidonic acid는 유기우유에서 높았다(p<0.01). 따라서, 총 불포화지방산(p<0.01),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p<0.05) 및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p<0.01)의 함량도 유기우유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충남 및 전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유기우유는 일반우유와 비교하여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기우유는 건강에 유익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소비자들은 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때문에 앞으로 유기우유의 소비가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