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ground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초

사용자 만족도 분석에 근거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계획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based on User's Needs)

  • 송은정;최재영;정지석;최무혁
    • 교육시설
    • /
    • 제11권5호
    • /
    • pp.35-4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architectural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19 Kindergartens in Taegu city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the sample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dependent-type' can be general application of the kindergarten's layout type. And it must be considered about connection with some public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2)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for each rooms can be suggest as follow. Classrooms and the Playroom should be existed independently and be located about suitable area. The Location of the Playground should be considered about kindergartener's approach, distance from elementary school and noise. And the Playground needs washstands and shade resting places. In the Classrooms and the Playroom, the designer should consider about suitable area and storage. 3) The flexible space-program is necessary for each management type.

어린이 놀이시설의 소재에 따른 만족도 및 친환경성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ly-friendliness on the Playing Facilities by the Materials)

  • 안근영;정민영;주신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different responses on the playground and facilities by the materials. For the study, the overall satisfaction on the playgrounds, the visiting frequency, the staying time, and olfactory and tactile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materials. The materials for the playing facilities were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groups ; steel, regular form wood and natural wood. The each group was also estima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D (sematic differential) scale which consisted of landscape adjectives. According the results, children liked and most highly scored the playground and playing facilities with natural wood in every items; overall satisfaction, visiting frequency, the staying time, and olfactory and tactile. On the other hand, the steel facilities were most negatively assessed in almost every items. Especially children felt the steel facilities we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very boring, comparing to the others. However, only 6 cas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ecause there were few playgrounds with natural wood facilities, so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more cases to generalize these results.

공동주택 거주자의 공유공간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 Recognition of Common Space in Apartment)

  • 한민승;황희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45-52
    • /
    • 2019
  • The most ordinary form of residential type in Korea is a plate-type apartment, and the common space in these apartment is attr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social exchanges among neighbors and forming commun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provides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by enabling natur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It is desirable to plan the flow of space in such a way that private, semi-private,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are linked. Semi-private and semi-public spaces can be defined as common spaces. Semi-private spaces are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unit household entrance, main entrance, elevator, corridor, staircase, playground, bench, trail, walkway and parking lot, exercise space, main/back gate,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ownership consciousness formation, defensive function. Semi-public space is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playground, bench, exercise space, trail, main entrance, walkway and parking lot, unit household entrance, main/back gate, corridor, staircase, elevator,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 of social contact, Secondary activity space func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to gratify in the common space diff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among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differs according to corridor type, parking lot type and main entrance type. Therefore, differentiated planning of common space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in the design of common space in future.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 분석 (Analyses on Comparison of UTCI, PMV, WBGT between Playground and Green Space in School)

  • 윤용한;박승환;김원태;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0-89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 및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열적 쾌적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학교시설(3개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7 ~ 8월까지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의 경우 UTCI, PMV, WBGT를, 녹지구조는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측정하였다.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4.71m^3/m^2$) > B학교($3.34m^3/m^2$) > C학교($0.38m^3/m^2$)의 순이었으며 학교별 열적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면, UTCI는 녹지공간 $32.30{\sim}35.68^{\circ}C$, 운동장 $40.66{\sim}2.94^{\circ}C$, PMV수치는 녹지공간 1.76~2.66이었으며 운동장은 모두 3으로 나타났다. WBGT는 녹지공간 $26.15{\sim}31.38^{\circ}C$, 운동장 $31.67{\sim}34.53^{\circ}C$이었다. 3개 지표 모두 녹지공간 대비 운동장에서 매우 불쾌적한 수준이었다. 열적 쾌적성 및 녹지와의 상관분석결과, 열적 쾌적성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놀이터 바닥재로부터 용출되는 중금속 노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s exposure from playground flooring)

  • 조윤아;김우일;신선경;강영렬;김민선;정성경;연진모;김나;이지영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16-420
    • /
    • 2012
  • 재활용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제품 중 재활용 고무분말을 이용한 놀이터용 바닥재와 해당 고무분말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의 물질이 경피로 전이되는 양을 확인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중금속 노출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연의 경우 함량이 높은데 반해 전이량이 0.1 $mg/cm^2$으로 매우 낮았는데 이는 아연은 표면 접촉으로는 잘 묻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철과 알루미늄의 경우, 함량이 바닥재에서 12 배 높게 나타났고, 전이량이 아연보다 약 5 배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철과 알루미늄이 바닥재에 사용된 안료에서 기인했다는 것을 말한다. 놀이터 6 개소를 대상으로 피부 흡수에 의한 중금속 노출량을 산정한 결과, Ba의 경우 타 중금속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산정되었다. Zn의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Ba의 노출량이 더 높은 것은 Ba의 피부흡수율이 Zn에 비해 약 5 배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PXRF를 이용한 어린이 놀이시설의 페인트 표면 납 농도 평가 (Evaluation of lead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of children's playing equipments using a field portable x-ray fluorescence (FPXRF))

  • 김남수;최승현;조광성;김진호;함정오;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3-140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le environmental lead hazard in children's playground and to test the practicability of field portable x-ray fluorescence(FPXRF) for environmental lead measurement, authors investigated lead concentration of lead-based paint on the surface of children's playing equipments in the playground of 13 apartments using FPXRF at the site in city A, Choongnam province. 93 spots were determined surface lead concentrations 3 times each using a FPXRF. Out of 93 spots, 83 spots (92%) were revealed to have lead in paint and mean concentration was $1.12{\pm}1.76mg/cm^2$. The mean concentration of lead on the surface of playing equipments at the apartments near the main street was $1.20mg/cm^2$ and higher than those at the apartments far away from the main street($0.81mg/cm^2$)(p<0.05). The mean concentration of lead on the surface of playing equipments painted with yellow color was $3.23mg/cm^2$ and the highest among all colors, whereas equipment painted white color was non-detectable. PVC and etc materials for construction of playing equipment showed higher surface lead concentration than other materials.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be taken caution of the lead exposure in the playground of apartment and it should be taken any kind of confirmative action to prevent unwanted lead exposure from surface lead source of playing equipment. Authors found that FPXRF was very reliable and useful for field measurement to detect lead on the painted surface.

폐폴리올레핀 폼과 탄성 포장재로 구성된 어린이 놀이터 바닥의 안전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Safety of Playground Flooring Made of Polyolefin Foam Waste and Rubber Paving)

  • 최수경;전명훈;이도헌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246-2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올레핀 폼을 완충재로 이용한 어린이 놀이터 바닥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계하강높이, 보행적합성 및 장기피로예측, 미끄럼저항성에 대하여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시험체는 두께 30mm, 50mm, 70mm의 폐폴리올레핀 폼에 각각 탄성 포장재를 12mm, 15mm 두께로 포설한 6종류로 하였다. 한계하강높이 시험은 KS G 5758:2009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보행적합성 및 장기피로예측 시험에는 바닥 경도 시험장치(O-Y HMA)를 이용하였으며, 미끄럼저항성 시험에는 휴대형 미끄럼 시험기(ONO PPSM)을 이용하였다. 시험결과, 폐폴리올레핀 폼과 탄성 포장재로 구성된 바닥은 충격저감성 관점에서 상당히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의 경도는 남성에게는 보행감이나 피로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여성에게는 구두(미들 힐)를 신고 보행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오래 사용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끄럼저항성은 표면에 물기 등의 이물질이 있더라도 일상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 관찰에 의한 대형정치망내 어군행동의 연구 ( V ) - 방어어군의 망내행동과 등망의 어획기능 - (Studies on the Behaviour of Fish Schools in the Main-net of a Large Scale Set-net using Scanning Sonar-V - The Behaviour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School Entrapped in a Large Set-net and the Catching Function of the Funnel-net -)

  • 김문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1998
  • 대형정치망에 있어서 등망을 중심으로하여 헛통으로부터 제1원통에 이르는 방어어군의 이동행동은 19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에 있는 안단 정치망어장 3호망에서 스케닝 소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등망의 어획기능에 관해서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어어군의 출현은 헛통에서는 오전중, 제1원통에서는 오후에 가장 많이 볼 수 있었고, 망내에서의 체류시간은 길었다. 2. 등망을 통과하고 있는 어군의 규모는 헛통 및 제 1원통에 체류하는 어군보다 작았고, 이는 어군의 형상이 변하면서 등망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3. 등망으로 향한 어군중에서 제 1원통에 입망하는 어군의 비율은 24%이고, 제 1원통에 내등망으로 향한 어군중 헛통으로 도피하는 어군의 비율은 27%였다. 이는 외등망의 구조가 원통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내등망의 구조는 출망을 저지하는 효과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정치망의 어획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군의 입출망시각에 맞춘 양망작업이 필요하다. 조사기간중의 원통에 축적된 어군수로부터 그 다음날 아침의 양망은 시장유통과 노동력부족의 문제를 고려하여 적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 PDF

서울시 어린이놀이터 토양의 중금속 오염 평가 (Assessment of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Children's Playground Soil in Seoul)

  • 박소영;지원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269-278
    • /
    • 2023
  • 서울 도심에 있는 어린이 모래 놀이터의 안전한 사용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 중금속(Cd, Cu, As, Pb, Zn, Ni, Hg, Cr6+)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시료 채취 장소는 서울시 7개 자치구에서 281개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금속의 전체 평균 농도는 Cd 0.21 mg/kg, Cu 5.97 mg/kg, As 2.40 mg/kg, Pb 7.55 mg/kg, Zn 34.08 mg/kg, Ni 4.22 mg/kg, Hg 0.02 mg/kg였다. Cr6+은 불검출되어, 이를 포함하는 중금속 7종 모두 토양오염우려기준 1 지역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토양오염등급(SPC)을 평균값으로 평가했을 경우에 7개 자치구 모든 지점에서 1등급인 10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 건전한 토양 상태임을 보였다. 하지만 최대값으로 평가했을 경우 5개 자치구에서 일부 10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안전한 토양환경을 위하여 어린이 놀이터의 관리주체인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