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hopper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8초

저항성 벼멸구의 효소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Esterase Activity and Acetylcholinesterase Sensitivity of Insecticide-selected Strains of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tal))

  • 박형만;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3
    • /
    • 1991
  • 벼멸구의 살충제 저항성 기구를 구명하고자 fenobucarb, carbofuran 및 diazinon으로 벼멸구를 14~18세대 누대 도태하여 얻어진 벼멸구를 대상으로 저항성 기구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중 acetylcholinesterase(AChE)와 esterase의 활성 변화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ChE활성은 fenobucarb선발 계통에서 1.6배 증가하였으나 타 계통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세포내 분포도 mitochondrial fraction에서 70% 이상으로 계통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AChE감수성은 fenobucarb와 carbofuran선발 계통에서 각각의 공시 살충제에 대하여 12.2배, 5.6배 감소하였으나 diazinon선발 계통에서는 diazoxon에 대하여 1.7배 감소에 그쳤다. Esterase활성은 fenobucarb선발계통에서 5.6~6.8배, carbofuran선발계통에서 6.4~7.8배, diazinon선발계통에서 4.0~4.4배 증가하였다. 벼멸구의 저항성 증가에 다른 요인이 관련됨을 배제할 수 없으나, 본 실험 결과 esterase 활성증가와 AChE감수성 저하라는 두 요인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벼멸구 저항성을 유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벼논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약충 두부의 형광성 반점에 의한 식별법 (Discrimination Method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Stal) Nymphs by the Fluorescent Spots between Compound Eyes in Rice Paddies)

  • 조성래;이동운;추호렬;박정규;신현열;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1-365
    • /
    • 2003
  • 우리나라의 벼논에는 벼를 기주로 하는 여러 종류의 멸구, 즉,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들이 혼재하고 있지만 이들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들의 정확한 식별은 예찰과 방제 전략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벼멸구는 가장 중요한 벼의 해충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에 있어 쉽고, 신뢰성 높은 식별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벼논에 분포하고 있는 벼멸구의 정확한 구분을 위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의 약충을 조사한 결과. 두 종류의 해충에 비하여 벼멸구 약충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측, 벼멸구 약충은 겹눈 아랫부분과 촉각 사이에 흰색형광성광택을 가지고 있었지만 애멸구나 흰등멸구의 약충에는 없었다. 그리고 형광성 반점은 부화직후 가장 선명하였고, 령기가 진행될수록 약해지다가 성충이 되어서는 없어졌다. 따라서 두부의 형광성반점은 벼멸구 약충의 판별에 활용하는데 있어 혁신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벼멸구의 섭식 패턴과 벼 조직내에서 구침의 이동 (Electrical Feeding Patterns and Stylet Movement of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Homoptera), in the Rice Tissues)

  • 윤영남;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8-217
    • /
    • 1993
  • 벼멸구의 식이행동을 전기적인 측정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들을 각각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그결과 type P, S, SB, O, X, Ph 등 6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Type P는 벼멸구가 식물에체 처음 접근하여 기주를 탐색할 때 볼 수 있었으며, 구침을 조직내에 찔어 넣거나조직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type S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매우 규칙적인 S패턴은 체관부에 구침을 찔어 넣을때만 볼 수 있어 type SB로 따로이 분류하였다. X와 Ph패턴은 각각 물관부와 채관부에서 흡즙할 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ype O는 기타 다른 조직내에 구침이 있을 때 이러한 전기적 패턴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각각의 전기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하는 패턴이 나타날 때에 식흔이 있는 벼의 조직을 잘라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각각의 타입별로 벼멸구 배설물을 측정하였다.

  • PDF

애멸구 약충기생봉(Haplogonatopus atratus)에 관한 연구 (I) (Studies on the Nymphal Parasitism, Haplogonatopus atratus Esaki at Hashimoto (Dryinidae)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I))

  • 김정부;김창문;조동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18
    • /
    • 1984
  • 본 연구는 애멸구 약충기생봉의 1종인 Haplogatopus atratus(Dryinidae)의 애멸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과 령기별 기생선호성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plogonatopus atratus의 애별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은 월동세대가 $19.2\%$, 제 1세대인 맥전에서 $10.8\%$, 제 2세대인 본답에서 $21.5\%$였다. 2. 숙주인 애멸구 약충에 대한 령기별 기생선호성은 1령, 5령 및 성충에는 전혀 기생을 하지 않었으며 2령이 $17.5\%$, 3령이 $78.2\%$, 4령이 $4.2\%$로서 3령이 가장 높은 선호성을 보였다.

  • PDF

Effect of insect-resistant genetically engineered (Bt-T) rice and conventional cultivars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 Sung-Dug, Oh;Eun Ji, Bae;Kijong, Lee;Soo-Yun, Park;Myung-Ho, Lim;Doh-Won, Yun;Seong-Kon, Lee;Gang-Seob, Lee;Soon Ki, Park;Jae Kwang, Kim;Sang Jae, Su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511-520
    • /
    • 2022
  • Insect-resistant transgenic rice (Bt-T) expresses a toxic protein (mcry1Ac1) derived from th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found in the rice cultivar Dongjin with an insecticidal property against rice leaf roller (Cnaphalocrocis medinali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Bt-T on non-target organisms, the feed and oviposition preferences and biological parameters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four rice cultivars: Dongjin (parent variety), Ilmi (reference cultivar), Chinnong (brown planthopper resistant cultivar) and Bt-T. In the Bt-T and Dongjin cultivars, the feed preferences were 32.4 ± 8.3 and 34.1 ± 6.8%, and the oviposition preferences were 32.5 ± 5.1 and 30.0 ± 5.3%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se rices. Additionally, in the Bt-T and Dongjin cultivars, the total lifespans from egg to adult were 39.5 ± 6.9 and 40.0 ± 5.8 days, and the weights of adult females were 1.78 ± 0.14 and 1.72 ± 0.16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biological parameters between these two varietie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ect-resistant transgenic rice (Bt-T)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reproduction and life cycle of brown planthopper, a non-target organism.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Carrying Rice stripe virus

  • Lee, Joo Hyun;Choi, Jae Young;Tao, Xue Ying;Kim, Jae Su;Kim, Woojin;Je, Yeon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30-337
    • /
    • 2013
  • Rice stripe virus (RSV), the type member of the genus Tenuivirus, transmits by the feeding behavior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virus and vector insect,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RSV-viruliferous SBPH (RVLS) and non-viruliferous SBPH (NVLS) adults to construct expressed sequence tag databases for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ver 30 million bases were sequenced by 454 pyrosequencing to construct 1,538 and 953 of isotigs from the mRNA of RVLS and NVLS, respectively. The gene ontology (GO)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libraries have similar GO structures, however, the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17.8% and 16.8% of isotigs were up- and down-regulated significantly in the RVLS, respectively. These RSV-dependently regulated genes possibly have important roles in the physiology of SBPH, transmission of RSV, and RSV and SBPH interaction.

Relations between Brown Planthopper (BPH) Resistance and Sucking Inhibitors of BPH in Rice

  • Kim, Sung-Eun;Kim, Young-Doo;Nam, Jeong-Kwon;Kim, Bo-Kyeoung;Ko, Jae-Kwon;Kim, Jung-Gon;Lee, Jin-Ho;Chun, Jae-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13-51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brown planthopper (BPH, Nilapavata lugens) resistance and specific organic acids (oxalic acid, silicic acid, and trans-aconitic acid) known as BPH sucking inhibitors on different rice varieties and/or lines. There were no specific relations between BPH resistance and the contents of oxalic and silicic acids in the rice plant tissues. However, the stronger the BPH resistance was occurred, the higher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was contained in the rice plants. The relations between the injury rate of rice plant by BPH and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in the rice pla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were -0.84 and -0.82 at 30 and 60 days after seeding,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in rice plant tissues might be utilized as an index for improving BPH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애멸구 다발생(多發生)과 맥류(麥類) 열기(熱期)와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Homoptera : Delphacidae) and Barley Maturity)

  • 김홍선;이정운;엄기백;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5
    • /
    • 1986
  • 1984년도(年度) 애멸구가 다발생(多發生)하였던 원인(原因)을 기상(氣象) 자료(資料)와 애멸구 유살수(誘殺數)를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애멸구 유살량(誘殺量)은 3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과 관계(關係)가 있으며 평균기온(平均氣溫)이 낮으면 보리의 생육(生育)이 지연되고 분얼수가 많아지며 성숙기(成熟期),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져 애멸구 증식(增植)에 유리(有利)한 조건(條件)이 됨으로 발생(發生)이 많아질수 있으며 '84년(年)의 3월(月)은 저온(低溫)이었던 관계(關係)로 대발생(大發生) 하였던 것 같다. 또한 3월(月)의 평균기온(平均氣溫)과 유살량(誘殺量)과는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으며 회귀식(回歸式)에 의해 발생량(發生量)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 PDF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염색체 변이 (Chromosomal Variation among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Biotypes in Korea)

  • 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6-370
    • /
    • 1992
  • 벼멸구 수컷 정소에서 염색체의 변이정도를 생태형 별로 관찰하였다. 세포 분열 지수는 생태형 3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태형 1, 생태형 2이었다. Agmatoploidy, aneuploidy, 성염색체의 loose pairings과 같은 염색체의 구조적 변화는 생태형 1, 생태형 2, 생태형 3순으로 높았다. 감수분열 제1분열기 중기는 성염색체가 상염색체로부터 현격하게 분리되어 있는 세포의 수는 생태형 2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벼 기계이앙 및 직파재배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in Machine Transplanted and Direct Seeded Rice Paddy Field)

  • 이승찬;마경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44
    • /
    • 1997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기계이앙 및 직파재배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를 조사한 결과, 끝동매미충, 혹명나방은 기계이앙답에서 다소 많은 발생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는 직파재배답에서 더 많은 밸생을 보였다. 그리고 이화명나방, 흰등멸구, 벼줄기굴파리는 그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웠다. 조사 해충 모두 기계이앙이나 직파재배보다는 재배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은 재배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과 혹명나방은 그 시기가 빠를수록 발생피해가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