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ity

검색결과 1,315건 처리시간 0.033초

가변 극성 알루미늄 아크 용접의 이론적 배경 고찰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ion on variable polarity arc welding of aluminum)

  • 조정호;이중재;배승환;이용기;박경배;김용준;이준경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3권2호
    • /
    • pp.14-17
    • /
    • 2015
  • Cleaning effect is well known mechanism of oxide layer removal in DCEP polarity. It is also known that DCEN has higher heat input efficiency than DCEP in GTAW process. Based on these two renowned arc theories, conventional variable polarity arc for aluminum welding was set up to have minimum DCEP and maximum DCEN duty ratio to achieve the highest heat input efficiency and weldability increase. However, recent several variable polarity GTA research papers reported unexpected result of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DCEP duty ratio and heat input. The authors also observed the same result then suggested combination of tunneling effect and random walk of cathode spot to fill up the gap between experiment and conventional arc theory. In this research, suggested combinational work of tunneling effect and rapid cathode spot changing is applied to another unexpected phenomena of variable polarity aluminum arc welding. From previous research, it is reported that wider oxide removal range, narrower bead width and shallower penetration depth are observed in thin oxide layered aluminum compared to the case of thick oxide. This result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nd it was hard to explain the reason at that time therefore the inference by the authors was hardly acceptable. However, the suggested combinational theory successfully explains the result of the previous report in logical way.

오피니언 마이닝을 활용한 블로그의 극성 분류 기법 (The Blog Polarity Classification Technique using Opinion Mining)

  • 이종혁;김원상;박제원;최재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59-568
    • /
    • 2014
  • 기존의 감정분석을 통한 극성 분류는 주로 평점을 기반으로 하는 상품평을 기준으로 문장규칙을 이용하여 분석해왔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평점이 없는 블로그 같은 경우 적용되기 어려움 점이 있고 댓글 아르바이트나 관리자에 의해 상품평이 조작될 가능성이 있어서 상품평 만으로는 상품, 매장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할 때 개인들의 솔직한 의견이 담겨 있는 블로그를 분석하여 극성을 분류하면 상품, 매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다. 본 논문은 도메인별로 블로그 글에 대한 고빈도 단어를 추출하여 주제어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제어를 기준으로 제안하는 감정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블로그 글에 대한 극성을 분류한다. 감정분석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보 검색 분야에서 사용되는 측정지표 Precision, Recall, F-score를 사용하여 본 연구의 극성 분류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평가 결과 기존의 상품평을 문장규칙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극성 분류를 하는 기법들에 비해서 제안한 감정분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에 우수한 성능으로 극성 분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윗 감정 분류를 위한 다양한 기계학습 자질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Machine-learning Features for Tweets Sentiment Classification)

  • 홍초희;김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71-478
    • /
    • 2012
  • 문서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감정 분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트윗 감정 분류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트윗의 구조, 이모티콘, 철자 오류 그리고 신조어와 같은 트윗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질을(이모티콘 극성, 리트윗 극성, 사용자 극성, 대체 어휘)사용하여 실험하여 트윗 감정 분류 성능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계 학습기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의 감정 분류 실험으로 이모티콘 극성 자질과 사용자 극성 자질이 트윗 감정 분류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리트윗 극성과 대체 어휘 자질은 트윗 감정 분류 모델에 큰 영향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두 전극간의 거리에 따른 극성효과 연구 (A Study of Polarity Effect of Parallel Plate Type ionization Chamber with Different Volume)

  • 윤형근;신교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69-73
    • /
    • 2002
  • 본 연구는 제작된 평행평판형 검출기에서 두 전극간의 거리에 따른 극성효과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개발된 전리함의 극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윗면과 아래 면의 전극에 극성을 바꾸어가며 방사선을 조사하고 그에 의하여 생성된 전하를 측정하여 두 양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두 전극간의 거리가 3, 6, 10 mm 일 때 각각의 명목상 체적이 0.9, 1.9, 3.1 cc인 평행평판형 전리함에 대하여 실행하였다. 조사된 방사선은 6, 10 MV 광자선과 4, 6, 9, 12, 16 MeV의 전자선이며, SSD는 100 cm 이었고, 조사면 크기는 광자선의 경우는 10$\times$10 ㎤ 이고 전자선의 경우는 10$\times$10 $\textrm{cm}^2$을 사용하였으며, 측정점은 최대선량점이고, 선량률은 240 MU/min 으로 하였다.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극성의 변환은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윗면 즉, 방사선이 입사되는 면의 전극이 (+)극을 갖고 아래 면이 (-)극을 갖는 positive와 방사선이 입사되는 면의 전극이 (-)극을 갖고 아래 면이 (+)극을 갖게 되는 negative 측정으로 시행하였다. 실험결과는 광자선의 경우는 0.5 % 이내의 극성효과를 나타냈고, 전자선의 경우는 1% 에서 3.5% 까지 나타났으며, 높은 에너지를 갖는 16 MeV 전자선의 경우가 다른 에너지의 전자선의 경우 보다 극성효과의 영향이 적음을 알 수 있다.

  • PDF

전압 증가에 따른 자속구속형 고온 초전도 전류제한기의 사고전류 제한 특성 (The Fault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crease of Voltage in a Flux-Lock Type High-Tc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 조용선;박형민;임성훈;박충렬;한병성;최효상;현옥배;황종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93-96
    • /
    • 2004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crease of source voltage in the flux-lock type high-Tc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The flux-lock type SFCL consisted of two coils, which were wound in parallel each other through an iron core, and high-Tc superconducting (HTSC) element connected with coil 2 in series. The flux-lock type SFCL has the characteristics better in comparison with the resistive type SFCL because the fault current in the flux-lock type SFCL can be divided into two coils by the inductance ratio of coil 1 and coil 2. The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 of the flux-lock type SFCL can be different due to winding direction of the two coils. The winding method where the decrease of linkage flux between two coils in the accident happens is called the subtractive polarity winding and the winding method in case of the increase of linkage flux is called the additive polarity winding. The fault current limiting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source voltage were performed for these two winding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we confirmed that the quench time was shorter, irrespective of the winding direction as the source voltage increased and that the fault current and the HTSC's resistance increased as the amplitude of the source voltage increased. The additive polarity winding made the fast quench time and the lower resistance of HTSC element in comparison with the subtractive polarity winding. The fault current of the subtractive polarity winding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dditive polarity winding.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additive polarity winding reduced the burden of SFCL because the quench time was shorter and the fault current was smaller than those of the subtractive polarity winding.

  • PDF

The Transcription Factor Mist1 Regulates the Cellular Polarity in Mouse Pancreatic Acinar Cells

  • Yang, Yu-Mi;Lee, Syng-Ill;Shin, D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37-41
    • /
    • 2012
  • Pancreatic acinar cells exhibit a polarit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localization of secretory granules at the apical membrane. However, the factors that regulate cellular polarity in these cells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st1, a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on the cellular architecture of pancreatic acinar cells. Mist1-null mice displayed secretory granules that were diffuse throughout the pancreatic acinar cells, from the apical to basolateral membranes, whereas Mist1 heterozygote mice showed apical localization of secretory granules. Deletion of the Mist1 gen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pe 3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s ($IP_3R$) but did not affect apical localization and expression of $IP_3R2$. Mist1-null mice also displayed an increase in luminal areas and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zymogen granules in pancreatic acina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st1 plays a critical role in polar localization of cellular organelles and in maintaining cellular architecture in mouse pancreatic acinar cells.

LG 공진회로를 이용한 사이크로컨버터의 휴지기간 없는 극성절환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arity Changing Method without Dead Time of a Cycloconverter with an LC Resonant Circuit)

  • 최정수;조규민;김영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9호
    • /
    • pp.111-117
    • /
    • 1998
  • 본 논문은 LC공진회로를 이용한 사이크로컨버터의 휴지기간 없는 극성절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한 방법에 따르면 극성절환시 회로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휴지기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지연 및 출력전류의 고조파성분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은 비순환전류형의 다른 자연전류형 사이크로컨버터에도 확장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지기간 없는 극성절환의 스위칭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C공진회로를 이용한 사이크로콘버터에 적용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다치논리함수의 GRM상수 생성 방법 (A Production Method to GRM Coefficients of Multiple Valued Logic Function)

  • 신부식;심재환;김흥수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6C권5호
    • /
    • pp.67-75
    • /
    • 1999
  • GF(p)상의 n변수에 대한 p\sup n\ 개의 극수를 갖는 GRM 상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GRM 상수의 생성방법은 RM (Reed-Muller)전개식을 이용하여 극수(이하 P로 정의) 0의 RM상수를 구하고 이를 확장하여 모든 GRM상수를 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GRM상수의 생성 방법은 2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단변수에 대하여 최소의 연산자를 갖는 극수를 구하고 다음 극수의 순환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변환 과정을 모든 GRM상수 생성과정에 적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극수의 순환성으로 인하여 생성과정이 간단하며 연산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GRM상수 생성방법이다.

  • PDF

New Memristor-Based Crossbar Array Architecture with 50-% Area Reduction and 48-% Power Saving f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of Analog Neuromorphic Computing

  • Truong, Son Ngoc;Min, Kyeong-Si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356-363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mristor-based crossbar array architecture, where a single memristor array and constant-term circuit are used to represent both plus-polarity and minus-polarity matric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rossbar array architecture which has two memristor arrays to represent plus-polarity and minus-polarity connection matrices, respectively. The proposed crossbar architecture is tested and verified to have the same performance with the previous crossbar architecture for applications of character recognition. For areal density, however, the proposed crossbar architecture is twice better than the previous architecture, because only single memristor array is used instead of two crossbar arrays. Moreov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be smaller by 48% than the previous one because the number of memristors in the proposed crossbar architecture is reduced to half compared to the previous crossbar architecture. From the high areal density and high energy efficiency, we can know that this newly proposed crossbar array architecture is very suitable to various applications of analog neuromorphic computing that demand high areal density and low energy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