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utant transport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지하다공질(地下多孔質) 매체(媒體)속에서의 오염물질이동(汚染物質移動) 해석(解析)을 위한 지하수(地下水)흐름 모형(模型) (Groundwater Flow Model for the Pollutant Transport in Subsurface Porous Media Theory and Modeling)

  • 조원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97-106
    • /
    • 1989
  • 본(本) 연구(硏究)는 유한요소법(有限要素法)(FEM)을 이용(利用)하여 2차원(次元) 지하수(地下水) 흐름모형(模型)을 확립(確立)한 것으로 지하수계(地下水界)에서의 오염물질이동(汚染物質移動)에 관한 종합적(綜合的)인 동적(動的)시스템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하는 연구(硏究)의 첫 단계(段階)이다. 이 흐름모형(模型)은 보다 많은 실재문제(實在問題)를 다를 수 있는 융통성(融通性)과 유연성(柔軟性)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시간(時間)의 함수(函數)로 나타나는 Sources/Sinks, Dirichlet 형(形)의 경계조건(境界條件), Neumann 형(形) 혹은 Cauchy 형(形)의 유동(流動) 경계조건(境界條件), 누수성피압상(漏水性被壓床) (leaky confining beds) 등(等)의 조건(條件)을 가진 지하수(地下水)흐름을 모의발생(模擬發生 수 있으며, 또 복잡(複雜)한 경계조건(境界條件)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삼각형요소(三角形要素)와 사각형요소(四角形要素)를 혼합(混合)하여 쓸 수 있는 지하수(地下水)흐름 FEM 모형(模型)을 확립(確立)한 것이다.

  • PDF

RAMS+를 이용한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2차원 체류시간 분포 모델링 (Modeling 2D residence time distributions of pollutants in natural rivers using RAMS+)

  • 김준성;서일원;신재현;정성현;윤세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7호
    • /
    • pp.495-507
    • /
    • 2021
  • 최근 도시와 산업의 발달과 함께 하천, 호소 등 수환경에서의 수질 오염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어류폐사, 취수중단, 친수활동 저해 등 심각한 수생태계 및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수질모델링을 통한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에 대한 사전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천흐름/수질해석 프로그램인 RAMS+의 현장 적용성 및 예측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만곡하천인 섬강에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흐름해석모형 HDM-2Di와 수질해석모형 CTM-2D-TX는 현장실험에서 관측된 2차원 흐름 특성과 오염물질의 거동 및 혼합 양상을 정확하게 재현하였다. 특히 하천의 양안과 만곡부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저유속 흐름에 의해 오염물질의 거동이 지체되는 저장대 효과를 정확하게 모의하였다. 나아가서 하천 만곡부에서 이차류가 야기하는 오염물질 3차원적 혼합 양상을 2차원 분산계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재현하였다. 오염물질의 위험농도 체류시간은 취수중단 기간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CTM-2D-TX 모의결과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위험농도 체류시간을 계산하였고, 위험농도 체류시간의 공간적 분포가 하폭방향으로 큰 편차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2차원적 체류 특성은 1차원 수질모형을 통해서는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정확한 수질사고대응을 위해 2차원 수질모형의 활용이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격자볼츠만 아격자 모델을 이용한 난류 경계층 내에서의 오염물질 확산에 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f Pollutant Dispersion in a Turbulent Boundary Layer by Using Lattice Boltzmann-Subgrid Model)

  • 신명섭;변성준;김준형;윤준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2호
    • /
    • pp.169-178
    • /
    • 2011
  • 격자볼츠만 방법(LBM)을 이용하여 난류 경계층에서의 오염물질 확산에 대하여 수치계산을 수행 하였다. 난류 경계층 내의 유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격자볼츠만 방법에 Smagorinsky 아격자 모델을 적용한 LB-SGS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오염물질의 확산을 모사하기 위하여 Passive-scalar 방법을 적용하였다. LB-SGS 모델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Fackrell & Robins(1982)과 Raupach & Legg(1983)의 실험 조건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치계산을 수행하였고, 수치계산으로 얻어진 농도 분포를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LB-SGS 모델이 난류 경계층 내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분포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철도화물과 도로화물수송의 비교분석 연구: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ail and Road Freight Transportation: Air contamina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 김영주;박재현;오용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94-101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세계 각국은 도로중심의 운송체계를 철도 등 친환경 교통체계로 전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도로화물수송의 철도전환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화물철도와 같은 친환경 수송수단에 대한 지원정책 마련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바로 도로대비 철도의 친환경성에 대한 정량적 자료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와 도로의 화물수송시 배출되는 환경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를 산정하고 이의 비교검토를 진행함으로써 철도화물의 친환경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디젤기관차와 전기기관차의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이하므로 이를 구분하여 산정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친환경성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로화물의 단위수송 당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SO2를 제외하고는 철도보다 7~15배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실가스의 경우 도로화물이 철도대비 약 4배 수준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내 오염물이동 수치모델 검증 (Verification of the Contaminant Transport Numerical Model in Subsurface Soil)

  • 서경석;김은한;한문희;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67-75
    • /
    • 2002
  • 지표 토양 환경내 오염물 거동 해석을 위하여 지하수 유동 및 오염물 이동 수치모델을 수립하였다. 수치모델의 검증 및 현장 적용성 검사를 위하여 해석해와 상호 비교하였다. 계산결과 지하수 유동 및 오염물 이동의 수치해는 해석해와 잘 일치하였다. 특히 지하수 유동의 1차원 및 2차원 비균질 매질에서 수치해가 검증됨 따라 실제 현장 적용시 존재하는 비균질 매질의 특성을 잘 재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염물 이동 수치모델의 계산결과 이류와 수력학적 분산에 의해 토양내의 오염물 이동이 잘 재현되었다. 수치모델의 운영 결과 모델의 중요한 입력항은 복잡한 경계조건의 선택으로 이들의 적절한 선택이 모델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인천해역 개발에 따른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예측 (Prediction of Tidal Changes and Contaminant Transport Due to the Development of Incheon Coastal Zone)

  • 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
    • /
    • 1997
  • 대규모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연안의 해수유동 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조간대의 노출-침수를 고려할 수 있는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을 수립 적용하였다. 해수유동 모형은 정도지점의 현장 측정자료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주 흐름방향의 유속 및 수위에 대한 계산치가 현장 관측치 재현에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수립된 흐름모형을 이용하여 영종도 신공항 및 시화방조제 건설 전 \ulcorner후의 조석변화 양상을 모의하는 한편, 흐름모형에서 계산된 대조기 흐름조건하에서 가상의 오염부하에 따른 오염물질 확산 양상을 수치 모의하였다. 수치모의결과, 해역의 개발로 인하여 유속이 감소되고 있으며, 유입된 오염물질은 잘 발달된 협수로를 따라 주로 이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천해역에 대하여 수립된 본 모형은 향후 인천해역의 개발계획에 대한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확산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농촌소유역 하천수질관리를 위한 GIS응용 (GIS Application for Rural Water Quality Management)

  • 김성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47-157
    • /
    • 1996
  • 노촌 소유역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의 이동과 이에 따른 하천의 수질변화를 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기존의 모형들과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소유역 하천수질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오염 물질의 하천유달률을 계산하기 위한 간단한 오염부하모형, 유역의 유출을 발생시키기 위한 Tank모형 그리고 하천에서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한 QUAL2E모형이 본 연구에 적용되었다. 시스템은 경기도 이천군과 용인군에 위치한 복하천유역에 적용하였으며, 발생오염물질 분포도, 배출오염물질 분포도, 하천으로의 유달률 분포도 및 주요하천지점에서의 수질현황도 등을 구축하였다.

  • PDF

SWAT 모형을 활용한 유황별 비점오염 저감 효율 분석 - 달천 유역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Efficiency of Pollution Reduction Scenarios by Flow Regime Using SWAT Model - A case study for Dalcheon Basin -)

  • 김수홍;홍지영;박운지;김종건;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9-482
    • /
    • 2021
  • The recent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have seen an increase in runoff and pollutant loads, and consequently significant negative water poll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 loads vary among the different flow regime depending on their source and transport mechanism, However, pollutant load reduction based on flow regime perspective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orough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on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s from each flow regime to develop efficient pollution management. As non-point pollutants continuously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 efficient management is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1)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sources were analyzed at the Dalcheon Basin, 2)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and 3) reduction efficiency for flow regime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lcheon Basin, a reduction efficiency scenario for each pollutant source was constructed. The efficiency analysis showed 0.06% to 5.62% for the living scenario, 0.09 to 24.62% for the livestock scenario, 0.17% to 12.81% for the industry scenario, 9.45% to 38.45% for the land scenario, and 9.8% to 39.2% for the composite scenario. Therefore, various pollution reduction scenario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and flow regime characteristic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measurements to improve water quality at various flow regime perspectives in the Dalcheon Basin.

The Role of Fronts on the Vertical Transport of Atmospheric Pollutants (2-D model)

  • Nam, Jae-Cheol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ean Environment
    • /
    • pp.65-68
    • /
    • 2003
  • A quantitative study of the amount of air transported between the boundary layer and the free atmosphere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air quality and upper tropospheric ozone, which is a greenhouse gas. Frontal systems are known to be an effective mechanism for the vertical transport of pollutants. Numerical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with a simple two-dimensional front model to simulate vertical transport of trace gases within developing cold fronts. Three different trace gases experiments have been done numeric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itial fields of trace gases such as aerosol, ozone and $H_2O_2$. Trace gas field tilts to the east while the front tilts to the west. Aerosol simulation shows that pollutants can be transported out of the boundary to altitudes of about 10 km. The stratospheric ozone is brought downwards in a tropopause fold behind of the frontal surface. The meridional gradient in trace gas ($H_2O_2$) can cause a complicate structure in the trace field by the meridional advection.

  • PDF

Long-Rang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ir Masses in Taean, Korea Using A Lagrangian Trajectory Model and Cluster Analysis Technique Part 2. Chemical Compounds Characteristics of $PM_{2.5}$ Particle Related to Long-Range Transport Patterns

  • Zhuanshi He;Kim, Young-Joon;Hong, Chun-Sang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4
    • /
    • 2000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long-range transport patterns in Asia area, continuous every 6-day sampling (case 1) and an intensive field sampling (case 2) had been carried out between March 1998 and July 1999 at Taean, Korea. Anionic ($Cl^{-}$, ${NO_{3}}^{-}$, ${SO_{4}}^{2-}$) and Cationic ($Na^+$, ${NH_{4}}^{ +}, $K^+$, $Mg^{2+}$, $Ca^{2+}$) concentrations of $PM_{2.5}$ particle were analyzed.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emical compounds of $PM_{2.5}$ and the long-range transport patterns during intensive sampling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