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Naeseo-deulsori

내서들일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지역성

  • 서정매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 Received : 2021.07.11
  • Accepted : 2021.08.15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eseo-deulilsori in Changw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value of deulilsori in Naeseo region,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inherited. Naeseo-deulsori consists of the Mosimgi-sori, Nonmaegi-sori, and Chingchingi-sori. Mosimgi-sori, which is called when planting a seedling, is divided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order and situation of work. ① rice planting sound, ② rice planting sound called in the morning, ③ rice planting sound called at lunch time, ④ rice planting sound called after lunch, ⑤ rice planting sound called when it is raining or cloudy, ⑥ rice planting sound called at sunset. Mosimgi-sori, which is called when planting a seedling, is based on Menali-tori, but partly influenced by Yugjabaegi-tori. However, it was typical Menali-tori in the slow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the nearby Haman region, but as the speed increased in the fast The sound of rice plant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ali-tori faded and la↘mi perfect fourth descending frequently appeared. In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Goseong, both slow and fast sound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Yugjabaegi-tori. In the end,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the Naeseo region is less Yugjabaegi-tori than in the Goseong region and stronger than in Haman region. This combination of tori is a musical bargaining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border region, and it can be said to be a geograph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Naeseo region. Nonmaegi-sori has the same sound as 'Sangsadeio' throughout the nearby Goseong and Haman regions. However, in Nonmaegi-sori in the Naeseo region, a strong Gyeong-tori tendency is found in the sound received. Looking at the flow of the melody of Nonmaegi-sori, it seems that the pitch has been changed by the intestines in recent years, and this modified melodic form has continued as it is. In order to guarantee locality, this part seems to need to be correc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창원시 내서들일소리의 전승 현황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현재 내서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들일소리가 지속적으로 계승될 수 있도록 그 가치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내서들일소리는 일의 순서에 따라 모심기소리, 빠른 모심기소리, 논매기소리, 칭칭이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모심기소리는 일의 순서와 상황에 따라 ①모찌기소리, ②오전에 부르는 모심기소리, ③점심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④점심 후에 부르는 모심기소리, ⑤비 오고 흐릴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⑥해 질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등 총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음악적으로는 느린 모심기소리와 빠른 모심기소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모심기소리는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육자배기의 영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인근의 함안지역의 느린 모심기소리에서는 전형적인 메나리토리였지만, 빠른 모심기소리에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서 메나리토리의 특징은 옅어지고 la↘mi의 완전4도 하행이 잦게 나타났다. 고성지역의 모심기소리는 느리고 빠른 소리 모두 육자배기토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내서지역의 모심기소리는 고성지역보다는 육자배기토리가 덜하고, 함안지역보다는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토리의 결합은 접경 지역에 나타나는 음악적 교섭현상으로, 내서지역의 지리적·지역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논매기소리는 인근의 고성, 함안 지역 모두 받는 소리가 '상사디어'로 공통된다. 그런데 내서지역의 논매기에서는 받는 소리에서 강한 경토리의 성향이 발견된다. 논매기소리는 선율의 흐름을 보았을 때, 이는 근래에 들어 창자에 의해 음정에 변화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변형된 선율 형태가 그대로 지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지역성을 담보하기 위해 이 부분은 추후 수정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