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reg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8초

내서들일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지역성 (Mus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Naeseo-deulsori)

  • 서정매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325-356
    • /
    • 2021
  • 본 연구는 창원시 내서들일소리의 전승 현황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현재 내서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들일소리가 지속적으로 계승될 수 있도록 그 가치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내서들일소리는 일의 순서에 따라 모심기소리, 빠른 모심기소리, 논매기소리, 칭칭이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모심기소리는 일의 순서와 상황에 따라 ①모찌기소리, ②오전에 부르는 모심기소리, ③점심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④점심 후에 부르는 모심기소리, ⑤비 오고 흐릴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⑥해 질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등 총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음악적으로는 느린 모심기소리와 빠른 모심기소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모심기소리는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육자배기의 영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인근의 함안지역의 느린 모심기소리에서는 전형적인 메나리토리였지만, 빠른 모심기소리에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서 메나리토리의 특징은 옅어지고 la↘mi의 완전4도 하행이 잦게 나타났다. 고성지역의 모심기소리는 느리고 빠른 소리 모두 육자배기토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내서지역의 모심기소리는 고성지역보다는 육자배기토리가 덜하고, 함안지역보다는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토리의 결합은 접경 지역에 나타나는 음악적 교섭현상으로, 내서지역의 지리적·지역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논매기소리는 인근의 고성, 함안 지역 모두 받는 소리가 '상사디어'로 공통된다. 그런데 내서지역의 논매기에서는 받는 소리에서 강한 경토리의 성향이 발견된다. 논매기소리는 선율의 흐름을 보았을 때, 이는 근래에 들어 창자에 의해 음정에 변화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변형된 선율 형태가 그대로 지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지역성을 담보하기 위해 이 부분은 추후 수정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to Planting Density in Late Planting)

  • 박현진;한원영;오기원;고종민;배진우;장윤우;백인열;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43-348
    • /
    • 2015
  • 1. 남부지역에서 대원콩을 이용하여 재배한 결과, 주당본수를 높일수록 식물체 간 경합에 의해 경장은 길어지고 경태는 가늘어지며 분지수가 감소하여 도복에 취약한 초형으로 생육한다. 다만 만파재배 시에는 생육기간이 단축되므로 주당본수를 높이더라도 도복이 우려될 만큼 경장이 신장하지 않는다. 2. 마디수는 주당본수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협수는 주당본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재식밀도의 증가에 의한 증수효과는 7월 중순이후로 극만파할 때에 관찰되며 1주 4본 재배 시 표준재배에 비하여 34 % 증수효과가 있었고, 1주 5본 이상 재배할 경우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였다. 4. 따라서 만파재배 시에는 밀식하여도 잘 도복하지 않으며 $70{\times}20cm$로 재배할 때 1주 4본까지 재식밀도를 높이는 것이 수량증대에 유리하다.

Effects of Windbreak Planting on Crop Productivity for Agroforestry Practices in a Semi-Arid Region

  • Jo, Hyun-Kil;Park, Hye-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48-354
    • /
    • 2017
  • Agroforestry has been practiced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for the purposes of preventing desertification and to increase income for locals. However, the intended effects of such practices have been limited due to strong winds and aridity. This study undertook multi-year monitoring of the productivity of income crops associated with windbreak planting in a semi-arid region of Mongolia, and explored strategies of windbreak planning to enhance the multi-purpose effects of agroforestry practices. The tree crown density of windbreak planting was on average 40% in one year after planting and 65% 2-3 years after, and thereby windspeeds were reduced by about 30% and 54%, respectively. Average windspeed reductions at leeward distances from the windbreak planting were approximately 60% within 3H (H=tree height), 50% at 5H, and 42% at 7-9H, presenting a pattern in which the farther the distance the less the reduction in windspeeds. The windbreak planting increased crop productivity by up to 6.8 times, compared to the productivity absent of windbreaks. Increases in the crown density as stated above resulted in increases of crop productivity by up to 3.6 time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model of windbreak planning as a typical land-use system of border windbreak planting or alternate windbreak planting of combining trees and income crops. The model also included tree planting with a crown density of 60% and allocation of income crops within a leeward distance of 5 times the height of the trees to reduce windspeeds by about 50%.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practicing agroforestry not only at the study site but also in other regions worldwide where strong winds and aridity are problematic.

On-farm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Medium to High Potential Areas of Kenya

  • Makee, Luvanda 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92-399
    • /
    • 2016
  • This review paper presents guidelines which stakeholders use in addressing on-farm tree planting configuration, establishment, tending, silvi- cultural management, management of pests and diseas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 practiced in the medium to high potential areas of Kenya. The tree planting configurations discussed includes blocks planting (woodlot), boundary, compound planting, home/fruit gardens, trees intercropped or mixed with pasture, trees on riverbanks and roadside.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evaluation techniques have been highlighted. The main challenges facing tree planting activities include culture and attitude of local people, land and tree tenure, inadequate technical support, lack of recognition and integration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capital and labour shortages, lack of appropriate incentives measures, damage by domestic and wild animals, conflict over trees on the boundary and policy and legal issues. This guideline targets forest managers, extension agents, students and other practitioners in policy and day to day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Kenya.

Determination of Marginal Sowing Date for Soybean in Paddy Field Cultiva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Park, Hyeon Jin;Han, Won-Young;Oh, Ki-Won;Shin, Sang-Ouk;Lee, Byong Won;Ko, Jong-Min;Baek, In Youl;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04-112
    • /
    • 2016
  • A double-cropping system with soybean (Glycine max) following the cultivation of potato, garlic, and onion is widely adop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For this system, marginal dates for planting must be determined for profitable soybean yields, because the decision to plant soybean as a second crop is occasionally delayed by harvest of the first crop and weather condi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soybean yield, three cultivars (early and late maturity) were planted on seven different dates from May 1 to July 30 in both paddy and upland fields across 2012 and 2013. Soybean yie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lanting dates and the cultivar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cultivar and planting dat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linear regression, the maximum yield of soybean was reached with a June 10 planting date, with a sharp decline in yield for crops planted after this d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a previous one that recommends early and mid-June as the optimum planting period. Regardless of soybean ecotype, a reduction in yield of greater than 20% occurred when soybean was planted after mid-July. Frost during soybean growth can reduce yields, and the late maturity cultivars planted on July 30 were damaged by frost before completing maturation and harvest; however, early maturity cultivars were safely harvested. For sufficient time to develop and reach profitable yields, the planting of soybean before mid-July is recommended.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배식 기법 연구 (Planting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and Community Planting Area)

  • 조우;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0-8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community plan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ree green space types and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and wild bird inhabitation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in Seoul, Kore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getation stratification, coverage, and species diversi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ild bird inhabitation.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forest in study site was analyzed as a negative factor that may decrease the biodiversity. Therefore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forest. Based on results in three green space types, the planting species, density and species size for proper community planting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niche relationships among sixteen selected species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will be provided as an valueable output for the completed community planting of urban green space in the central region, Korea.

  • PDF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Sugar Yield of Sweet Sorghum in Jeju Island

  • Oh, Hyeon-Do;Kim, Han-Lim;Kang, Young-Kil;Kim, Cha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34
    • /
    • 2001
  • A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ultivar was planted on 9 and 30 June 2000 at plant densities of 4, 6, 8, 10, and 12 plants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 density in Jeju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x plant density interactions for most traits measured. Delaying planting from 9 to 30 June delayed 21 days in heading da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productive stems $m^{-2}$/, and lodging. Fresh stem yield tended to be higher at the 9 June planting date than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but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ate. Percentage of soluble solid was higher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compared with the 9 June planting date.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quadractically increased from 22.9 to 36.7 $t^{-1}$, from 1.66 to 2.54 $t^{-1}$, and from 945 to 1440 $L^{-1}$,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plant density. The optimal plant densities for the maximum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were estimated to be 10.7, 9.6, and 9.9 plants $m^{-2}$ respectively.

  • PDF

중부지역에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품종의 생육 및 수량 (Planting Date and Hybrid Influence on Silage Corn Yield and Quality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 주정일;성열규;김충국;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0
  • 청보리와 사료용 옥수수 작부체계에서 청보리 수확 후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7품종에 대하여 생육 및 수량을 적파재배와 비교하고자 2007년과 2008년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청보리 뒷그루로 옥수수를 만파하면 생육기간의 단축과 고온기 생육으로 인하여 경직경과 이삭의 크기와 무게가 크게 감소되었다. 적파에 비하여 만파시 지상부 전체 건물중에서 잎과 줄기의 구성비율이 증가되고 암이삭의 비율이 감소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청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적파에 비하여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시 변이계수가 높았다. 적파를 대비로 할 때 만파재배시청예수량 91.8%, 건물수량 72.6%, 종실수량 51.0%, TDN 수량 68.1% 수준으로서 종실수량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이로 인하여 TDN 수량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청예수량은 감소폭이 가장 적었다.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 재배시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높은 품종은 강다옥으로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이삭의 크기와 무게의 감소폭이 적었다. 따라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하면 경엽 건물수량에 비하여 종실수량의 감소폭이 크므로 총 건물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종기 이동에 의하여 이삭의 크기와 무게에서 변화가 적은 품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었다.

전북지역 적응 다수성 가공용 고구마 적품종 선발 (Evaluation of Sweet Potato Cultivars for High Yield and Optimum Processing in Jeonbuk Region)

  • 최규환;이나라;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67-372
    • /
    • 2017
  • 전북지역에서 고품질 가공용 고구마 생산을 위한 적품종 선발을 위하여, 국내 육성된 14품종을 재료로 30 cm 크기의 종순을 $75{\times}25cm$로 5월 30일 정식하여 배색비닐로 멀칭재배한 다음, 120일 및 150일 수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신장은 '다호미'와 '신황미'에서 90 cm 이상으로 왕성하였고, 정식 120일째에는 '신황미', '신율미', '대유미', '진홍미', '연황미' 등에서 250 cm 이상으로 줄기신장이 왕성하였다. 주당 분지수는 정식 30일째에는 '신자미'에서, 120일째에는 '신황미'에서 가장 많았다. 주당상저중, 평균상저중, 주당상저수 및 상저수량은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정식 120일 후 수확에서 상저수량은 '전미', '다호미', '대유미'에서 2.5톤/10a 이상으로 높았으며, 150일 후 수확에서 세 품종의 상저수량은 3.2-3.5톤/10a로 크게 증가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길이 및 마디수는 주당상저중 및 상저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품종 고유특성인 전분가는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전북지역 가공용 품종으로는 전분가가 높고 다수성으로 생육이 양호한 '전미', '대유미'와 점질품종으로 담주황색 육질을 가진 '다호미' 등이 유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