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s number per hil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9초

논 표면 탈립 벼 종자의 월동중 발아력변화와 월동후 포장 출현 및 생육 (Germinability during Overwintering, Field Emergence, and Growth of Shattered Rice Seeds on Paddy Field)

  • 송영주;권영립;오남기;고복래;황창주;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7-44
    • /
    • 1992
  • 벼 콤바인 수확답에서 탈립된 종자의 월동중 활성검정 및 품종별 탈립량에 따른 이형주 발생정도와 양상을 검토, 벼 종자 순도유지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립종자의 시기별 발아율은 일반형, 통일형 모두 경과시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아세의 경시적 변화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조사시기에 따른 종자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차이에 있어서 팔공벼, 삼강벼 공히 단백질 Band에 농ㆍ담의 차이가 있었다. 3. 생태형별 이형주 발생율은 일반형 품종이 통일형 품종에 비하여 이형주는 대비품종에 비해 초장, 주당경수, 엽장, 절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 등의 형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1차 지경보다는 2차지경에서 저하율이 컸으며 수당 영화수에 대한 상관정도는 2차지경이 높았다. 4. 이형주 종자의 발아능력은 대비품종에 비해 대차가 없었고 종자수량에 있어서 일반형 품종이 평균 5.1kg /10a, 통일형 품종이 평균 0.9kg /10a 였으며, 생태형별 대비품종에 대한 혼입비율은 일반형 품종이 0.7%, 통일형 품종이 0.1% 정도였다.

  • PDF

인산시비량이 쇠무릎의 생육, 건물수량 및 인산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orous Fertilizer Rate on Growth, Dry Matter Yield, and Phosphate Recovery in Achyranthes japonica)

  • 강영길;고미라;강봉균;강시용;유장걸;류기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3-178
    • /
    • 2003
  • 제주도에서 쇠무릎을 생약(뿌리) 또는 ecdysteroid(뿌리+포과)를 생산하기 위하여 재배할 경우 적정 인산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질소시비량 2수준(90, 180kg/ha)과 인산시비량 5수준 (0, 100, 200, 300, 400kg/ha)에서 시험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 엽장, 엽폭, 경직경, 화서당 포과수, 주근장, 주근경은 인산시비량에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주당 분지수와 화서수는 무인산구에 비하여 인산 100kg/ha 시비에 의하여 각각 18, 38%증가되었으나 인산 200kg 이상 시비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주당 뿌리수는 인산 200kg에서 18.9개로 가장 많았다. 포과건물수량은 인산 100kg 시비구에서 2.92t/ha로 가장 많았고 200kg 이상 시비구에서 감소되었다. 건근수량은 무인산구에서 2.36t/ha이었던 것이 인산 100, 200kg 시비구에서 각각 3.55, 3.80t/ha 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가 300, 400kg 시비구에서는 3.14, 2.86 kg로 감수되었다. 지상부의 인산회수율은 인산 100kg 시비구에서 34.0%이었던 것이 400kg 시비구에서는 7.1%로 감소되었다.

담수토양의 아연 유효도에 미치는 아연비종별 효과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Zinc Sources on Zinc Availability under Flooded Soil Condition)

  • 김태순;김재성;한강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5-91
    • /
    • 1981
  • 아연비료로서 ZnEDTA와 $ZnSO_4$의 유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도의 아연흡수 실험을 시도했다. 수도의 아연흡수에 있어서 급원별(給源別) 아연 유효도는 토양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pH가 높은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는 ZnEDTA가 $ZnSO_4$보다 수도체아연 농도(濃度)와 아연 흡수량(吸收量)을 증가시키는데 더 유효했다. 그러나 산성(酸性)인 금곡토양의 경우도 ZnEDTA의 유효성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ZnEDTA를 처리(處理)한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생육(生育)한 수도는 $ZnSO_4$ 처리구 수도보다 분얼수와 초장(草丈)이 컸고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도 높았다. 아연급원에 관계없이 아연와 유기물(有機物) 처리구에서 자란 수도의 분얼수, 초장(草丈),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은 모두 다 적었다. 이것은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시비(施肥) 아연의 고정(固定)이 더 일어나서 수도체의 아연수율이 적기 때문이라고 본다. 아연고정 정도(程度)는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컸다.

  • PDF

드문모심기 적정 파종량 및 육묘일수 분석 (Seeding Rate and Days for Low-density Transplant Cultivation)

  • 황운하;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12-119
    • /
    • 2021
  • 최근 벼 이앙 시 필요한 육묘상자 개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생력재배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드문모심기의 안전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육묘상자당 파종량 및 육묘일수에 등 육묘환경에 따른 모소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묘일수 10일 시 파종량에 따라 엽수, 줄기두께가 변하였으며, 육묘일수 20일에는 초장, 엽수, 줄기두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육묘일수에 따른 초장신장, 엽령증가정도 및 줄기두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줄기 건물중 및 뿌리 건물증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육묘일수 10일에 비해 20일에 크게 증가하였다. 4. 어린모의 줄기 건물중은 뿌리건물중, 초장 및 줄기두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자 당 파종량 증가 시 모충실도는 낮아지며 육묘일수당 모충실도 감소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드문모심기 시 육묘상자 절감의 효율증대를 위해 최소 묘취량을 설정하여 이앙 시 주당 3~5본을 이앙하기 위한 적정 파종개수는 11,000로 현미천리중이 22 g인 종자의 경우 약 280~300 g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적정 육묘일수는 모충실도감소가 적은 13~16일로 판단된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심층추비효과(深層追肥効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 Zeolite 첨가(添加) Ball complex 비료(肥料)의 비효(肥効) - (Study on the Effect of Deep Fertilization on Paddy Field - Efficiency of Ball Complex Fertilizer Mixed with Zeolite -)

  • 김태순;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7
    • /
    • 1977
  • 수도(水稻)에 대(對)한 Zeolite 첨가(添加) Ball Complex 비료(肥料)의 심층(深層) 추비(追肥) 방법(方法)과 현행(現行) 표층(表層) 추비법(追肥法)과의 비효(肥効)를 비교(比較)했다. 대조구(對照區)와 Ball Complex 구(區)의 기비(基肥) 질소(窒素)를 동량(同量)으로 시비(施肥)하고 질소(窒素) 추비(追肥)는 대조구(對照區) 3회(回) 표층(表層) 시비(施肥)를 했고, Ball Complex 구(區)는 출수(出穗) 전(前) 35일(日)에 12~13cm 깊이로 4주간(株間)에 한개(個)씩 심층(深層) 추비(追肥)를 1회(回)했을 때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Ball Complex 구(區) 수도체(水稻體)는 질소(窒素), 가리(加里)를 수확기(收穫期)까지 지속적(持續的)으로 흡수(吸收)하는데 비(比)해서 대조구(對照區) 수도체(水稻體)는 출수(出穗) 후(後) 부터 이들 양분(養分)의 흡수(吸收)는 급격(急激)히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인다. 등숙기(登熟期)에 있어서 수도체(水稻體)의 질소(窒素), 가리(加里) 일당(日當) 흡수량(吸收量)은 대조구(對照區)가 주당(株當) 각각(各各) 0.45mg, 0.68mg에 불과(不過)하나 Ball Complex 구(區)는 각각(各各) 4.8mg 7.0mg 이다. 2. 물질(物質) 생산 속도(速度)는 각(各) 처리구(處理區) 수도(水稻)의 양분(養分) 흡수(吸收) 양상(樣相)이 잘 반영(反映)되어 대조구(對照區)는 출수(出穗) 직후(直後) 최고(最高) 값을 나타 내였다가 등숙기(登熟期)에는 떨어지지만 Ball Complex 구(區)는 오히려 등숙기(登熟期)에 크다. 3. Bali Complex 심층(深層) 추비구(追肥區)는 무효(無効) 분얼(分蘖)이 적어 유효(有効) 경율(莖率)이 높기 때문에 주당(株當) 수수(穗數)는 대조구(對照區) 수도(水稻) 보다 많다. 4. Ball Complex 심층(深層) 추비(追肥)는 수당(穗當) 완전입수(完全粒數), 등숙율(登熟率), 천입중(千粒重) 모두 다 크다. 5. 수량(收量)은 10a당 대조구(對照區)가 423kg이고 Ball Complex 구(區)는 528kg로서 25%가 많았다. 6. 심층(深層) 추비(追肥) 수도체(水稻體)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은 지엽(止葉), 제(第)2엽(葉)의 엽신장(葉身長), 엽(葉) 면적(面積)이 표층(表層) 추비(追肥) 수도체(水稻體) 보다 크다. 7. Ball Complex 비료(肥料)의 심층(深層) 추비(追肥)는 등숙기간중(登熟期間中) 질소(窒素), 가리(加里)의 흡수(吸收)가 많아서 엽신중(葉身中)의 질소(窒素) 농도(濃度)를 높이 유지(維持)하기 때문에 수도체(水稻體)의 지엽(止葉), 제(第)2엽(葉)의 엽신(葉身) 신장(伸長)을 촉진(促進)하여 엽(葉) 면적(面積)이 넓어지고 엽신중(葉身重)이 무겁고 단위(單位) 동화능(同化能)을 높여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을 향상(向上) 시킨다. 또한 표층(表層) 추비(追肥) 수도체(水稻體) 보다 하엽(下葉) 고사(枯死)가 적고 생엽수(生葉數)가 많아 수도체(水稻體) 군(群)의 엽면적(葉面積) 지수(指數)의 감소(減少)를 적게 하므로 본시험(本試驗)에서는 현행(現行) 표층(表層) 추비법(追肥法) 보다 더 증수(增收)가 가능(可能)하였다. 8.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로 보아서 Ball Complex 비료(肥料)는 현존(現存) 비료(肥料)의 시비(施肥)보다 추비효과(追肥効果)가 컸으며, 추비(追肥) 방법(方法)은 심층(深層) 추비(追肥)가 현행(現行) 표층(表層) 추비법(追肥法) 보다 훨씬 좋았다.

  • PDF

수도작에 있어서 물관리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rrigation Water Control in the Cultivation of Rice Plants)

  • 이창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3-1199
    • /
    • 1966
  • More stable and higher yields in rice paddy depend mainly upon an adequately balanced supply of water for higher yield. Rice paddy is supplied naturally by rainfall but inevitably requires artificial supplenental irrigation for higher yields. Even though it may be true that the water requirement of rice plants is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crops, the submerged condi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rice. The moisture requirements of rice vary according to its growing stag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se the irrigation efficiency by means of lessening the loss due to percolation and evapolation in the f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various amount of water supply and different irrigation periods for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most suitable irrigation method and to increase the irrigation efficiency for higher yields in rice padd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was employed where the 3 levels of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120% moisture contents), unirrigated (90~100%) and more un irrigated candition (80~90% moisture content), and levels of the various irrigation periods; usual, initial, intermediate and final periods, being treat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1. As for the physical and chemical and soil properfies, and other characteristics,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enough to be effective for the growth of rice plants. 2. Culm length was measured after harvest as shown in table 2. 3. Difference of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did not change the culm length and ear length, however it also indicated more apparent increase in final treatment plots thatn that of usual. 3.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ars and number of ears pers per hill was founded treatments both in the difference of water supply and in the various irrigation periods. 4.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turing rate and 1000 grains weight. 5. The number of panicles and grains and more increased in 80~100% moisture contents soil than those of 120%. and it shows in un irrigated plots, more irrigated plots and control plots in turn. Other wise according to the period\ulcorner of irrigation the trend is appeared in turn initial, usual, final and intermediate treatments.6. Yield as shown in table 7. 8 was more increased in unirrigated plots(90~IOO%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plots (120% moisture content) by up to 8.2% and also 3. 2% in more unirrigated plots than that of control by periods is shown: usual plots final, initial, inter mediate treatment plots in turn. 7. The above resut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yields and soil properties are made by the unirrigation.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is treatment has .some advantages in the points that one could spare the amount of water supply for irrigation with more increase in yield. In addition, a higher temperature and a brisk oxygen supply would be possible throug h this treatments. Accordingly, these treatment would be a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cultivation method of rice for the better harvest.

  • PDF

영남지방에서 벼 이앙시기가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무늬오갈병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Dates o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and Black-Streaked Dwarf Virus Diseases in Yeongnam District)

  • 김동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9-114
    • /
    • 1985
  • 밀양 지역의 애멸구 2회 성충의 바이러스 보독충율은 검은줄무늬오갈병이 $13.6\%$, 줄무늬잎마름병이 $6.7\%$이었다. 본 논에서 애멸구 2회 성충은 5월 29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월 13일에 최성기였는데, 이때의 주당애멸구 서식수는 추청벼, 낙동벼가 19.6, 19.3마리로 높았으나 삼강벼, 청청벼는 4.9 및 7.4마리로 비교적 낮았고, 이앙 바로 뒤의 벌레수는 극히 적었으며 이앙이 빠를수록 벌레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바이러스의 못자리감염은 5월 30일까지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그 후부터 감염이 인정되었는데 6월 20일 이앙구는 검은줄무늬오갈병의 못자리감염율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바이러스 본논감염율은 이앙이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5월 20일 이앙이 가장 높았고 7월 10일 이앙이 가장 낮았다. 검은줄무늬오갈병은 5월 10일 이앙이 5월 20일과 5월 30일 이앙에 비하여 발병증가가 완만하였으나, 줄무늬잎마름병은 5월 10일 이앙이 발병증가가 빠른 경향이었다.

  • PDF

질소(窒素)의 만기추비(晩期追肥)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r Stages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Rice)

  • 한문갑;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4-182
    • /
    • 1985
  • 우리나라 수도재배상(水稻栽培上) 중요(重要)한 과제(課題)의 하나인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면서 다수확(多收穫)을 기(期)할 목적(目的)으로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질소추비(窒素追肥)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자 실험(實驗)한 바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질소(窒素) 증시(增施)에 의해서 엽면적(葉面績)과 순동화율(純同化率)이 향상(向上)되고 많은 영화수(穎花數)가 확보(確保)되었다. 2 질소(窒素)의 생육후기(生育後期) 중점시용(重點施用)은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와 결실기(結實期)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높였으며 분얼(分蘖)의 유효화(有效化)및 생산기관(生産器官) 대(對) 비생산기관(非生産器官) 비율(比率)을 크게 만들어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는데 기여(寄與)하였다. 3. 수도(水稻) 다수확재배(多收穫栽培)에서 질소(窒素)의 생육후기중점시용(生育後期重點施用)은 내파성(耐把性) 품종(品種)의 재배(栽培)및 지력배양(地力培養)과 함께 유효(有效)한 방법(方法)이었다.

  • PDF

오리의 논 방사시간이 오리행동과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Ranging Time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Yield in Integrated Rice and Duck Farming)

  • 고병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73-478
    • /
    • 2003
  • 오리농법에 있어서 오리 주간방사에 대한 유효성을 명확히 구명하고자, 오리를 주간 12시간 (07:00-19:00) 논 방사후 야간에는 간이휴식장으로 재수용하는 주간방사구와 주야 24시간 연속방사하는 종일방사구의 2 시험구로 구분하고, 논 방사시간에 따른 오리의 성장과 행동유형, 관개수의 pH 및 용존산소농도, 벼 생육과 수량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리 방사시간에 따른 오리의 체중은 주간방사구와 종일 방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오리 행동유형에서 논내 채식행동과 날개다듬기 행동 및 노동행동은 주간방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주간 12시간(07:00-19:00)동안 오리의 논내 체류시간은 두 시험구간에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고, 주간방사구 오리의 1일 논내 총 체류시간은 종일방사구 오리의 1/3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관개수의 pH와 용존산소농도는 종일방사구보다 주간방사 구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지만,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벼 초장은 오리방사 1개월 이후 종일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고, 분얼수는 오리방사초기에서 종료시까지 종일방사구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5. 벼 지상부의 건물중량은 출수기에 종일방사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뿌리의 건물중량은 어느 생육단계에 있어서도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6. 벼 수량성에 있어서, 영화수는 종일방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방숙율은 주간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0a당 벼 정조수량은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 방사시간은 오리성장과 관개수의 pH 및 용존산소농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주간방사구 오리의 논내 채식과 노동행동은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오리 방사시간에 따른 벼 초장, 분얼수, 영화수 및 등숙율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나, 정조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주간 12시간 논 방사하는 오리의 주간방사는 종일방사와 거의 유사한 효과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and Maturing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Oh, Young-Jin;Lee, Jae-Dong;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09
    • /
    • 2004
  •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