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ution indicato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19초

북한산국립공원 내 초미세먼지 농도 및 화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Aerosol Composition, Concentration, and Sourc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강석원;강태원;박태현;박규태;이준홍;홍제우;홍진규;이재홍;이태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7-468
    • /
    • 2018
  •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s in the national park and comparing the air pollution between national park and the urban area nearby national park, the aerosol characterization study was conducted in Bukhansan National Park, Seoul, from July through September 2017. Semi-continuous measurements of $PM_{2.5}$ using PILS (Particle Into Liquid System) coupled with IC (Ion Chromatography) and TOC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allowed quantification of concentrations of major ionic species($Cl^-$, $SO_4{^{2-}}$, $NO_3{^-}$, $Na^+$, $NH_4{^+}$, $K^+$, $Mg{^{2+}}$ and $Ca{^{2+}}$) and water soluble organic carbon (WSOC) with 30-minute time resolution. The total mass concentration of $PM_{2.5}$ was measured by T640 (Teledyne) with 5-minute time resolution. The black carbon (BC) and ozone were measured with a minute time resolution. The timeline of aerosol chemical compositions reveals a strong influence from urban area (Seoul) at the site in Bukhansan National Park. Inorganic aerosol composition was observed to be dominated by ammoniated sulfate at most times with ranging from $0.1{\sim}32.6{\mu}g/m^3$ (6.5~76.1% of total mass of $PM_{2.5}$).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 nitrate, a potential indicator of the presence of local source, ranged from below detection limits to $20{\mu}g/m^3$ and was observed to be highest during times of maximum local urban (Seoul) impact. The total mass of $PM_{2.5}$ in Bukhansan National Park was observed to be 10~23% lower than the total mass of $PM_{2.5}$ in urban area (Gireum-dong and Bulgwang-dong, Seoul). In general, ozone concentr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was observed to be similar or higher than urban sites in Seoul, suggesting additional biogenic VOCs with $NO_x$ from vehicle emission were to be precursors for ozone form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안양천 수계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Water System of Anyang Stream in Korea)

  • 배경석;윤종철;이순희;조석주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3호
    • /
    • pp.40-51
    • /
    • 2004
  •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water system of Anyang Stream was analyzed from August, 2002 to April, 2003. Species number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78 species, 33 families, 11 orders, 5 classes in 3 phyla. They were collected 49 species at 1st survey, 51 species at End survey and 53 species at 3rd survey, respectively. Species numbers at each tributary were 43 species at the Wanggok Stream, 44 species at the Mokgam Stream, 33 species at the Ohjeon Stream and 26 species at the Hakeu Stream, while it was only 9 species at the Dangjeong Stream. Species number of the main course of Anyang Stream was 24 species. Dominant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Wanggok, Ohjeon and Hakeu Stream were Baetis fuscatus, Alainites muticus, Physa acuta and chironominae sp. They were mainly intermediate and tolerant species. Dominant species and subdominant species of the Dangjeong Stream were Limnodrilus socialis, Psychoda KUa and Telmatoscopus KUa as indicator species for severe sewage pollution. Dominant species at Geumjeong-dong and KUa bridge in the main course of Anyang Stream were Physa acuta, Limodrilus gotoi, Chironominae sp., Species diversity indices at the Mokgam Stream were $high(3.53\~4.28\;range)$ and those of the Hakeu, Wanggok and Ohjeon Stream were some what high$(2.00\~3.13\;and\;2.34\~3.10\;range)$. But, species diversity indices in the Dangjeon Stream were low$(1.36\~1.70\;range)$ too. and those of the main course of Anyang Stream were low$(0.86\~1.79\;range)$ too. Species richness indices in the Wanggok and Mokgam Stream were very high$(3.55\~4.02\;and\;2.96\~5.31\;range)$ and those of Geumjeong-dong and Kia bridge in the main course of Anyang Stream were low$(0.89\~1.98\;range)$. Stream bed and riparian bank of middle reach in the Wanggok Stream were good condition and water was clean. The Mokgam Stream had various microhabitats, good water weed area, hetero geneous substrates and etc.. And, stream bed in the Hakeu Stream was in good condition. So, above streams should be continuously in good ecological condition and useful area for citizens.

지역 양분관리를 위한 조사료 단지의 양분수지 개선효과 (Improvement of Nutrient Balance using Feed Crops for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 양헌용;김정균;오병욱;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9-95
    • /
    • 2020
  •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질소기준 양분수지가 1위로 양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양분관리를 위해서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통하여 생산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농경지에 올바르게 살포하여 양분이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농경지에 대한 양분관리와도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분수지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양분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조사료의 생산을 통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양분관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로 생산된 퇴·액비를 지역으로 다시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분뇨 액비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농경지의 토양에서의 총 질소의 농도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소농도의 감소는 작물의 사용량 뿐 아니라 토양에 축적되거나 지하수 및 지표수로 유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수질개선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ous Community in Youngil Bay, Southeastern Korea)

  • 신현출;최성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6-54
    • /
    • 1992
  • 1991년 4계절 동안 영일만의 다모류 군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모류는 전 체 저서동물 개체수의 71.3%를 차지하는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 총 72종이 채집되 었고 평균서식밀도는 1,485 indiv.m/SUP -2/이었다. 종수와 개체수는 여름에 54종, 3,2.7 indiv. m/SUP -2/ 으로 가장 높았고, 가을에 35종, 755 indiv. m/SUP -2/으로 가장 낮았다. 우점종은 Spiophanes nombyx (37.5%), followed by Pseudopolydora sp.(8.4%), Lumbrineris longifolia(7.0%), Madden cristata(6.5%), Polydora ciliata(4.9%)등이다. 겨울에는 Maldane cristata, 봄에는 Polydora ciliata, 그리고 여름과 가을에는 Spiophanes bombyx가 우점하였다. 다모류는 영일만의 남동쪽 해역에 서 풍부하였고 형산강 입구에서 빈약하였다. 종조성에 기초한 집괴분석 결과 영밀만은 3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지역에는 특정적인 동물 군집이 형성되었다. 즉, 영 일만의 중심부에서 남동쪽 해역까지는 Maldane-Praxillella 군집, 북서쪽 해역은 Spiophanes-Nephtys 군집, 그리고 형산강 입구에서 포항항까지는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이 형성되었다. Maldane-Praxillella 군집은 55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많으며, 종다양성지수와 종풍부도지수 역이 가장 높았다.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은 서식밀도가 가장 높았다.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은 유기물오염 지시종이 우점하는 특징적인 군집이다. 우점종은 Pseudopolydora sp., Polydora ciliata, Capitella capitata, Dorvillea sp. 등이다.

  • PDF

시화호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Studies on Community of Meiobenthos in the Sediments of the Lake Shiwha)

  • 김동성;이재학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59-171
    • /
    • 2001
  • 시화호 내해의 저서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수평분포, 서식 밀도, 선충류/저서성 요각류비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2000년 5월에 총 19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형저서동물은 1999년 총 11개의 분류군, 2000년 8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여, 다른 연안 해역에 비하여 아주 낮은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두 시기 모두 출현 분류군 중 선충류(nemato-des)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출현분류군은 유공충류(sarcomastigophorans), 갑각류의 유생(nauplius), 저서성 요각류 (benthic harpacticoids), 갯지렁이류(polychaetes)로 이들 5개의 분류군이 전체 중형동물 출현 개체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0년에는 이들 분류군 이외에 갯지렁이의 유생 (poly-chaetes larvae)이 아주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개체수 크기는 체 크기 0.063mm에 들어가는 크기의 생물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서식 밀도는 시화호 안쪽의 상부 정점들에서 각 시기 모두 아주 낮게 나타났고, 시화호 배수 갑문 근처인 하부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간 해역에서는 서식밀도 역시 중간 값을 보였다. 환경 오염 지수의 하나인 선충류/저서성요각류 비(N/C ratio)역시 시화호 배수 갑문 근처의 정점들에서는 낮게 나타나고, 안쪽의 상부 정점들에서는 아주 높게 나타나, 시화호 저서 퇴적물의 환경은 시화호 하부인 수문이 위치한 해역에서 상부로 갈수록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상부 해역은 아주 극심한 오염된 환경을 나타냈다.

  • PDF

패류 중 자연정화 및 인공정화에 의한 위생지표세균의 변화 (Removal of Fecal Indicator Bacteria from Bivalves under Natural and Electrolyzed Water)

  • 오은경;유현덕;유홍식;하광수;신순범;이태식;이희정;김지회;손광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6
    • /
    • 2012
  • In coastal areas that are affected by continuous, seasonal or occasional pollution sources, bivalves accumulate biological contaminants such as pathogenic bacteria.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atural seawater relaying and electrolyzed seawater depuration on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rtificially contaminate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to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of shellfish sanitation control.When artificially contaminated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fecal coliform level 1,700 MPN/100 g) were relayed into a sea area of saf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the fecal coliform level dropped to below 110 MPN/100 g after 1 day.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that are contaminated at a fecal coliform level of 1,700 MPN/100 g could be improved, and become appropriate for raw consumption by a single day relay under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artificially contaminated oysters (fecal coliform level 330 MPN/100 g) were depurated with electrolyzed seawater, 94% of fecal coliform was eliminated after 12 h and fecal coliform was undetectable after 24 h. After 24 h depuration with electrolyzed seawater, the fecal coliform level of short-necked clams with initial fecal coliform of 2,400 MPN/100 g was below 20 MPN/100 g. However, the fecal coliform level of short-necked clams with initial fecal coliform of 17,000 MPN/100 g was relatively high, at 790 MPN/100 g, even after 24 h of depuration with electrolyzed seawater, because of the repeated cycle of excretion and accumulation of fecal coliform in shellfish tissue under the closed depuration environment. Such natural seawater relaying and electrolyzed seawater depuration can be restrictively applied to improve or secure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in accordance with safety levels for bivalves for raw consumption.

시스템 사고를 통한 다기능 생태저류지의 관리방안 - 광명 안터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The Management Methods of Multi-Purpose Ecological Reservoir by System Thinking - Focused on Anteo Eco Park -)

  • 이현지;유수진;전진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7
    • /
    • 2015
  • Ecological reservoir is a multifunctional space where provides the functions of retention, animal habitat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health and landscape. The ecological reservoir of Anteo Eco Park located in Gwangmyeong-si has established to functions for water purification, maintenance of healthy aquatic ecosystem. Because the Anteo Eco Park is located in the site where nonpoint pollutant materials flow in, Anteo Eco Park has potential factors which aquatic ecosystem health deteriorates and damages the habitat of golden frog(Rana plancyi chosenica) which is restoration target spe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to manage the variables which impede the right functions of aquatic ecosystem by understanding the causal loop diagram for the change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 of predator-prey through system thin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individual number of golden frog which is an indicator species of Anteo Eco Park is threatened by snakeheaded fish, which is an upper predator. Therefore, balanced food chain should be hold to protect golden frog by capturing the snakeheaded fish which is individual number's density is high, and the monitoring management of the individual number for predator(snakeheaded fish)-prey(golden frog) should be performed. Second, the study represented that water pollution and carnification is caused by the sediment as the dead body of the large emergent vegetation in the winter cumulates as sediment. Ecological reservoir in Anteo Eco Park has been managed by eliminating the dead body of the large emergent vegetation, but the guideline for the proper density maintenance of vegetation community is additionally needed. Lastly, the study showed that aquatic ecosystem of Anteo Eco Park where is contaminated from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affects the individual number's decline of golden frog and snakeheaded fish. Accordingly, the creation of a buffer area and a substitution wetland is needed in the periphery of the Anteo Eco Park to control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including organic matters, nutrients and heavy metal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hat Anteo Eco Park improves the regional landscape and maintain healthy aquatic ecosystem space for the park visitors including local residents.

요인분석과 농약성분 특성에 의한 농업지역의 지하수 수질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Using Factor Aanlyses and Agrochemicals in an Agricultural Area)

  • 이정환;함세영;김광성;정재열;류상민;김득호;김현지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3호
    • /
    • pp.217-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대 농업지역의 지하수 수질과 농약에 의한 오염 특성을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1, 2, 3차의 수질분석에 의하면, 무기성분($Ca^{2+}$, $Na^+$, $Mg^{2+}$, $K^+$, $Zn^{2+}$, $Cu^{2+}$, $Fe^{2+}$, $Al^{3+}$, $NO_3\;^-$, $Cl^-$, $SO_4\;^{2-}$, $F^-$, $SiO_2$)의 평균농도는 2차조사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살충제인 carbofuran과 제초제 alachlor는 2차조사에서 과반수가 넘는 지하수공에서 검출이 되었다. 이는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서 지하수내로 오염물질의 용출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과 수질조성에 의하면, $SiO_2$, $HCO_3\;^-$, $F^-$을 제외한 무기성분들은 인위적인 오염(화학비료, 퇴비, 유기물의 분해, 축산폐수, 생활하수), 염수, 물-광물 반응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인위적인 오염을 대표하는 $NO_3\;^-$평균농도는 먹는물 기준보다 약 4${\sim}$5배 초과하고 있다. 또한, 염수의 영향은 해안에서부터 멀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글레나조류의 분류 및 생태와 환경 교육 (Taxonomy and Ecology of Euglenoids (Euglenophyceae) and Their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 김준태;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367-376
    • /
    • 2000
  • 본 논문은 유글레나조류의 분류 및 생태에 관한 선행된 연구결과들을 종합 정리하고, 이를 환경교육에 접목하기 위한 것이다. 유글레나조류는 편모가 1-4개이며 다양한 수계에서 플랑크톤으로 생활하는 단세포 미세조류로서, 우리나라 전역에서 채집 조사된 종류는 종 하위 분류군을 포함하여 3목 4과 9속 168 분류군으로 정리된다. Euglena속과 Strombomonas속은 유기물 오염이 심한 도시 하천과 연못 등에 번무하였으며, Trachelomonas, Phacus, Lepocinclis속은 자연늪이나 오래된 연못과 같은 정체 수계에 많이 출현하였다. 유글레나조류의 개체군 크기는 질산염 등의 질소성 영양염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Euglena caudata, E. deses, E. ehrenbergii, E. haemichromata, E. geniculata, E. viridis, Lepocinclis ovum, Strombomonas urceolata, Phacus trypanon, Trachelomonas hispida, T. volvocina 등은 주로 겨울과 봄철에 대발생을 하였다. 저자들은 유글레나조류를 환경교육의 적정생물의 하나로 인식하고, 그 기본자료로서 웹사이트(Yahoo. com: Science/ Biology/ Botany/ Phycology /Biology of Green Euglenoids)를 개발하고, 유글레나조류의 출현종과 개체수에 근거하여 수환경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글레나조류의 분류 및 생태에 관한 충분한 이해에 입각한 수질의 평가는 기존의 물리ㆍ화학적 자료에 근거한 평가와 함께 환경교육의 주요 자료와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수환경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 고병설;이재학;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31-41
    • /
    • 1997
  • 인천 연안역을 중심으로 1994년 5월에서 1995년 2월까지의 4계절에 걸쳐 저서동물군집을 조사하고 저서동물의 종 조성에 따른 시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며, 생물분포에 관여한 다양한 환경요인의 측정과 함께 해양환경을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총 231종, 평균 455개체/$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이 중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Chaetozone setosa, Mediomastus sp., Glycinde sp., Glycera sp.와 Nephtys oligobranchia 등이었으며 조사시기별과 해역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종 조성에 따른 공간적 유사성에 있어선 크게 4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어 팔미도 외해역(I), 주 수로역과 시화방조제 부근 해역(II), 영종도 북동쪽 해역(III), 인천항과 소래 입구역(IV)으로 나뉘어 졌다. 이러한 구분은 저서동물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퇴적물의 입도 뿐만 아니라 중금속 농도 및 용존산소의 차이 등과 오염의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다모류와 연체동물의 출현비의 증가, 갑각류의 Phoxocephaiidae의 출현여부, 오염지시종의 증가 등은 정점군 I에서 정점군 IV로 갈수록 오염되어졌음을 잘 반영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