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trees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29초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plantation and a new challenge to utilize deciduous trees

  • NAGASHIMA, Keik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18
  • Degraded plantation forests are increasing because of unfavorable forestry conditions prevailing in Japan, including falling timber prices, increasing operational costs, and aging and declining forestry workforce. To remedy this situation,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is required. This study introduces the challenges of Odai Town, Mie Prefecture that employed a new management strategy by evaluating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forests and that proposes a new forest management regime of planting deciduous trees in unsuitable sites. The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forests was evaluated from two aspects: the natural site conditions and the relationship among site conditions, growth, and damage by Anaglyptus subfasciatus Pic.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and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fores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site conditions, growth, and insect damage based on field data obtained in plantation forests, growth evaluation and insect damage evaluation map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atural forest investigation, natural site condition maps for C. japonica and C. obtusa were established.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se evaluation maps with the forest road maps showing the accessibility to the forest, the forest management regime for the whole plantation area of Odai Town was established. The forest management regime map indicates the sites suitable for forestry: suitable for long-rotation, short-rotation, and potential sites for short-rotation. The sites unsuitable for forestry were considered to be more suitable for broadleaved forests. Clear-cutting was conducted in a small area and different seral stage saplings (approximately 20 deciduous tree species) suitable to the site conditions were planted in an area of $80-120m^2$ protected by deer-fences. This might establish a forest composed of many species with a multilayer vertical forest structure in a short period. The planted saplings were distributed neither randomly nor uniformly to reflect the natural distribution of trees in the forest. A challenge to develop new products using the deciduous trees has started, such as wood chips for preparing smoked food, essential oil, and deodorizer. As these challenges have just begun, their effects on enhancing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are still being monitored. Even with the challenges, this regime can be of high value as a management strategy to remedy the situation of expansion of degraded forests in Japan.

  • PDF

관광식물원 조성을 위한 식재수종의 선택과 배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Plantation for Development of Tourism Botanical Garden)

  • 허성수;김종현;한광희;신언동;강지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58
    • /
    • 1999
  • We designed the model picture of Tourism Botanical Garden, as a kind of theme park, in which we could enjoy flowers all the year round and the glorious tints of its autumn foliage. It would be very important to decide what kinds of trees should be planted and where to plant them. We selected the appropriate flowers and trees according to their value of appreciation and flowering time and the grand view around there and the weather conditions of the central region. We selected perennial plants as native plants, according to their color, flowering time and for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we selected some kinds of culture plants to show the seasonal change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ir color and flowering time. We adopted the roof-tile pattern of Pakjae Kingdom to design the basic model of the garden, and the area was divided into eight sections. Six of them were divided again into four small planting areas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kinds of trees; pine-tree area, native flowering plant area, flowering tree area and flowering shrub area. The last two sections are by a lake, so they could make a beautiful landscape of waterfront. For the effective and economic operation of the garden, some kinds of flower trees and shrubs, which are little damaged by blight and are needless to prune, were selected. And perennial plants were also selected, because we don't have to change them into other plants, so we could cut down the expenses. As for the culture plants, they could be easily replaced with other culture plants in the flowering time, to show seasonal change and the harmony with the scenery around the garden.

  • PDF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n 'Arisoo' apple orchard with a shading net system

  • Jingi, Yoo;Nay Myo, Win;In-Kyu, Ka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561-570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lanting environment and growing conditions of 'Arisoo' apple trees under shading net treatments. Apple tree canopies were fully covered with Blue (blue color net, mesh size: 4 mm × 5 mm), Black-A (black color net, mesh size: 4 mm × 5 mm), Black-B (black color net, mesh size: 5 mm × 6 mm), and uncovered trees were used as the control. Inside the tree canopies, the illuminance was observed as 100% (85.0 Klux) in the control, but it decreased to 75% (64.3 Klux) in the Blue, 73% (63.0 Klux) in the Black-A, and 77% (65.9 Klux) in the Black-B nets, respectively. The solar irradiance was observed as 755 w·m-3 in the control, but it was decreased to 715 w·m-3 in the Blue, 624 w·m-3 in the Black-A, and 647 w·m-3 in the Black-B nets, respectively.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in the Black-A net (31.8℃) while it was observed to be around 30.0℃ in the control, Blue, and Black-B nets. In addition, the average fruit surface temperature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39.4℃) in the control, but it was decreased to 38.1℃ in the Blue, 37.3℃ in the Black-A, and 39.0℃ in the Black-B nets. However,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the shoot growth rate, and leaf SPAD values were not different in all the treatments. Fruit sunburn disorders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while it was observed to be lower in the fruits from trees covered with the shading nets. However, at harvest, the fruit quality parameters were not different in all the treatment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e trees covered with the shading nets reduced the illuminance, solar irradiance, fruit surface temperature, and fruit sunburn disorders. However, the shading nets did not affect tree growth and apple fruit quality.

Removal Potential of Particulate Matter of 12 Woody Plant Species for Landscape Planting

  • Kwon, Kei-Jung;Urrintuya, Odsuren;Kim, Sang-Yong;Yang, Jong-Cheol;Sung, Jung-Won;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47-65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Particulate matter (PM) is one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reatens human health. Plants can clean the air by removing PM from the atmosphe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M removal efficiency of 12 species of woody plants. Methods: Actinidia arguta, Dendropanax morbiferus, Fraxinus rhynchophyll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ittosporum tobira, Rhaphiolepis indica, Rhapis, Salix integra, Salix koreensis, Schisandra chinensis,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Vitis coignetiae were used as plant material. Six 15 cm (D) pots were placed in an acrylic chamber of 800 (D) × 800 (W) × 1000 (H) mm. The LED panel was used as a light source. The reduction of PM10, PM2.5, and PM1 for 30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of PM was automatically measured. Results: The leaf area and the amount of PM in the chambe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12 species of plants were compared by dividing the plants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vines, trees, and shrubs and small trees. In the vine plant group, the averages of PM10, PM2.5, and PM1 were 7.917%, 8.796%, and 30.275%, respectively. In the shrubs and small trees group, the average of PM10, PM2.5, and PM1 were 10.142%, 11.133%, and 36.448%, respectively. In the trees group, the average of PM10, PM2.5, and PM1 were 11.475%, 12.892%, and 40.421%, respectively.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100%, PM10, PM2.5, and PM1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with the largest leaf area were 5.6%, 6.3%, and 21.0% after 5 hours, respectively, the best results among 12 species of plants. Conclusion: The vine plant group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PM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tree groups, the fact that the leaf development was relatively inactive at a plant height of 30 cm was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개선사업 효과 연구 (The Improvement Effect of Pinus densiflora Forest Disturbed by Human Trampling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Gangbuk-gu, Seoul)

  • 권기영;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48-15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05년과 2010년 현장조사를 통해 소나무 식재유형, 식재구조, 토양경도, 토양단면구조, 토양 이화학적 특성 등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나무의 가지생장량과 직경생장량을 측정하여 개선사업전과 후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답압 피해지역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식재유형 변화에서는 하층 식생이 없는 소나무림이 2005년 48.5%에서 2010년에는 6.8%로 감소하였으며, 관목 및 초본이 식재된 소나무림이 7.4%에서 46.8%로 크게 증가하였다. 식재구조 변화에서는 대부분 조사구가 하층식생이 거의 없는 소나무림에서 진달래, 철쭉꽃, 원추리, 돌단풍, 옥잠화 등 관목 및 초본식생이 넓게 피복된 소나무림으로 변화되었다. 2005년 솔밭근린공원의 토양경도는 평균 $54.8kg/cm^2$로 딱딱한 토양층이었다. 2010년 솔밭근린공원 개선사업 후 토양경도는 대부분 $4kg/cm^2$ 미만으로 식물생육에 영향이 없는 양호한 상태였다. 2005년에 토양단면구조는 답압 영향으로 인해 낙엽층이 소실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층이 1.0cm로 식물이 생육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개선사업 후 2010년에는 답압에 대한 피해가 줄어서 낙엽층이 3.0cm까지 새롭게 형성되었고, 지속적인 시비에 따라 유기물층의 깊이도 1.5~8.0cm로 증가하였다. 2005년 토양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pH 5.76~6.70, 유기물 함량 7.15~10.55%, 유효인산 9.38~26.47mg/kg으로 소나무 생육 토양환경조건으로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소나무 15주를 선정하여 가지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개선사업 이후 가지생장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경도 등급에 따라 소나무 70주를 선정하여 직경생장량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조사구에서 소나무가 개선사업 이후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이 소나무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상전의 생산성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ield in Korea.)

  • 김문협;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11호
    • /
    • pp.1-14
    • /
    • 1970
  • 우리나라 상전의 생산성에 대해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 상전의 생산성은 9.8∼105kg 사이에 있지만 20∼60kg가 가장 많으며 그 평균은 50.2kg/10a 이다. 2) 농가의 환산노력 1인당 상전면적이 클수록 상전의 생산성이 낮아지는데 1인당 200평정도인 경우에 그 생산성이 높은 것 같다. 3) 토양은 사질괴토나 괴토에서 생산성이 높고 식토에서나 초토에서는 낮으며 표토의 깊이는 70cm 이상인 경우에 높지만 50cm이상은 되어야 한다. 4) 유기질은 상전의 생산성과 깊은 관계가 있으니 식재기비로는 900kg이상을, 또 식재후에는 1,200kg이상을 시여하여야 생산성이 높아진다. 5) 유기질의 공결원으로 가축을 보유하는 두수가 많을수록 샌산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6) 전비는 퇴비를 1,200kg정도 줄 경우 질소 20kg (10a 당 성분량) 이상을 주어야 생산성이 높으며 우리나라 평균 질소시여량은 14.kg로서 기준량에도 미달하여 생산성을 떨어 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정지법으로서는 낮추베기가 생산성이 높으며 낮추베기에서는 정지기술이 부족하여 무 식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생산성이 낮다. 8) 상전의 형태는 순상전이 휴반식이나 간작식 보다 생산성이 높다. 9) 식재밀도는 낮추베기의 경우 10a 당 평균 713주이지만 적어도 800주 정도는 식재해야 생산성이 높다. 10) 식재당시의 식혈이나 식구는 되도록 크게하는 것이 상수의 발육이 좋다. 11) 품종은 노상과 용천질우가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

  • PDF

우리나라에서의 임목육종(林木育種)에 의(依)한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 (Improvement of Productivity by Forest Tree Breeding Work in Korea)

  • 류장발;심상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382-388
    • /
    • 1988
  • 우리나라에서의 임목육종(林木育種)에 의(依)한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를 중요(重要)한 몇 수종(樹種)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소나무 수형목(秀型木) 17가계(家係)의 차대(次代)는 15년생(年生)에서 비수형목(非秀型木) 차대(次代)와 비교(比較)하여 57%의 재적(材積) 증가(增加)를 보였다. 17가계(家係)중 우수(優秀)한 세 가계(家係)를 재선발(再選拔)한다면 배이상(倍以上)의 재적 증가가 기대되었다. 15년생(年生) 리기테다소나무는 전북(全北) 완주(完州)에서 리기다소나무보다 배이상(倍以上)의 재적 생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 잡종(雜種)의 우수성(優秀性)은 북(北)쪽으로 올라 갈수록 감소(減少)하였는데 주로 내한성(耐寒性)이 약(弱)한 탓으로 생각된다. 경기(京畿) 용인(龍仁)의 평지(平地)에서는 리기테다소나무가 리기다소나무보다 생장(生長)이 훨씬 좋았으나 산정(山頂)에서는 리기다소나무보다 생장(生長)이 떨어졌다. 현사시는 10년생때 식재장소(殖栽場所)에 따라 양친수종(兩親樹種)보다 2~2.5배(倍)의 생장(生長)을 보였다. 도입(導入)된 리기다소나무도 재적(材積) 생장(生長) 증가(增加)를 보였다. 45개(個) 산지(産地)에서 도입(導入)한 12년생(年生) 리기다소나무중에서 우수한 다섯 산지(産地)를 선발(選拔)하면 국내(國內)에서 선발(選拔)한 수형목(秀型木) 차대(次代)보다 53%의 재적(材積) 증가(增加)가 기대되었다. 선발(選拔)된 다섯 산지(産地) 각각에서 최상(最上)의 가계(家係)를 (산지(産地)당 5가계(家係)로 조성되었음) 재선발(再選拔)한다면 다시 14%의 재적(材積) 증가(增加)가 기대된다. 연간 밤 생산(生産)은 칠만톤에 달하는데, 이것은 밤나무 순혹벌에 내충성(耐虫性) 품종(品種)을 심은 덕으로 생각된다. 비내충성(非耐虫性)인 재래종(在來種) 품종(品種)은 이 곤충(昆虫)에 의해 거의 전멸(全滅)하였기 때문이다. 콜키신처리(處理)에 의(依)한 배수체(倍數體) 및 돌연변이체(突然變異體)가 생산(生産)된 수종(樹種)은 10여 수종(樹種)에 이르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수종은 없다. 장차 획기적인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가 생물공학(生物工學)에 의하여 기대되는데 생물공학(生物工學)은 세포(細胞), 세포(細胞) 소기관(小器管), 유전자(遺傳子) 단위에서 선발(選拔), 교잡(交雜), 외래(外來) 유전자(遺傳子) 도입(導入)이 가능하고, 유전자조작(遺傳子操作)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는 유전적 우수성이 입증된 조림 수종을 조직배양(組織培養)으로 대량번식(大量繁殖)시킴으로써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수원 지역 사과원에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 개체군의 역사적 변천과정 및 해석 (Historical Change of Population Abundances of Panonychus ulmi and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in Selected Apple Orchards in Suwon and Its Hypothetical Explanation)

  • 김동순;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5-123
    • /
    • 2005
  •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원예연구소의 사과원에서 조사한 1958년부터 1998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의 역사적 발생변동 과정을 추적하였다. 1970년까지는 사과응애가 우점하였고 1980년 이후에는 점박이응애로 우점종이 바뀌었으며, 그 변화는 1970년 중반을 전후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3가지 가정, 즉 첫째, 두 종의 경쟁에서 점박이응애가 승리한다. 둘째, 과원의 초생은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즉 초생이 파괴되었을 때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촉진된다. 셋째, 과원생태계가 교란되지 않을 때 응애류는 천적에 의하여 개체군 밀도가 조절된다 하에 약제살포(고독성 비선택적 약제 처리 및 선택적 저독성 약제처리)와 초생관리(초생재배 및 청경재배=제초제 살포)에 따른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 결과를 추정하였다. 고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는 경쟁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천적상이 파괴되기 때문에 전 생육기간 동안 사과응애가 우점한다.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계절초기부터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를 경쟁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점박이응애가 우점한다. 저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가 우점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높은 밀도를 형성하지 못한다. 저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와 경쟁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밀도가 낮아져서 경쟁압력이 낮아지므로 생육후기 사과응애의 발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절초기 사과응애, 계절후기 점박이응애가 우점하는 형태로 공존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한 점박이응애 우점화 현상은 부분적으로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 상태에서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국내 벚나무류(Prunus subg. Cerasus) 식재 현황: 분당중앙공원 일대 사례연구 (Current status of cherry trees (Prunus subg. Cerasus) planted in Korea: A case study of Bundang Central Park and adjacent area)

  • 한병우;정종덕;나혜련;강경숙;장한이;김세령;김유미;권희정;현진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4-63
    • /
    • 2022
  • 벚나무류 (Prunus subg. Cerasus)는 가로수 및 조경수로 전국에 가장 많이 식재하지만 외형으로 식별이 어려워서 종별 수량은 관리되지 않고 있다. 다양한 벚나무류가 식재된 성남시 분당구 분당중앙공원과 인접 지역의 식재유형과 종 구성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조경수목 식재 관리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벚나무류의 개화기인 2021년 4월에 성남시 분당구 일대 약 6 km2 내에 식재된 벚나무류 총 5,866주를 조사하였다. 이 중 5,744주는 11분류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122주는 복합적인 외부형태 특징을 보였다. 소메이요시노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가 가장 높은 비중(52.1%)을 차지하였고, 잔털벚나무(P. serrulata Lindl. var. pubescens (Makino) Nakai), 벚나무(P. jamasakura Siebold ex Koidz.)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 ×nudiflora (Koehne) Koidz.)는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미소한 특징으로 구분되는 벚나무류의 식별을 돕고자 주요 조경용 벚나무류 11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벚나무류는 자연 상태에서도 빈번하게 종간 잡종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래 벚나무류와의 잡종화와 이에 따른 유전자 이입에 의해 자생종의 유전적 고유성이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자생지 주변의 식재 수종 관리와 원산지 추적이 필요하다.

도시녹지의 에너지절약 및 대기 $CO_2$ 농도저감과 계획지침 (Energy Saving and Reduction of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by, and Planning Guideline for Urban Greenspace)

  • 조현길;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8-47
    • /
    • 2000
  • Carbon dioxide is a major greenhouse gas causing climate change. This study quantified annual direct and indirect uptake of carbon by urban greenspace, and annual carbon release from vegetation maintenance and fossil fuel consumption. The study area was whole Chuncheon and Kangleung, and also two districts of Kangnam and Junglang in Seoul, cities located in middle Korea. Carbon uptake by urban greenspace played an important role through offsetting carbon release by 6-7% annually in Chuncheon and Kangleung. For Kangnam and Junglang, where the population density was relatively higher, urban greenspace annually offset carbon release by 1-2%. Future possible tree plantings could double annual carbon uptake by existing trees in urban lands (except natural and agricultural lands) of a study city. Based on study results, plann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urban greenspace were suggested to save energy and to reduce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They included selection of optimum tree species, proper planting location from buildings, design of multilayered planting, amendment of existing regulations for greenspace enlargement, avoidance f intensive vegetation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of natural vege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