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

  • Koh, Byoung-Seol (Biological Oceanograph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Jae-Hac (Biological Oceanograph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Hong, Jae-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고병설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 홍재상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seasonally from May 1994 to February 1995, an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effect the temporal and the spatial changes of benthic species composition. In the present study, 231 species were collected with the average density of 455 ind./$m^2$. The dominant species were Heter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Chaetozone setosa, Mediomastus sp., Glycinde sp., Glycera sp. and Nephtys oligobranchia, which are in the polychaete group; abundance of these species showed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4 regions by cluster analysis such as outside area of Palmido (I), main channel region and adjacent are of Shihwa sea wall (II), north-eastern area of Youngjongdo (III), and the Inchon harbor and the mouth area of Sorae harbor (IV). The particle size of sediment which generally influences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community, the differences of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of the dissolved oxygen, the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polychaetes and molluscs, the absence of the crustacean phoxocephalids, and the increase of the abundance of pollution indicator specie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areas have been degrading gradually from Group I to Group IV.

인천 연안역을 중심으로 1994년 5월에서 1995년 2월까지의 4계절에 걸쳐 저서동물군집을 조사하고 저서동물의 종 조성에 따른 시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며, 생물분포에 관여한 다양한 환경요인의 측정과 함께 해양환경을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총 231종, 평균 455개체/$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이 중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Chaetozone setosa, Mediomastus sp., Glycinde sp., Glycera sp.와 Nephtys oligobranchia 등이었으며 조사시기별과 해역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종 조성에 따른 공간적 유사성에 있어선 크게 4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어 팔미도 외해역(I), 주 수로역과 시화방조제 부근 해역(II), 영종도 북동쪽 해역(III), 인천항과 소래 입구역(IV)으로 나뉘어 졌다. 이러한 구분은 저서동물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퇴적물의 입도 뿐만 아니라 중금속 농도 및 용존산소의 차이 등과 오염의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다모류와 연체동물의 출현비의 증가, 갑각류의 Phoxocephaiidae의 출현여부, 오염지시종의 증가 등은 정점군 I에서 정점군 IV로 갈수록 오염되어졌음을 잘 반영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