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board drain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수평배수재를 이용한 압밀개량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onsolidation Improvement Using Horizontal Drains)

  • 김지용;김정기;장연수;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40
    • /
    • 2000
  • The horizontal drain method is one of the soil improvement methods in reclamation works using dredged soils. In this method, plastic drain boards ar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ground, and a seepage pressure or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one end of these drains. In this study, a basic consolidation test using horizontal drain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The configuration of soil box which was used in this test is 100cm(B)${\times}$100cm(L)${\times}$85cm(H). The drain board was reduced to 25mm${\times}$5mm. The variations in settlement and volume of drain water during the consolidation process were measured,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and the transpormation of horizontal drain were investigated.

  • PDF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신배수재의 적용성에 관한 비교 실험 (The Application to the New Drain Materials for Soft Ground Improvement)

  • 김병일;이동현;양상호;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61-766
    • /
    • 2003
  • In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views Plastic Board Drain(PBD) has many problems which is generally used in improving soft grounds. In order to improve these, Rags drain and Sponge drain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application to drains is presented though comparing with PDB and Sand drain In consolidation effects. Test results show that the consolidation effects, including consolidation rate and stregth, increase in order of Sand and Rags, PDB and Sponge drain.

  • PDF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PBD공법이 적용된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ft Ground Improvement in Deep Depth by Application of PBD Method Using Model Test)

  • 변요셉;안병제;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9-77
    • /
    • 2009
  • 연약지반은 해성점토, 실트질, 사질토 등과 같은 지반으로 항만, 공항,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지지력 부족 및 침하, 전단변형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약지반의 조기 침하 및 강도증진을 위해 다양한 지반개량공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연약지반의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연직배수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직배수공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수재는 PBD(Plastic Board Drain)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연약지반에 적용될 PBD공법에 대해 복합통수능실험을 실시하여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재압력의 증가에 따라 침하는 점진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상재압력 $500kN/m^2$ 이후에는 간극수압의 소산에 따라 압밀침하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재하단계별 침하량의 변화는 간극수압의 소산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직 배수재의 통수능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PBD 시공품질 자동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PBD Construction Quality Measurement System for Soft Ground Improvement)

  • 김민호;문상돈;김항영;김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05-610
    • /
    • 2011
  • 간척지나 해안지역과 같은 연약지반에 건축 및 토목공사를 위해서는 지반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연약지반개량공사가 필수적이다. 연약지반 개량 공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연직배수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연직배수공법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 내에 인공적으로 연직 배수재를 다수 설치하여 배수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압밀을 촉진시키고, 그에 따른 강도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법이다. 연직배수재로는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PB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PBD 시공품질은 시공 깊이, 압력, 수직도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PBD 시공시 배수재의 시공 심도, 압력, 수직도를 자동측정하여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시공결과를 자동 저장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시공 불량 요인이 발생시 자동 경고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장비의 이상 발생시 자동 제어시스템을 가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수평배수공법에 의해 개량된 준설점토지반의 압밀거동에 관한 연구 (Consolidation Behaviour of Dredged Clay Ground Improved by Horizontal Drain Method)

  • 김형주;원명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1호
    • /
    • pp.137-146
    • /
    • 1997
  • A Study on the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드레인을 이용하여 진공수평배수에 의해 개량된 준설 점토 지반의 압밀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형 압밀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가 포텐결중공원주의 압밀이론을 이용한 수치해석에 의해 비교 검토되었다. 본 연구 실험결과에 의하면 수평배수진공압밀시험은 점토층 내부의 함수비 및 간극수압과 드레인 배수 속도 등이 진공압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되어 압밀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점토층 중공원주의 방사류에 대한 선형포텐샬압밀이론을 이용하여 수치 압밀해석 결과 간극수압은 확산 형태보다 흙의 변형과 투수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있으므로, 지표면 부근에서의 실측 침하량은 압밀응력증가율 a가 -0.5정도에서 수치해석과 일치하며 또한 드레인 설치 부근에서의 점토층 침하량은 Baryon 압밀이론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최종적으로 수평 배수에 대한 적당한 선택과정을 포함한 설계 및 시공관리가 시험결과에 의하여 설명 되었으며 포텐셜압밀이론은 진공배수시 수평드레인에 의한 압밀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 PDF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의 개발과 적용성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Discharge Capacity Testing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 유남재;김동건;박병수;전상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C호
    • /
    • pp.313-3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Plastic Board Drain(PBD)이 타설된 지반의 압밀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배수재 통수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의 타설조건을 실험실에서 모사할 수 있는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험기는 배수재를 타설하고 교란된 시료를 투기하는 기존 방법과 달리, 예비압밀로 시료를 조성한 후 mandrel과 관입장치를 이용하여 PBD를 지반에 타설하도록 고안하였다. 개발된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복합 통수능 시험을 함께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은 시료 전체의 교란에 의해 압밀이 지연되는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불균질성 등에 의해 배수재 변형도 국부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 시험법에 의한 통수능력은 예상치 보다 다소 크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입식 방법에 의해 현장조건과 유사하게 통수능력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BD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원심모형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of Soft Soil Ground Installed with PBD)

  • 정길수;박병수;전상현;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A호
    • /
    • pp.101-108
    • /
    • 2006
  • This study i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he consolidational behavior of multi-layered soft soil ground installed with plastic board drains (PBD). Centrifuge model tests with a marine clay sampled from fiel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solidational behavior of multi-layered ground where a dredged soil was placed on the soft clay ground and PBDs were installed.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umerical analyses, using the 2-D equivalent model previously proposed. From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consolidation settlement occurred in the original ground due to embankment surcharge loads was in the range of 38% of total settlement in the whole ground. From the results of cone penetration tests executed after finishing the centrifuge model tests, the cone resistance was found to increase with depth. The measured water contents inbetween PBDs were in the ranges of 38~50% and their value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PBDs.

  • PDF

Effect of PBD to improve soft marine sedimentary ground

  • Jeong, Jin-Seob;Hwang, Woong-Ki;Jeong, Choong-Gi;Kim, Tae-H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9-125
    • /
    • 2009
  • The effect of plastic board drains (PBDs)on ground improvement was checked out considering three crucial factors: ground settlement,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residual water head. First, the settlement analysis including initial settlement induced by reclamation of sand mat was conducted by back calculation analysis with measured data. Its result showed toot the PBDs used for this site worked well on improving soft ground. Secondly,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investigated by laboratory and in-situ tests including unconsolidated-undrained triaxial compression (UU) tests, unconfined compression tests, in-situ vane tests, and cone penetration tests. From the test results, they showed that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improved ground by PB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well as the strength increasing ratio especially $10{\sim}15m$ below the ground surface on site. Thirdly, the residual water head measurement from the in situ dissipation test was found the same as the static water head, which indicated primary consolidation was completed and the effect of soil improvement with PBDs can be confirmed.

플라스틱 배수재를 이용한 수평배수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rizontal Drainage Method Using Plastic Drain Board)

  • 황정규;김홍택;김석열;강인규;김승욱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93-11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연약한 준설매립점토지반 내부에 플라스틱 배수재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압밀침하의 가속화를 유도하는 수평배수공법의 해석절차 체계화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 및 실험적 접근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변형률 개념을 근거로 한 Gibson등의 1차원 자중압밀이론을 토대로, 자중압밀효과 및 수평배수재 설치에 따른 추가 압밀효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지배방정식을 제시하였으며, 본 지배방정식 및 수평배수재 설치효과를 고려한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 등을 토대로, Dufort-Erankel의 유한차분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간경과에 따른 침하량 및 압밀도 등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해석절차의 적용 타당성 확인을 위해, 안산 시화지구 준설매립점토 및 플라스틱 수평배수재를 이용한 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을 통해, 안산 시화지구 준설매립점토의 간극비-유효응력 관계 및 투수계수-간극비 관계 등을 정량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 하였으며.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깊이별 침하량등을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석절차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분석하였다. 이외에도 플라스틱 배수재 수평배수공법에 관련된 설계변수가 압밀침하등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된 해석절차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한 설계도표의 제시도 이루어 졌다.

  • PDF

교대말뚝기초의 측방유동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for Lateral Soil Movements of Piled Bridge Abutments.)

  • 최동혁;정길수;박병수;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63-71
    • /
    • 2005
  •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investigating lateral soil movements at piled bridge abutments by using the centrifuge model facility. Three different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changing the methods of ground improvement at bridge abutment on the soft clayey soil (no improvement, preconsolidation and plastic board drains (PBD), sand compaction pile (SCP) + PBD), were carried out to figure out which method is the most appropriate for resisting against the lateral soil movements. In the centrifuge modelling, construction process in field was reconstructed as close as possible. Displacements of abutment model, ground movement, vertical earth pressure, cone resistance after soil improvement and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were monitored during and after centrifuge model tests. As 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preconsolidation method with PB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gainst the lateral soil movement by analyzing results about displacements of abutment model, ground movement and cone resistance. Increase of shear strength by preconsolidation method resulted in increasing the resistance against lateral soil movement effectively although SCP could mobilize the resistance against lateral soil movement. It was also found that installment with PBD beneath the backfill of bridge abutment induced effective drainage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during the consolidation by embanking at the back of the abutment and resulted in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of clay soil foundation and eventuall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lateral soil movement against piles of bridge abu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