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pac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엽층리가 발달된 규조토성 규질이암의 강화제에 의한 광물학적 특성변화 (Change in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minated Diatomaceous Siliceous Mudstone by the Treatment of Consolidants)

  • 도진영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1호
    • /
    • pp.51-64
    • /
    • 2022
  • 포항 금광동층 함식물화석층 암석의 효과적인 보존을 위하여 구성암석의 특징과 보존처리제 적용을 인공풍화시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화석지 구성암석은 규조토성 규질이암으로 팽윤성 광물인 스멕타이트를 약간 함유하고 있으며, 엽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화석지 암석은 물과 반응 후 팽윤성 광물의 d001 층간간격이 증가하였다. 에틸실리케이트 암석강화제를 적용한 후 시편의 경도는 향상되었으나 팽윤성 광물의 층간간격은 감소하였다. 팽윤저지제를 선처리한 후 강화제를 처리하였을 때 광물 층간간격의 변화는 강화제만을 처리하였을 때와 유사하여 팽윤저지제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보존약품이 처리된 암석에 수분이 닿았을 경우, 강화제 또는 팽윤저지제를 선처리한 후 강화제를 처리한 암석 모두 엽층리 간격이 확대되었으나, 습기만 접했을 때는 변화가 적었다. 또한 보존처리 후 노천에 그대로 위치하여 풍화를 받게 되면, 약품이 처리되지 않은 암석에 비해 약간 느리게 발생하기는 하지만,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엽층리면의 분리와 암석의 분말화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화석지 암석의 원활한 보존을 위해서는 보존약품의 처리가 필요하나, 강우를 접하고 동결융해과정을 거치면 그 효과는 매우 빠른 시간에 소멸되기 때문에 약품처리에 상관없이 암석에 직접적인 강우의 접촉을 막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엇갈림 관군에서 원관 주위의 열전달에 미치는 파울링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Fouling Effect on the Heat Transfer Around a Tube in Staggered Tube Banks)

  • 김민수;백병준;박복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11호
    • /
    • pp.1478-1485
    • /
    • 2000
  •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forced convec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6 circular cylinders in staggered arrangement in a cross flow of air. The water scale deposited on condenser wall of power plan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ughness of scaled surfaces. The relative roughness*average diameter of scale/cylinder diameter) was in a range of k/d=0.0066, 0.0111, 0.0167, 0.0222 and 0.0278. The cylinder spacings(L/d) varies from 1.5 to 4.0 where L denote the cylinder spacings along and normal to the upstream uniform flow direction. The Reynolds number was varied in a range of 10, 000$\leq$ Re $\leq$ 50,000. The local and mean Nusselt number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scale roughness, the cylinder spacing and Reynolds number.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lean cylinder and inline tube bank, subsequently the mean fouling resistanc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was estimated from those results as a function of scale roughness, the cylinder spacing and Reynolds number.

황기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수확년차별(收穫年次別)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Root Yield at Different Harvesting Year in Astragalus membranceus)

  • 서정식;김기식;소호섭;박승희;손서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0-145
    • /
    • 1995
  • 황기의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수확년차별(收穫年次別)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정선(旅善) 지방(雄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 ,휴간(畦間) 30, 40cm ,주간거리(株間距離) 5, 10, 15, 20cm로 파종(播種)하여 3년간(年間)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생(年生)의 경우 출아기(出芽期), 개화기(開花期), 경장(莖長), 마디수는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 대차 없었으며 분지수(分支數), 근장(根長), 근경(根莖), 근중(根重) 등(等)의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넓을수록 많았으나 건근수량(乾根收量)은 밀식조건(密植條件)인 $30{\time}5cm$(67주(株)$/m^2)$에서 211.8kg/10a 으로 가장 높았다. 2. 2년생(年生)의 경우 분지수(分支數), 마디수 등(等)의 지상부(地上部) 생육량(生育量)과 근경(根莖), 근경(根莖), 근중(根重) 등(等)의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넓을수록 많은 경향(傾向)이었으나, 수확주률(收穫株率)에 있어서는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좁을수록 낮았으며, 건근수량(乾根收量)은 수확주률(收穫株率)이 높고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량이 많았던 $40{\time}10cm$(25주(株)$/m^2)$가 292kg/1ha으로 가장 많았다. 3. 3년생(年生)에 있어서는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생육상황(生育狀況)은 2년생(年生과)과 비슷한 경향(傾向)이었고 건근수량(乾根收量)도 2년생(年生)과 같은 평방미터 당(當) 25주(株)인 $40{\time}10cm$에서 623kg/10a 으로 가장 높았다.

  • PDF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수경재배한 Common Ice Plant의 재식밀도-생육-수확 도표 개발 (Development of a Planting Density-Growth-Harvest Chart for Common Ice Plant Hydroponically Grown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박경섭;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6-110
    • /
    • 2016
  • 식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수확시기, 상품률과 상품수량과 같은 생육과 수확 요인들을 쉽게 읽을 수 있는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기 위함이다. 광도 $140{\mu}mol{\cdot}m^{-2}{\cdot}s^{-1}$과 일장 12시간 주기로, 3파장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박막수경 재배하였다. 4가지 재식밀도($15{\times}10cm$, $15{\times}15cm$, $15{\times}20cm$, and $15{\times}25cm$) 하에서 생육과 수량을 분석하였다.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어느 한계까지는 식물체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단위면적당 생체중인 수량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과 lost time은 2차 등식 형태를 보였으며,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등식을 이용하여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면, $15{\times}20cm$ 재식밀도와 식물체당 생체 중 100g에서 수확할 경우, 재식주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 식물체당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은 각각 $33plants/m^2$, $20g{\cdot}m^{-2}{\cdot}d^{-1}$, $0.27g{\cdot}g^{-1}{\cdot}d^{-1}$, 22days, 2.5g/plant, 정식 후 26일과 $3.2kg{\cdot}m^{-2}$이었다. 이 도표를 가지고 적어도 2가지 요인 예를 들면, 재식밀도와 수확요인 중 하나만 알면,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과 같은 생육 요인과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과 같은 수확 요인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표는 다양한 작물의 생육과 수량 요인을 예측할 수 있어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 설계를 위해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방글라데시 경사지 산림토양의 경제적 이용을 위한 생강 재배기술 개발 (Ginger Cultivation Under Multipurpose Tree Species in the Hill Forest)

  • Aslam Ali, M.;Jamaluddin, M.;Mujibur Rahman, G.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8-221
    • /
    • 2005
  • 본 연구는 임산자원과 유실 수자원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Chittagong 지역 경사지 산림토양에서 경제작물인 생강의 재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강의 적정 재식거리를 산정하기위해 총 4개 처리구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T1: 100% 채광이 가능한 나대지 (open field), T2: Gamar tree (꾸지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로 생강재배, T3: Guava tree (구아바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180{\times}180cm$로 생강을 재배하였다. 각 처리구는 3반복으로 난괴법에의해 임의배치되었다. 생강의 외관적 생육특성을 비교구 T1과 비교 할 때 Gamar 나무와 Guava 나무하에서 재배된 T2와 T3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생강뿌리 무게는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Guava 나무가 재배되고 비교적 재식거리가 크고 ($180{\times}180cm$) 부분적으로 그늘이 형성된 T3 처리구에서 생강수량은 $23.6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Gamar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으로 밀식 재배되어 채광이 차단된 조건에서 재배된 T2 처리구의 생강수량은 $15.64Mg\;ha^{-1}$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생강은 100% 채광조건이나 채광이 완전히 차단된 조건보다는 부분적 차광이 가능한 수종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Pest Management in Sericulture

  • Singh, R.N.;Saratchandra, Bee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141-151
    • /
    • 2002
  • The success of sericulture industry in India is mainly attributed to the well-planned annual sericultural activity and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pest preventive and control measures. The insect spectrum of silkworm and its food plants is complex and plays a major role in limiting the production of silk. Insects cause extensive damage to plant whereas predators and parasites either kill the silkworm larvae or force them to spin flimsy cocoons. Unilateral control measure against this pest is mainly based on the use of synthetic organic insecticides. Though these approaches initially paid rich dividends, the undesirable consequences soon surfaced. Insecticide induced resurgence of gall midges, leafhopper, leaf roller, secondary pest out breaks and development of pest biotypes has led to realiz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sericulture. Various components of IPM, viz. Host plant resistance, cultural practices, biological control, chemical control and integrating them at various technological levels have been studied. Sources of host plant resistance have been identified for some of the major insect pests. High yielding mulberry variety has been propagated and their resistances towards major pests have been recorded. Cultural practices like pruning, pollarding, judicious use of nitrogen, optimum spacing and weed management have preyed to be the powerful tools in containing pests. Natural control over the pest population build- up exerted by the wide range of parasitoids, predators and pathogens has been well documented with identification of natural enemies and studies on their potential. Augmentation, through inoculation or inundative releases of parasitic arthropods, is the most direct way of increasing the numbers of these beneficials in sericulture.

원전 배관의 결함 평가를 위한 해석 (Analysis for Defect Evaluation of Pipes in Nuclear Power Plant)

  • 이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21-3126
    • /
    • 2013
  • 원전 배관의 건전성평가는 원자로 안전을 위해 중요하며 결함발견 시 반드시 건전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균열을 갖는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응력확대계수 해석과 균열성장속도는 파괴강도와 피로수명을 평가하는데 필요로 한다. 피로설계와 수명평가는 배관, 산업공장장비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계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응력확대계수를 이용한 균열간의 상호 간섭해석은 유한요소법으로 구하였다. 내압을 받는 원통형구조물의 경우 표면균열의 인접점에서 간섭이 가장 크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하중 균열에 대해서는 균열 성장평가와 더불어 피로하중에 의한 균열진전을 예측하기 위한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대두와 일년생잡초와의 경합에 관한 연구 III. 대두의 품종과 재식거리의 차이가 대두와 잡초와의 경합에 미치는 영향 (Competitive Effects of Annual Weeds on Soybeans III. Effect of Plant Spacing and Soybean Cultivars on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ybeans and Weeds)

  • 변종영;김영래;김칠현;강재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3-88
    • /
    • 1979
  • 콩품종 동북태, 수원 8003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콩의 재식거리 60$\times$15cm나 45$\times$20cm에 파종하고 3주 간격으로 제초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콩과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illiams의 CGR과 LAI는 동북태와 수원 8003보다 적으며 잡초경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도 현저하였다. 2. 잡초경합에 의하여 Williams 품종은 동북태, 수원 8003와 비교하여 분지수, 협수 및 1000입종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3. 콩의 수량은 재식거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동북태와 수원 8003는 45 $\times$20cm에서 그리고 Williams는 60 $\times$15cm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콩수량은 잡초방임구에서 동북태는 14.8%, 수원8003는 11.9% 감소되었으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였던 Williams는 25.5% 감소되었다.

  • PDF

미니수박의 재배유형과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과실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Mini Watermelon in Different Cultivation Types and Plant Spacings)

  • 정택구;노솔지;한종우;김영상;김익제;김태일;홍성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4
    • /
    • 2018
  • 최근 1인 가족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미니수박에 대한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미니수박에 대한 표준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재배유형에 따른 재식거리가 미니수박의 생육, 수량성, 과실특성과 라이코펜 및 당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식 30일 및 90일후 생육은 재배유형별로 재식거리가 클수록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수확기의 후기생육은 포복형 재배보다는 아치형이나 ${\cap}$자형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주당 착과수는 재배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단위면적당 수량은 밀식재배가 가능한 ${\cap}$자형이 아치형과 포복형에 비해 50% 이상 높았으며, 당도가 다소 증가하였다. 'Minimi'의 과실당 종자수는 대과종인 '삼복꿀'과 비슷하였으나, 종자 100립중은 '삼복꿀'의 1/3크기로 작았다. 라이코펜 함량은 '삼복꿀'보다 'Minimi'에서 30% 이상 높았고, 당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미니수박의 재배방식은 ${\cap}$자형 지주재배가 포복재배나 아치형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과 품질이 높았으며, 재식거리는 $120{\times}40cm$에서 수광량, 생육, 수량 및 품질 등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배양액, 광도 및 재식거리에 따른 Common Ice Plant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on Nutrient Solution,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istance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박경섭;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9-94
    • /
    • 2016
  •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 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mu}mol{\cdot}m^{-2}{\cdot}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cdot}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mu}mol{\cdot}m^{-2}{\cdot}s^{-1}$에서 높았다. 재식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mu}mol{\cdot}m^{-2}{\cdot}s^{-1}$와 재식밀도 $15{\times}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