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amma}$-aminobutyric aci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PAMAM Dendrimers Conjugated with L-Arginine and γ-Aminobutyric Acid as Novel Polymeric Gene Delivery Carriers

  • Son, Sang Jae;Yu, Gwang Sig;Choe, Yun Hui;Kim, Youn-Joong;Lee, Eunji;Park, Jong-Sang;Choi, Joon Si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2호
    • /
    • pp.579-584
    • /
    • 2013
  •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functional dendrimer derivatives as nonviral gene delivery vectors. Poly(amidoamine) dendrimer (PAMAM, generation 4) was modified to possess functional amino acids to enhance gene transfection efficiency. PAMAM G4 derivatives conjugated with L-arginine (Arg)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showed higher transfection efficiency and lower cytotoxicity compared to the native PAMAM G4 dendrimer. The polyplex of the PAMAM G4 derivative/pDNA was evaluated using an agarose gel retardation assay and Picogreen reagent assay. Additionally, the MTT assa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ytotoxicity of synthesized polymers. All PAMAM G4 derivatives showed lower cytotoxicity than PEI25kD. Particularly, PAMAM G4-GABA-Arg displayed enhanced transfec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native PAMAM G4 dendrimer.

Effects of poly-$\gamma$-glutamic acid on serum and brain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diet-induced obese rats

  • Lee, Hye-Sung;Chang, Moon-Jeong;Kim, Sun-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23-29
    • /
    • 2010
  • Poly-gamma-glutamic acid ($\gamma$-PGA) is a mucilaginous and biodegradable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from fermented soybeans, and i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soy product, cheongkukj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ma$-PGA from a food source on the concentration of the neurotransmitter GABA and its metabolic precursor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Eight-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n=60)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besity was induced by providing either a 10% control fat or 45% high fat diet for 5 weeks. The rats were then blocked into 6 groups and supplemented with a 0.1% $\gamma$-PGA diet for 4 weeks. After sacrifice, brain and serum GABA and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The rats fed the high fat die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s. $\gamma$-PG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the control fat diet groups while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the high fat groups. In the brain,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amma$-PGA supplemented groups both in rats fed the normal and high fat diets than in the no $\gamma$-PGA controls. GABA concentrations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amma$-PGA intake increased GABA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brain. However, the effects were not shown in obese rats.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초균-젖산균의 순차적 복합 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 함유 황칠나무 추출물의 생산 (Production of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gredients by serial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S2020)

  • 손수진;강혜미;박윤호;황보미향;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8
    • /
    • 2024
  • 황칠나무 추출물의 순차적 복합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들을 강화시킨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 추출물에 MSG와 glucose를 첨가한 후 1차 B. subtillis HA 발효를 통해 γ-PGA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시켰다. 이후 skim milk와 glucose, yeast extract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30℃에서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2차 복합 발효를 통해서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산하였다. 황칠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에서 생성된 점질물 및 점조도은 발효 2일 4.21±0.04 Pa·s, 4.1%±0.48%로 높은 점조도 값과 점질물을 함량을 보였다. pH 및 산도는 각각 8.9±0.01, 0.00±0.00이었으며 생균수는 7.27 log CFU/mL에서 발효 2일에 9.50 log CFU/mL로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순차적 복합 발효가 진행되면서 고초균의 생균수는 4.30 log CFU/mL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젖산균은 9.12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 및 tyrosine 함량은 각각 0.8 unit/g, 57 mg%로 측정되었다. 이후 연속적 복합 발효 과정에서 발효 5일 차 106 mg% 정도로 증가되었으며, SDS-PAGE를 이용하여 casein 단백질이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GABA 정성분석 결과 skim milk 5%만을 첨가한 조건을 제외하고 glucose, yeast extract가 추가로 첨가된 모든 조건에서 전구물질 MSG가 소진되면서 GABA로 전환되었다. 이중 최적 조건을 골라 정량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8.29 mg/mL의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황칠 복합 발효물은 γ-PGA,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발효소재로써 다양한 식품의 원료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