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ywood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2초

목타르 혼합 페놀수지접착제의 접착성능 (Adhesive Properties of Phenol Resin Adhesive Mixed with Wood Tar)

  • 박상범;김수원;박병대;한태형;강은창;박종영;문성필
    • 임산에너지
    • /
    • 제24권1호
    • /
    • pp.28-32
    • /
    • 2005
  • 목탄의 제조 과정 중 얻어지는 목타르의 활용방안을 모색코자 페놀수지에 목타르를 혼합하여 합판을 제조하여, 물리적, 기계적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성능을 조사하였다. 목타르를 혼합하여 제조된 합판의 경우, 목타르를 혼합하지 않은 합판에 비해 물리적, 기계적인 면에서 별다른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장전단 접착력은 비내수, 내수 모두 목타르의 혼합으로 인하여 오히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서도 목타르의 첨가는 방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he Moment Resistance Joint Strength of Larch Glulam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 Song, Yo-Jin;Jung, Hong-Ju;Park, Hyun-Ho;Lee, Hak-Young;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71-578
    • /
    • 2014
  • As a way of developing wooden joint development,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was manufactured to replace a steel plate. Also, the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Through application to a cantilever-type specimen made of a column and a beam, the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the fracture toughness specimen of the wood plate, 12 types wer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combination of a main member (veneer and plywood) and reinforcement (glass fiber sheet and glass fiber cloth). The results of the fracture toughness test indicated that the 5% yield load of the specimen using plywood was 18% higher than that of the specimen using veneer, and that the specimen reinforced by inserting glass fiber sheets between testing materials (Type-3-PS) had the highest average 5% yield load 4841 N. Thus, a moment resistance strength test was performed by applying Type-3-PS to a column-beam joint. The results of the test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specimen using a steel plate and a drift pin (Type-A), the maximum moment ratio of the specimen using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Type-3-PS) and a drift pin (Type-B) was 0.79; and that a rupture occurred in the wood plate due to high stiffness of the drift pin. The maximum moment ratio of the specimen using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Type-3-PS) and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en laminated pin (Type-C) was 0.67, which showed low performance. However, unlike Type-A, a ductile fracture occurred on Type-C, and the load gradually decreased even after the maximum moment.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가 콘크리트 표면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e Coating Material for Aluminum Form on Surface Quality of the Concrete)

  • 한천구;박재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7-64
    • /
    • 2010
  • 본 연구는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가 콘크리트 표면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콘크리트 표면형상에 미치는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 변화의 영향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의 육안관찰시 전반적으로 전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품질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장합판(Plywood이하: PW)이 우수한 표면품질을 나타내었다. 에폭시(Epoxy :이하 EP) 수지의 경우는 박리제를 도포하였을 시 표면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리제 도포여부 및 전용횟수에 따른 콘크리트의 표면조도는 전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높은 표면조도 값을 나타내어 평활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EP와 PW의 표면조도 값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EP의 경우는 박리제를 도포할 경우 표면조도 값이 낮게 나타났다. 박리제 도포여부 및 전용횟수에 따른 콘크리트의 공극갯수는 전반적으로 박리제를 도포할시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인산(第二燐酸) 암모늄에 의(依)한 합판(合板)의 내화처리(耐火處理)(II) -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처리합판(處理合板)의 곡강도(曲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Fire Retardant Treatment to the Plywood with Di-ammonium Phosphate [(NH4)2HPO4] (II) - Effect of Platen Temperature on Bending Strength of Treated Plywoods -)

  • 정우양;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9
    • /
    • 198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acticality of DAP[$(NH_4)_2HPO_4$] as fire retardant for plywood by static bending test the redried plywoods which had been soaked in 20% $(NH_4)_2HPO_4$ solution. Being hot/cold soaked in the solution for 3/3, 6/3, 9/3 and 12/3 hours and redried by cyclic press-drying method at the platen temp. of 130, 145, 100 and $175^{\circ}C$, the treated plywoods were tested to offer the mechanical data, that is, $S_{pl}$(stress at proportional limit), MOE(modulus of elasticity), MOR(modulus of rupture) and $W_{pl}$(work per unit volume to proportional limit ) in flex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_{pl}$ of fire retardant treated plywoods ("FRP" would be used hereinafter) decreased as the platen temperature increased, but it was superior to that of non-treated plywoods(Control) at $160^{\circ}C$ or higher. 2. MOE of FRP decreased roughly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hut this tendency was not constant. And the value of FR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even at $175^{\circ}C$. 3. MOR of FRP showed same temperature-dependent tendency as MOE, but it was influenced more sensitively at the higher temperature. 4. $W_{pl}$ of FRP also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e of platen temperature and the value in DAP 9/3 treatment was Jess than 70% of control plywoods. 5. In view of redrying time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most reasonable platen temperature for DAP treated FRP was $160^{\circ}C$ in this study.

  • PDF

목제(木製) 프러쉬 문의 함수율 변동에 따른 틀어짐과 좌굴 예측모델 (II) : 치수변동과 탄성계수의 간이측정법과 불량율 예측 Monte Carlo 시뮬레이션 (Warpinging and Budding Prediction Model of Wooden Hollow Core Flush Door due to Moisture Content Change (II) : Simple Method of LMC and MOE, and Monte Carlo Simulation for Calculating Reject)

  • 강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8-27
    • /
    • 2000
  • 목재와 목질재료는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에 큰 변이를 지니므로 표러쉬 문의 표면재을 동일한 재료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틀어짐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치수변동계수(LMC)와 탄성계수 등은 ASTM 규정대신에 전건법과 동적 탄성계수로 추정할 수 있었다. 틀어짐과 LMC간 관계는 곡선적이지만, 틀어짐과 탄성계수간에는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경질섬유판과 합판과 같은 표면재의 재료성질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변이는 경질섬유판보다 합판이 훨씬 더 컸다. 확율분포 모수와 틀어짐의 관계를 이용해 몬테카롤로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틀어짐의 발생 크기에 따른 프러쉬 문의 불량율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요소·멜라민 수지 접착제의 겔화성 및 접착특성에 미치는 수지조성과 첨가물의 영향 (Effects of Resin Compositions and Additives on Gelation Properties and Bonding Characteristics of Urea-Melamine-Formaldehyde resin adhesives)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72-78
    • /
    • 1999
  • 요소 멜라민수지의 조성에 의한 속경화의 가능성, 경화촉진제의 첨가에 의한 경화촉진 효과 및 접착성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지조성과 동시반응에 의해 제조한 UMF 수지의 겔화성과의 관계는 요소(멜라민/요소 몰비=0.2)에 대한 포롬알데히드의 몰비가 증가할수록 겔화시간이 빨라졌다. 그러나, 요소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2.5이상에서는 수지중의 유리포름알데히드량이 KS기준에 합격하지 못하므로 속경화를 위해 수지 합성시 포름알데히드의 첨가량을 높이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요소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몰비를 3.4로 고정한 UMF수지에 있어서 요소에 대한 멜라민의 몰비가 0.3에서 0.6으로 증가할 수록 수지의 겔화시간은 다소 단축되었으나, 0.6이상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다. UMF수지의 겔화성과 접착강도는 경화제로서 염화암모늄과 p-툴루맨설폰산, 증량제로서 소액분과 콘글루텐의 병용에 의해 크게 향상되었다.

  • PDF

목질제품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 박현주;손윤석;임보아;김조천;박상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16-623
    • /
    • 2010
  • Recently, interests in indoor air quality (IAQ) have been increased; however,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mainly focused on anthrop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AVOC)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refore, the properties of natural VOC (NVOC) and anthropogenic VOC (AVOC)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was investigated in this work. VOCs emitted from these panels were sampled through Tenax TA/Cabotrap and analyzed by GC-MS and GC-FID. Comparisons were made concerning TVOC, NVOC, and composition ratios of NVOC. It was revealed that TVOC emission rates of midium density fiber (MDF) were the highest. Besides, it was found that emissions of NVOC from wood-based pan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nthropogenic AVOC except for plywood of Oceania timber.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NVOC emitted from plywood of Pinus radiata was the highest as 65% of TVOC. Major NVOC components were monoterpene compounds such as $\alpha$-pinene, $\beta$-pinene, d-limonene, camphene and $\alpha$-terpinene.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position rates of VOC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were clear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실험적 열적 물성치를 반영한 CCS 방열박스의 열전달 해석 (Thermal analysis of two main CCS(cargo containment system) insultaion box by using experimental thermal properties)

  • 최성웅;노정우;김무선;이우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29-43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embrane형 LNG선의 구성 요소를 대상으로 단열창의 열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극저온 상태에서부터 온도 별로 각 소재의 열적 물성치인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를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극저온 상태인 $-163^{\circ}C$의 온도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LNG선 화물탱크는 단열재료로 하여금 열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하는데 특히 여러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단열 화물창(CCS: Cargo containment system)은 열적 물성치가 온도에 따라 각각 어떠한 값을 가지는 것이 주요 관심대상이고, 이를 통해 전체 LNG 단열 화물창이 어떤 열적 분포를 가지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험을 통해 얻은 물성치를 가지고 전체 화물창의 온도분포를 정적 열해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LNG가 누수되었을때 2차 방벽 특히 hull 부분에서는 누수량에 대해서 어떠한 온도분포와 열적 안전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열저항 효과를 고려한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의 누설 안전성에 관한 연구 (On the Leakage Safety Analysis of Membrane LNG Storage Tank With Thermal Resistance Effects)

  • 김청균;조승현;서흥석;홍성호;이승림;김영규;권부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의 누설 안전성을 목재와 PUF로 구성된 단열재 및 예응력 콘크리트(PC) 재질이 균일하다는 가정하에 열저항 평형온도 효과를 고려하여 유한요소법(FEM)으로 해석하였다. FEM 계산결과에 따르면, 목재와 PUF로 구성된 단열재 구조물은 누설 LNG에 의해 구조물 자체가 먼저 파손되므로 누설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나, 내부탱크와 단열재가 동시에 파손되어도 외부탱크 PC 구조물은 강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누설 LNG를 최소 10일 정도는 안전하게 지연시킬 수 있어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 시스템의 누설 안전성은 확보될 수 있다.

  • PDF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중공슬래브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Work Panel)

  • 허무원;채경훈;박태원;강현욱;박현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85-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실물 스케일의 중공슬래브 Mock-up을 제작하여 즉시 처짐 및 장기 처짐에 대한 플랫 플레이트 중공 슬래브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공재가 적용된 Mock-up 실험체의 중공률은 24%로 설계하였다. 콘크리트 블록 하중 재하 시 슬래브의 가장 중앙부의 처짐인 No2의 경우 재하 시 처짐이 8.88mm 발생하였으며 이는 즉시 처짐에 대한 기준 값(ln/240=17.93mm)에 비하여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3개월간 처짐 량 계측 결과, 중앙부 처짐 량은 초기 처짐에서 6.792mm 더 추가되어 처짐이 발생하였지만, 이는 국내 구조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하중에 의한 기준 값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