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ylene oxid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블렌드에서 Macroinitiator로 합성한 Polystyrene-Poly(caprolactone) 블록공중합체의 상용제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Compatibilizing Effect of Polystyrene-Poly(caprolacton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from Macroinitiator in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 Blend)

  • 정동권;정한모;양성봉;윤구식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47-255
    • /
    • 1992
  • Macroazoinitiator를 이용하여 Polystyrene-poly(caprolactone) (PS-PCL)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고,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PPO)/poly(styrene-co-acrylonitrile) (SAN, acrylonitrile의 함량이 25wt%) 블렌드에서의 상용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중합체 중 PS블록과 PCL블록은 각각 PPO, SAN과 상용성을 가졌으며, 블록공중합체는 SAN의 PPO 영역으로의 용해 정도를 증가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폴리피롤/설폰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옥사이드) 복합전극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yrrole/sulfonat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Composite Electrode)

  • 허양일;정흥련;이완진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74-79
    • /
    • 2007
  • [ $PPy^+DBS^-$ ] 복합체는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되었고 이때 iron(III) chloride($FeCl_3$)는 개시제로, dodecyl benzene sulfonic acid(DBSA)는 계면활성제 및 도판트로 사용되었다.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는 chlorosulfonic acid(CSA)를 사용하여 설폰화되었고 양극은 $PPy^+DBS^-$ 복합체, 도전제 그리고 바인더로 구성되며 이때 바인더로 PPO와 설폰화된 poly (2,6-dimethyl-1,4-phenylene oxide) (SPPO)를 사용하였다. $PPy^+DBS^-/SPPO$ 양극은 $PPy^+DBS^-/PPO$에 비해 약 50% 높은 충 방전 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SPPO가 바인더뿐만 아니라 도판트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바인더로 사용된 고분자의 설폰화는 전도성 고분자와의 coulombic attraction을 유발시켜 두 상간의 혼화성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양극과 전해질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기화학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나게 했다.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p-phenylene sulfide) Reduced Graphite Oxide Nanocomposites

  • Chae, Byung-Jae;Kim, Do Hwan;Jeong, In-Soo;Hahn, Jae Ryang;Ku, Bon-Cheol
    • Carbon letters
    • /
    • 제13권4호
    • /
    • pp.221-225
    • /
    • 2012
  • Graphite oxide (GO) was produced using the modified Hummer's method. Poly(p-phenylene sulfide) (PPS)/reduced graphite oxide (RGO) composites were prepared by in situ polymerization metho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PS/RGO composites was no more than 82 S/m. It was found that as GO content increased in the PPS/RGO composites,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increased and the percolation threshold value was at 5-8 wt% of GO content.

표면불소화에 따른 Poly(phenylene oxide)막의 기체투과거동 연구 (Studies on the Gas Permeation Behaviors Using the Surface Fluorinated Poly(phenylene oxide) Membranes)

  • 이보성;김대훈;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06-1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oly(phenylene oxide) (PPO)의 막 표면에 100 ppm의 농도를 갖는 불소가스를 접촉시켜 표면불소화하였다. 표면 개질된 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접촉각, XPS, 기체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특성 분석 결과 불소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 표면에 $-CF_2$, $-CF_3$의 perfluoro group의 결합으로 인해 막의 소수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기체투과 측정으로부터 불소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에 대한 투과도는 감소하였으며, 불소노출이 60분 경과한 막의 경우 질소 33%, 산소 23%, 이산화탄소 3%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선택도의 경우 질소 대비 산소의 경우 3.92로부터 4.47로,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소의 경우 18.09에서 25.4로 증가함을 얻었다.

가교체 종류에 따른 Semi-IPN Poly(phenylene oxide) 블렌드와 $BaTiO_3$ 복합재료의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Semi-IPN Poly(phenylene oxide) Blend/$BaTiO_3$ Composites with Type of Cross-linker)

  • 장용균;이호일;성원모;박상훈;윤호규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24-229
    • /
    • 2009
  • 가교체의 종류에 따른 semi-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poly(Phenylene oxide)(PPO) 블렌드와 $BaTiO_3$(BT)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PPO와 BT를 톨루엔에 분산하고 MEK 용매에 석출하여 얻어진 precursor PPO 복합재료에, 가교체와 과산화물을 용융혼합하는 방법으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Precursor PPO 복합재료는 PPO와 BT를 단순히 용융혼합한 복합재료보다 높은 유전율을 나타냈으며 대수혼합법칙에 의한 이론값과도 일치하였다. 가교체로서 triallyl isocyanurate의 도입에 의해 PPO 수지의 배향분극이 감소하여 유전율과 유전손실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4,4'-(1,3-phenylene diisopropylidene)bisaniline (Bisaniline)을 2,2-bis(4-cyanatophenyl)propane(CPP)와 혼합하여 가교하였을 경우에는 Bisaniline의 아민기에 의해 유전율과 손실이 증가하였으나, 치밀한 수지 조직과 충전제 계면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것으로부터 굴곡강도와 탄성률이 향상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었다.

상전이법에 의한 Carboxylated poly(phenylene oxide)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및 투과 특성

  • 김제영;이제흔;김성철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4-65
    • /
    • 1994
  • 근래 환경 문제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면서 여러 제조 공정에서 방출되는 폐수등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내구성이나, 내미생물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분리막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내구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재료를 얻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친수화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PPO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로 만들어진 분리막은 내산화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져왔고 본 연구에서는 PPO에 carboxyl기를 도입하여 친수성을 부여하고,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얇은 표피층이 선택성을 높이고 다공성 구조가 표피층을 지지하도록 만든 비대칭성 구조의 분리막을 제조하고 그 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4급화 폴리페닐렌 옥시드 코팅을 통한 축전식 탈이온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Capacitive Deionization Performance by Coating Quaternized Poly(phenylene oxide))

  • 김도형;강문성
    • 멤브레인
    • /
    • 제24권4호
    • /
    • pp.332-3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축전식 탈이온 공정(capacitive deionization, CDI)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를 기저물질로 이용하여 코팅이 가능한 음이온교환 이오노머(quaternized PPO, QPPO)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QPPO는 상용 음이온교환막(AMX, Astom Corp., Japan) 대비 우수한 이온전도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화학적 특성 또한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공성 탄소 전극에 이오노머 용액을 코팅하여 CDI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약 94.9%의 높은 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CDI와 상용 음이온교환막을 결합한 membrane CDI (MCDI), QPPO가 코팅된 전극을 사용한 coated CDI (CCDI)의 탈염 성능을 비교한 결과 QPPO의 높은 이온선택성 및 낮은 이온 전달저항으로 CCDI가 기존의 CDI에 비해 52.1%, MCDI에 비해 18.3% 향상된 높은 염 제거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reparation of bi-polar 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 to hypochlorite production

  • Kim, Jung Sik;Cho, Eun Hye;Rhim, Ji Won;Park, Chan Jong;Park, Soo-Gil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6권1호
    • /
    • pp.27-42
    • /
    • 2015
  • In this study, poly (phenylene oxide) (PPO) and poysulfone (PSf) were sulfonated and aminated respectively. Both sulfonated poly (phenylene oxide) (SPPO) and aminated polysulfone (APSf) were characterized via the measurement of FT-IR, swelling degree, ion exchange capacity (IEC), and ion conductivity. Then the surfaces of these membranes were modified by surface fluorination using 2000 ppm $F_2$ gas against $N_2$ gas for 1 h at room temperature. The surface fluorinated SPPO and APSf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again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istine and fluorinated membranes. In total, 3 types of bi-polar membrane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IEC of the APSf and having a fixed value for the IEC of the SPPO. The hypochlorite concentration generated by using the surface fluorinated membranes was dependent on the IEC of the APSf and ranged from 683 to 826 ppm, while there was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 durability of the surface fluorinated membranes as they remained intact even after operating for 4 h.

Molecular Structure of Poly(phenylene oxide-g-styrenesulfonic acid) and the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of the Membrane

  • Cho, Chang-Gi;You, Young-Gyu;Jang, Hye-Young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69-269
    • /
    • 2006
  • The molecular structure of poly(2,6-dimethyl-4,4' -phenylene oxide)-g-poly (styrenesulfonic acid) (PPO-g-PSSA) graft copolymer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via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Obtained graft copolymers were transformed into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ppli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membranes was measured in terms of water uptake, proton conductivity, methanol perme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Very low methanol permeability and good proton conductivity were observed by adjusting grafting frequency and PSSA block content.

  • PDF

Polystyrene/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블렌드의 동적 복굴절과 점탄성 (Dynamic Birefringence and Viscoelasticity of Polystyrene/Poly, (2,6-dimethyl-1-4-phenylen Oxide)Blends)

  • 황의정
    • 유변학
    • /
    • 제9권3호
    • /
    • pp.89-96
    • /
    • 1997
  • PS/PPO 블렌등의 동적 탄성율 E*($\omega$)와 동적 스트레인-광학계수 O*($\omega$)을 유리전이 영역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PS/PPO 3종류조성블렌드의 E*($\omega$)와 O*($\omega$)완화거동을 조성 단 일 중합체와 비교고찰하였다. PS/PPO 블렌드의 $\alpha$-분산 점탄성 거동은 조성에 관계없이 거 의 유사하여 조성 고분자가 상호 협동적으로 완화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광학적 완 화 스펙트럼 O*($\omega$)는 정성적으로 명확히 다른 거동을 보였다. 단일 PS와 PPO의 O*($\omega$)는 전 영역에 걸쳐 상반된 부로를 나타냈으며 두 고분자의 블렌드는 조성고분자의 반대부호를 상호보상으로 인하여 복굴절이 감소하였다. 3종류블렌드는 PPO의 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상 호보상에 의해 O*($\omega$)의부호가 순차적으로 변하여 반전하였으며, 저 복굴절 PS/PPO 블렌드 의 PS조성이 65-80wt% 범위내에 있음을 추정할수 있었다. 상이한 부호를 갖는 복굴절 특 성으로 인하여 블렌드 내에서 각 성분 고분자의 완화 기여를 다순 가성법칙에 의해 정량적 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PS/PPO 블렌드의 상용성을 광학적 부분 기여 파라메 터를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