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nt defects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64초

최적 비상대피로 유도를 위한 방향성 유도 알고리즘 구현 (The Embody of the Direction Escape Algorithm for Optimization Escape)

  • 이기연;김동욱;김동우;문현욱;길형준;김향곤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15-12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방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적 피난유도 알고리즘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제어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 발생시 발화부 및 연기 이동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최적의 비상대피 유도라인을 계산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최적 피난유도 알고리즘 구현을 위하여 최단거리 계산 알고리즘인 FLOYD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 감지기의 감지 신호에 대한 위험상태에 따라 지역 위험인자를 적용한 최단거리 산출기법으로 구현하였다.

Uncertainties in blast simulations evaluated with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method

  • Husek, Martin;Kala, Jir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4권6호
    • /
    • pp.771-787
    • /
    • 2020
  • The paper provides an inside look into experimental measurements, followed by numerical simulations and their related uncertainties. The goal of the paper is to present findings related to blast loading and the handling of defects that are inherent in experiments. Very often it might seem that experiments are simplified reflections of real-life conditions. In most cases this is true, but there is a good reason for that. The more complex an experiment is, the larger the amount of uncertainties that can be expected. This especially applies when the blast loading of concrete is the subject of research. When simulations fail to reproduce the results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the numerical model. The problem could be missing information. Put differently, the numerical simulation may lack information that seemed irrelevant with regard to the experiment. In the presented case, a reference simulation with a proven material model unexpectedly failed to replicate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where concrete slabs were exposed to blast loading. This resulted in a search for possible unknowns. When all of the uncertainties were examined, the missing information turned out to be the orientation of the charge to the concrete slab. Since the experiment was burdened with error, a sensitivity study had to take place so the influence of this factor could be better understood. The findings point to the fact that even the smallest defect during experiments must somehow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numerical simulations. Otherwise, the simulations are not correlated to the experiments, but merely to some expectations.

Non-Aflatoxigenicity of Commercial Aspergillus oryzae Strains Due to Genetic Defects Compared to Aflatoxigenic Aspergillus flavus

  • Tao, Lin;Chung, Soo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8호
    • /
    • pp.1081-1087
    • /
    • 2014
  • Aspergillus oryzae i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but it is closely related to A. flavus in morpholog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aflatoxigenicity and genetic analysis of nine commercial A. oryzae strains that were used in Korean soybean fermented products. Cultural and HPLC analyses showed that none of the commercial strains produced detectable amount of aflatoxins. According to the molecular analysis of 17 genes in the aflatoxin (AF) biosynthetic pathway, the commercial st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group I strains contained all the 17 AF biosynthetic genes tested in this study; the group II strains deleted nine AF biosynthetic genes and possessed eight genes, including aflG, aflI, aflK, aflL, aflM, aflO, aflP, and aflQ; the group III strains only had six AF biosynthetic genes, including aflG, aflI, aflK, aflO, aflP, and aflQ. With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group I A. oryzae strains showed no expression of aflG, aflQ and/or aflM genes, which resulted in the lack of AF-producing ability. Group II and group III strains could not produce AF owing to the deletion of more than half of the AF biosynthetic genes. In addition, the sequence data of polyketide synthase A (pksA) of group I strains of A. oryzae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point mutations (two silent mutations and one missense mutation) compared with aflatoxigenic A. flavus used as the positive control in this study.

무인항공기 대응체계 도입 방안 (Application of the Small UAV Defense System)

  • 박제홍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45-152
    • /
    • 2017
  • 쉽게 조종이 가능한 소형 무인기가 빠르게 보급되고, 무인기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공중 보안(airspace security)에 취약한 보안/전략 시설의 보안성 확보에 무인기가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이 다양해지면서, 위협에 대응하는 무인기 대응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도 빠르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무인기 보급에 따른 여러 가지 위협 및 사고 사례를 기술하고, 무인기 개발 및 운용방식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발되고 있는 무인기 대응체계 개발 동향을 무인기 대응체계의 개념, 탐지/식별방안 및 제압/대응방안으로 나누어 기술한 후, 드론을 포함한 소형 무인기 대중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제도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영상자료 구조화에 의한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by Video Structuring)

  • 유환희;최경호;구흥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9-74
    • /
    • 2004
  • 도시화로 인한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으로 인해 각종 시설물의 관리에 새로운 차원의 관리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90년대부터 GIS는 시설물관리와 계획에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관련분야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GIS구축 시 수치지도나 영상을 기본도로 사용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동영상자료를 이용한 정보시스템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동영상자료를 이용할 경우 실 세계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GIS의 사용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선에서 촬영된 비디오동영상과 GPS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비디오영상을 수치지도와 연계시키고, 동영상에 나타나는 시설물에 대한 객체추적 및 속성자료 연결을 통해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시스템을 프로토 타입으로 개발하였다. 제시된 시스템의 기능을 통하여 동영상자료를 이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의 구축 가능성과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 PDF

Quality Control Probes for Spot-Uniformit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Oligonucleotide Array

  • Jang, Hyun-Jung;Cho, Mong;Kim, Hyung-Hoi;Kim, Cheol-Min;Park, Hee-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7호
    • /
    • pp.658-665
    • /
    • 2009
  • Quality control QC for spot-uniformity is a critical point in fabricating an oligonucleotide array, and quantification of targets is very important in array analysis. We developed two new types of QC probes as a means of confirming the quality of the uniformity of attached probes and the quantification of targets. We compared the signal intensities and fluorescent images of the QC and target-specific probes of arrays containing only target-specific probes and those containing both QC and target-specific probes. In a comparison of quality control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arrays containing QC probes could check spot-uniformity or spot defects during all processes of array fabrication, including after spotting, after washing, and after hybridization. In a comparison of quantification results, the array fabricated by the method using QC probes showed linear and regular results because it was possible to normalize variations in spot size and morphology and amount of attached probe. This method could avoid errors originating in probe concentration and spot morphology because it could be normalized by QC prob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gnal intensities of all mixtures (P<0.05).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ethod using QC probes is more useful than the ordinary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mixed target. In the quantification of mixed targets, this method could determine a range for mixed targets of various amounts. Our results suggest that methods using QC probes for array fabrication are very useful to the quality control of spots in the fabrication processes of quantitative oligonucleotide arrays.

Sb 계면활성제에 의한 p-GaN 박막의 홀농도 향상 (Enhanced Hole Concentration of p-GaN by Sb Surfactant)

  • 김자연;박성주;문영부;권민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1-275
    • /
    • 2011
  • 본 논문은 고휘도 발광소자의 특성을 높이기 위한 p-GaN 박의 홀농도 향상을 연구하였다. 우리는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을 이용하여 Antimony (Sb)가 p-GaN의 홀농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Atomic force microscope 측정을 통해 Sb가 계면활성제처럼 역할을 함으로써 p-GaN의 2차원 성장이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X-ray diffraction 결과 [002] 면과 [102] 면의 반폭치가 Sb 도핑과 함께 줄어드는 것을 통해 Edge과 Screw 전위의 감소와 photoluminescence 결과에서 450~500 nm 청색 파장 영역에서 발광의 세기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질소 공극이 감소되는 것이 홀농도 향상의 주된 원임임을 알 수 있었다. Trimethylantimony가 10 ${\mu}mol/min$일 때 홀농도는 최대가 되었고 그때 홀농도는 $5.4{\times}10^{17}cm^{-3}$이었다.

한 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최소오차 레이저 빔 포인터 위치 검출 (Error Minimized Laser Beam Point Detection Using Mono-Camera)

  • 이왕헌;이현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9-76
    • /
    • 2007
  • 강의 및 회의에서 발표자가 파일을 열거나 PC상의 모니터를 직접 조작하기 위하여 진행중인 발표를 멈추고 PC에 다가가 필요한 조작을 하게 되면 발표의 흐름이 끊기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주로 레이저 빔 포인터[LBP]에 마우스 기능을 부착하여 처리하려는 시도들이 대부분이고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 개의 카메라와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저 가격으로도 실현이 가능하면서도 빔의 검지 위치 정도를 높인 마우스 기능이 부착된 LBP를 제안하고 구현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마우스의 위치 인식 오차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제안된 LBP가 카메라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명의 변화나 시야각의 변화에 대해서도 검지된 빔의 위치인식의 반복성과 마우스의 커서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고정도의 위치 인식 오차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산화망간이 첨가된 혼합 연마제 실리카 슬러리의 산화막 CMP 특성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haracteristics of Mixed Abrasive Silica Slurry (MAS) by adding of Manganese oxide (MnO2) Abrasive)

  • 서용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75-1181
    • /
    • 2019
  • 논문에서는 1:10으로 희석된 실리카 슬러리에 산화망간(MnO2) 연마제를 첨가하여 재처리된 혼합연마제 슬러리(Mixed Abrasive Slurry; MAS)의 화학기계적연마(CMP)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적의 연마 성능을 갖는 슬러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높은 연마율, 하부층에 대한 적절한 연마선택비, 연마 후의 낮은 표면결함, 슬러리의 안정성 등을 얻어야 한다. 산화망간이 첨가된 MAS의 연마 성능은 연마율 및 비균일도와 같은 CMP 성능, 입도 분석, 표면 형상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높은 연마율과 낮은 비균일도 측면에서 볼 때 원액 실리카 슬러리와 대등한 슬러리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MnO2-MAS를 사용하면 고가의 소모재인 슬러리를 절약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내시경과 선택적 도뇨관 풍선을 이용한 안와하벽복원술 (Orbital Floor Reconstruction Using Endoscope and Selected Urethral Balloon Catheter)

  • 최환준;이주철;이형교;김준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35-42
    • /
    • 2011
  • Purpose: Blow-out fractures can be reduced using various methods. The orbital reconstruction technique using a balloon under endoscopic control has advantages over other methods. However, this method has some problems too, such as postoperative follow-up, management of the balloon catheter, and reduction of the posterior orbital floor. Thus, we developed a simple, effective method for orbital floor reduction that involves molding and shaping the antral balloon catheter. Methods: A 0, 30, or $70^{\circ}$, 4-mm endoscope was placed though a two-point, 5-mm maxillary antrostomy. The balloon catheter is placed directly at the orbital apex to reconstruct the anterior shelf (spherical shape), while it is turned in a U-shape towards the anterior maxilla for the posterior shelf (elliptical shape). Orbital floor defects, compound or comminuted fractures are reconstructed with alloplastic materials through an open lid incision under the endoscopic control. Results: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ten patients with orbital floor fractures: five anterior shelf and five posterior shelf fracture, respectively. Four of the patients had zygomatico-orbital fractures, while the rest had isolated orbital floor fractures. Two patients were given porous polyethylene implants Synpor$^{(R)}$) and three underwent reconstruction with a resorbable mesh plate. No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this technique was identified. Conclusion: The freestyle placement and selection of a urinary balloon catheter under endoscopic control and the preoperative estimation of the volume enhanced the stabilization of the orbital contour. This method improves the adaptation of the orbital floor without the risk of injuring the surrounding orbital contents, dissecting blindly, or using sharp traction. One drawback of this method is the patient's discomfort from the catheter during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