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nt cloud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2초

원격 작업을 위한 3 차원 점군 데이터기반의 실시간 폴리곤 생성 및 텍스처 맵핑 기법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nd Texture Mapping for Tele-operation using 3D Point Cloud Data)

  • 장가람;신용득;윤재식;박재한;배지훈;이영수;백문홍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928-935
    • /
    • 2013
  • In this paper,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lgorithm of 3D point cloud data and texture mapping for tele-operation is proposed. In a tele-operat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more highly realistic visual information to a tele-operator. By using 3D point cloud data, the tele-operator can observe the working environment from various view point with a reconstructed 3D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huge empty space in 3D point cloud data, since there is no environmental information among the points. This empty space is not suitable for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refore,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lgorithm of 3D point cloud data and texture mapping is presented to provide more highly realistic visual information to the tele-operator. The 3D environment reconstructed from the 3D point cloud data with texture mapped polygons is the crucial part of the tele-operation.

점군데이터 정합 방법에 따른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by Point Cloud Data Registration Method)

  • 박준규;엄대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5-41
    • /
    • 2020
  • 3D 레이저 스캐너는 대상물에 대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취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최근 측량, 변위측정, 대상물의 3차원 데이터 생성, 실내공간정보 구축,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3D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취득되는 점군데이터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합과정을 거쳐 많은 측점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통일된 좌표체계를 가진 하나의 데이터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합 방법에 따른 점군데이터의 정확도에 대한 분석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취득되는 점군데이터의 정합방법에 따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3D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연구대상지의 점군데이터를 취득하고, 자료처리를 통해 ICP (Iterative Closest Point) 와 형상정합 방법에 의해 점군데이터를 정합하였으며, 토털스테이션 측량성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ICP와 형상정합 방법은 각각 토털스테이션 성과와 0.002~0.005m, 0.002~0.009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각의 정합 방법은 실험결과 모두 0.01m 미만의 편차를 나타내어 1:1,000 수치지형도의 허용정확도를 만족하였으며, ICP 및 형상정합을 이용한 점군데이터의 정합이 공간정보 구축에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형상정합 방법에 의한 점군데이터의 정합은 3D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한 공간정보 구축 과정에서 타겟의 설치를 줄임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최단거리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측정점군으로부터의 곡면 자동탐색 (Surface Type Det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Point Cloud by Using Orthogonal Distance Fitting)

  • 안성준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0-17
    • /
    • 2009
  • Surface det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point cloud is a relevant subject in CAD/CAM, reverse engineering, computer vision, coordinate metrology and digital factory. In this paper we present a software for a fully automatic surface det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unordered, incomplete and error-contaminated point cloud with a large number of data points. The software consists of three algorithmic modules each for object identification, point segmentation, and model fitting, which work interactively. Our newly developed algorithms for orthogonal distance fitting(ODF) play a fundamental role in each of the three modules. The ODF algorithms estimate the model parameters by minimizing the square sum of the shortest distances between the model feature and the measurement points. We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software on a variety of point clouds generated by laser radar, computer tomography, and stripe-projection method.

MultiView-Based Hand Postur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Point Cloud

  • Xu, Wenkai;Lee, Ick-Soo;Lee, Suk-Kwan;Lu, Bo;Lee, Eung-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7호
    • /
    • pp.2585-2598
    • /
    • 2015
  • Hand posture recognition ha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and Computer Vision (CV) for many years. The challenge arises mainly due to self-occlusions caused by the limited view of the camera. In this paper, a robust hand posture recognition approach based on 3D point cloud from two RGB-D sensors (Kinect) is proposed to make maximum use of 3D information from depth map. Through noise reduction and registering two point sets obtained satisfactory from two views as we designed, a multi-viewed hand posture point cloud with most 3D information can be acquired. Moreover, we utilize the accurate reconstruction and classify each point cloud by directly matching the normalized point set with the templates of different classes from dataset, which can reduce the training time and calculation.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posture dataset captured by Kinect sensors (from digit 1 to 10)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가상공간 생성을 위한 라이다와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방안 (Point Cloud Generation Method Based on Lidar and Stereo Camera for Creating Virtual Space)

  • 임요한;정인혁;이산성;황성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18-1525
    • /
    • 2021
  • Due to the growth of VR industry and rise of digital twin industry,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3D data same as real space is increasing. However, the fact that it requires expertise personnel and huge amount of time is a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generates point cloud data with same shape and color as a real space, just by scanning the space. The proposed system integrates 3D geometric information from lidar and color information from stereo camera into one point cloud. Since the number of 3D points generated by lidar is not enough to express a real space with good quality, some of the pixels of 2D image generated by camera are mapped to the correct 3D coordinate to increase the number of points. Additionally, to minimize the capacity, overlapping points are filtered out so that only one point exists in the same 3D coordinates. Finally, 6DoF pose information generated from lidar point cloud is replaced with the one generated from camera image to position the points to a more accurate pla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easily and quickly generates point clouds very similar to the scanned space.

가상화 기술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against Attack using Virtualization Weakness)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7-64
    • /
    • 2012
  • Comput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development of internet and IT technology is changing to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addition, cloud computing is revitalized more because of propagation of LTE and suggestion of N-screen Service. Virtualization is the point technology for suggest IT resource to service form to users in this cloud computing. This technology combines other system physically or divides one system logically and uses resource efficiently. Many users can be provided application and hardware as needed using this. But, lately various attack using weak point of virtualization technology are increasing rapidly. In this study, we analyze type and weak point of virtualization technology, the point of cloud computing. And we study about function and the position which intrusion detection system has to prepare in order to detect and block attack using this.

Query with SUM Aggregate Function on Encrypted Floating-Point Numbers in Cloud

  • Zhu, Taipeng;Zou, Xianxia;Pan, Jiuhu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573-589
    • /
    • 2017
  • Cloud computing is an attractive solution that can provide low cost storage and powerful processing capabilities for government agencies or enterprises of small and medium size. Yet the confidentiality of in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any organization migrating to cloud, which makes the research on relational database system based on encryption schemes to preserve the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of data in cloud be an interesting subject. So far there have been various solutions for realizing SQL queries on encrypted data in cloud without decryption in advance, where generally homomorphic encryption algorithm is applied to support queries with aggregate functions or numerical computation. But the existing homomorphic encryption algorithms cannot encrypt floating-point numbers. So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chanism to enable the trusted party to encrypt the floating-points by homomorphic encryption algorithm and partial trusty server to perform summation on their ciphertexts without revealing the data itself. In the first step, we encode floating-point numbers to hide the decimal points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signs. Then, the codes of floating-point numbers are encrypted by homomorphic encryption algorithm and stored as sequences in cloud. Finally, we use the data structure of DoubleListTree to implement the aggregate function of SUM and later do some extra processes to accomplish the summation.

무인항공기 영상을 위한 영상 매칭 기반 생성 포인트 클라우드의 후처리 방안 연구 (Post-processing Method of Point Cloud Extracted Based on Image Matching for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 이수암;김한결;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025-103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홀 영역의 보간을 통한 후처리 방안을 제안한다. 스테레오 영상 데이터에서 영상 매칭을 수행할 경우 차폐 및 건물 벽면 등의 영향으로 홀이 발생한다. 이런 영역은 추후 포인트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 산출물의 생성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먼저 영상 매칭을 적용하여 생성된 시차맵을 기반으로 초기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한다. 포인트 클라우드를 격자화 시키면 차폐영역 및 건물 벽면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홀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홀 영역에 삼각망을 생성하고 삼각망 내부 값을 영역의 최소값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건물 주변의 지표면과 건물 간에 어색함 없는 보간의 수행이 가능하다. 격자화 된 데이터에서 보간 된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포인트로 추가하여 새로운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한다. 보간과정 중 불필요한 점의 추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기 포인트 클라우드 영역에서 벗어나는 영역으로 보간 된 데이터는 처리하지 않았으며, 보간 된 포인트 클라우드에 적용되는 RGB 밝기값은 매칭에 사용된 스테레오 영상 중 촬영중심과 해당 픽셀이 가장 근접한 영상으로 설정하여 처리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을 통해 대상영역의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후 발생하는 음영 영역이 효과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테레오 영상 간 관측 벡터에 기반한 다중 포인트 클라우드 통합 (Multi Point Cloud Integration based on Observation Vectors between Stereo Images)

  • 윤완상;김한결;이수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1호
    • /
    • pp.727-7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장의 무인항공기 영상을 사용하여 대상지역에 대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고, 데이터 세트 간 발생하는 이격과 중복점을 제거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진 측량 기반의 IBA(Incremental Bundle Adjustment)기법을 적용하여 무인기의 위치/자세를 보정하고 스테레오 페어를 구성했다. 각각의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고 MDR(Multi-Dimensional Relaxation)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스테레오 영상 간 관측 벡터에 기반한 포인트 클라우드 등록을 통해 서로 다른 스테레오 페어로부터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간 이격을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점유격자(Occupancy grid) 기반 통합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복점이 제거된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실험은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연직 촬영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서로 다른 스테레오 페어로부터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간 이격 및 중복점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