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pecimen. T. Nakai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V. L. Komarov의 북한(北韓) 채집지명(採集地名)에 대한 연구(硏究) (II) - T. Nakai의 Flora Koreana vol. II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II) - mainly based on Nakai's Flora Koreana vol. II -)

  • 장진성;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1
    • /
    • 2004
  • T. Nakai는 1911년 Flora Koreana vol. II에 러시아 식물분류학자인 V. L. Komarov의 1897년 북한 채집 표본을 120여점 인용하였다. Nakai가 언급한 북한의 지명은 약 65개로서 Komarov의 채집지명의 상당 부분에 해당된다. Nakai가 언급한 지명은 러시아발음에 근간을 두고 로마자로 표기하였는데 최근 혹은 과거 지도에서 정확한 채집지명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Flora Koreana II에 기재된 채집지명을 과거 발표된 러시아와 일본 번역서인 만주식물지와 표본레이블 등의 자료를 근간으로 Nakai가 언급한 원명과, 한자 지명, 현재 지명의 로마자표기, 위도와 경도, 출처의 페이지 등을 도표로 제시하여 정리하였다.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II): Tomijiro Uchiyama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

  • 김휘;최병희;장진성;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5
    • /
    • 2007
  • 일본인 전문식물재집자인 T. Uchiyama는 1900년과 1902년 두 번에 걸쳐 한반도의 식물채집을 실시하였다. T. Uchiyama의 수집물은 일본인으로서는 최초의 한반도 식물에 대한 채집활동의 결과로 생각되며, 당시 채집된 식물표본은 T. Nakai에 의해 Flora Koreana와 H. $L{\acute{e}}veill{\acute{e}}$ 연구 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동경대학 식물표본관에 소장된 T. Uchiyama의 채집표본과 문헌을 중심으로 당시의 채집 경로와 일정을 확인하여 채집일과 장소를 날짜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표본에 채집자에 의해 직접 기록된 자료와 Nakai에 의해 표기된 지명을 제공하였다. 문헌을 근간으로 추정된 전체 채집 표본수는 약 1.674개로 확인되나 현재 동경대학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은 200여점에 불과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표본의 2/3는 두 번째 채집인 1902년에 수집되었으며, Nakai는 이중 41개의 표본을 새로 기재한 종의 기준표본으로 사용하였다.

Miscanthus wangpicheonensis T.I. Heo & J.S. Kim (Po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 Heo, Tae-Im;Kim, Jung-Hyun;Ku, Youn-Bong;Kim, Jin-Seo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57-62
    • /
    • 2021
  • A new species, Miscanthus wangpicheonensis of section Kariyasu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from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a type specimen collected from Gyeongsangbuk-do. This new species is similar to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and M. longiberbis (Hack.) Nakai. The characters which distinguish the above two species are short leaves and racemes, callus hairs 1-1.5-times longer than spikelet, and well-developed awns of spikelet. The specific epithet, "wangpicheonensis", is based on the name of the locality where the new species is found. We assume this new species originated from the hybridization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and M. longiberbis (Hack.) Nakai. Miscanthus wangpicheonensis is found in only one locality in Uljin-gun,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 Urbain Faurie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 with respect to U. Faurie -)

  • 장진성;최병희;김휘;이지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6
    • /
    • 2004
  • 프랑스 신부인 Faurie는 1901년, 1906년, 1907년 등 3회에 걸쳐 한반도의 부산, 서울, 인천, 남포, 평양, 원산, 강원도 금강산, 제주도 등을 돌면서 많은 종의 표본을 채집하였는데 당시 채집된 많은 표본들은 T. Nakai, H. L$\acute{e}$veill$\acute{e}$의 주요 연구 표본으로 인용되었으나, 표본에 기재된 로마자 지명은 현재의 지명과 비교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조사에서는 문헌에 기재된 Faurie의 표본을 근거로 당시에 기록된 지명을 현재지명으로 표시하고, 문헌과 표본을 근거로 한반도에서의 Faurie의 채집행적을 날짜순으로 정리하였다.

한국산 상사화속(Lycoris, 수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Lycoris (Amaryllidaceae))

  • 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26
    • /
    • 2004
  • 한국산 상사화속 식물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여 5종 2변종으로 재정리하였다. 이중 한국 특산식물은 진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 붉노랑강상사화, 제주상사화, 백양꽃 5종이다. 또한 위도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제주상사화는 acrocentric 염색체를 가진 식물과 metacentric과 telocentric 염색체를 가진 식물간의 자연교잡을 통해 형성된 교잡종임을 지지해 주고 있다. 붉노랑상사화의 holotype 표본으로 "M. Kim, Aug. 20, 1987"표본을 새로이 지정하고 재명명하였다. 위도상사화는 붉노랑상사화와 뚜렷이 구별되어 종으로 승격하고 재명명하였다. 정확한 종동정을 위해 검색표와 각 분류군의 기재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