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pac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혼반용 대두(풋콩)의 답전작재배에 관한 연구 (제3보) (Studies on the cultivation preceding crop of paddy-field of green vegetable(soybean for cook with rice) by short-day treatment)

  • 김기준;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31-36
    • /
    • 1972
  • 조춘 저온기에 혼반용대두(풋콩)을 조기재배하는 경우 다수가능한 재식거리 및 질소질비료 시비적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상내에서 단일처리(1일 11시간)를 하고 오개수준의 재식거리 및 4개수준의 질소시비량(각 구 공히 인산과 가리는 표준시비량 시용)을 조합 적용하였다. 품종은 조생종인 북해일호를 공시하였으며 그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주당 협수, 입수, 및 분지수를 많이 착생시키기 위해서는 재식거리를 50cm$\times$10cm 및 30cm$\times$20cm 등 비교적 넓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나 단위면적당 꼬투리 및 알맹이의 증수를 위해서는 오히려 평당주수가 월등히 많은 50cm$\times$5cm 및 30cm$\times$10cm 등 재식거리를 좁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2) 단위면적당 꼬투리 및 알맹이의 다수를 위한 질소질비료의 시비적량은 표준시비량만으로 충분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 PDF

Effects of Increased UV-B upon the Canopy's Structure of Wheat in China

  • Zheng, Youfei;He, Yuhong;Yang, Yuanyan;Li, Zhanqi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166-169
    • /
    • 2002
  • This paper is a part of the research into effects of increased UV-B (Ultraviolet-B, 280-320nm) upon the ecosystem of field wheat. Based on a 3-year project with intensified UV-B influencing the crop, observation and calculation were made of such factors and parameters as the morphology of a single wheat plant including its leaf area, leaf base angle and proportion of spacing between joi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hanced UV-B signifantly decreased wheat's SSLA, and the increased percentage of the lower LAI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in leaf base angle and proportion of spacing between joints.

  • PDF

결명자(決明子)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Cassia obtusifolia. L.)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이승택;박종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1
    • /
    • 1997
  • 결명자(決明子)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와 손파종(播種)을 비교(比較)하여 성력효과(省力效果)를 보고 조(條), 주간(株間)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시험(試驗)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播種量)은 손파종구(播種區)에 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의 주간거리(株間距離) 20 및 25cm 처리(處理)에서 적었다. 2. 파종(播種)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 $60{\times}20cm$ 처리(處理)에서 손파종(播種)보다 ha당(當) 121시간(時間) 절약(節約) 되어 효율적(效率的)이었다. 3. 립모수(粒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 차이(差異)에 따라 그 밀도(密度)가 넓어질수록 적었고, 경장(莖長)은 년도(年度)에 따라 다르며, 주간(條間)이 넓어짐에 따라 다소(多少)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립중(粒重)은 조간(條間), 주간(株間)이 넓은 소식(疎植)에서 증가(增加)되었다. 4. 수량(收量)은 조간(條間) 60cm 주간(株間) 20c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다. 5. 적산온도(積算溫度)는 경장(莖長),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강수량(降水量)은 그들 형질(形質)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6. $m^2$당(當) 립모수(粒毛數)는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및 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량(收量)은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Measurement System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istribution and Illumination Efficiency of LED Lamps for Plant Growth

  • Lee, Jae Su;Kim, Yong Hye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5호
    • /
    • pp.314-31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asurement system for determining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distribution and illumination efficiency of LED lamps. Methods: The system was composed of a linear moving sensor part (LMSP), a rotating part to turn the LMSP, a body assembly to support the rotating part, and a motor controller. The average PPF of the LED lamp with natural cooling and water cooling was evaluated using the measurement system. Results: The PPF of LED lamp with water cooling was 3.1-31.7% greater than that with natural cooling. Based on the measured value, PPF on the horizontal surface was predicted. Illumination efficiency of the LED lamp was slightly increased with water cooling by 3.4%, compared with natural cooling. A simulation program using MATLAB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vertical distance from lighting sources to growing bed, lamp spacing, and number of LED lamps, on the PPF distribution on the horizontal surface. The uniformity of the PPF distribution of the LED lamps was fairly improved with 15 cm spacing, as compared to the 5 cm spacing. By simulation, PPF of $217.0{\pm}27.9{\mu}mol{\cdot}m^{-2}{\cdot}s^{-1}$ was obtained at the vertical distance of 40 cm from six LED lamps with 12 cm spacing. This simulated PPF was compared to the measured one of $225.9{\pm}25.6{\mu}mol{\cdot}m^{-2}{\cdot}s^{-1}$. After continuous lighting of 346 days, the relative PPF of LED lamps with water cooling and natural cooling was decreased by 6.6% and 22.8%, respectively.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ful for determining PPF and illumination efficiency of artificial lighting sources including LED lamp.

Pilot Plant를 이용한 600 MPa급 내진용 철근들의 제조,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비교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600 MPa-Grade Seismic Resistant Reinforced Steel Bars Fabricated by a Pilot Plant)

  • 홍태운;황병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49-355
    • /
    • 2019
  • This study deals with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600 MPa-grade seismic reinforced steel bars fabricated by a pilot plant. The steel bar specimens are composed of a fully ferrite-pearlite structure because they were air-cooled after hot-rolling. The volume fraction and interlamellar spacing of the pearlite and the ferrite grain size decrease from the center region to the surface region because the surface region is more rapidly cooled than the center region. The A steel bar specimenwith a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generally has a higher pearlite volume fraction and interlamellar spacing of pearlite and a finer ferrite grain size because increasing the carbon content promotes the formation of pearlite. As a result, the A steel bar specimen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B steel bar in all the regions. The hardness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from the center region to the surface region due to the decreased pearlite volume fraction.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to-yield strength ratio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A steel bar specimen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B steel bar with a relatively low carbon content because a higher pearlite volume fraction enhances work hardening. In addition, the B steel bar specimen has higher uniform and total elongations because a lower pearlite volume fraction facilitates plastic deformation caused by dislocation slip.

품종과 재식밀도가 알팔파의 형태, 월동 및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y and Stand Density on Plant Morphology, Winter Survival, and Cold Hardiness of Alfalfa)

  • 민두홍;;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6
    • /
    • 1999
  • 본 연구는 알팔파의 품종과 재식밀도가 식물의 형태, 월동 및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주구는 알팔파 품종('Vernal'과 'Algonquin')과, 세구는 재식밀도(16, 45, 100, 278과 $494plants/m^{-2}$)로 분할구 배치법으로 캐나다 앨버타주의 애드먼톤에서 수행되었다. 식물 지상부의 형태는 재식밀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 개체당 줄기수, 줄기당 무게, 개체당 무게, 그리고 줄기의 직경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월동률은 식물 개체수가 45개 이하에서 100%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식물 재식밀도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월동률을 보였다. 뿌리에 있는 비구조 저장탄수화물(TNC)의 양은 식물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가장 낮은 LT50은 25cm의 식물간격을 지닌 개체 수가 16개인 처리구와, 가장 높은 LT50은 4.5cm의 식물간격을 지닌 개체 수가 494개인 처리구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그러나 알팔파 Vernal과 Algonquin 두 품종간 식물형태, 월동률 및 내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높은 재식밀도 즉, 평방미터당 식물개체 수가 278개 이상인 처리구는 낮은 재식밀도에 비해 알팔파의 월동률과 내한성에 있어서 전혀 유리한 점이 없었다.

  • PDF

자소(紫蘇)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박희진;김상곤;정동희;권병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5-139
    • /
    • 1995
  • 전남(全南) 무안에서 1985년 4월부터 1986년 10월까지 2년간 4월 20일에 파종(播種), 5월 30일에 재식밀도(栽植密度)를 달리하여 이식(移植)하였을때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穗期)와 개화기(開花期)는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차(差)에 관계없이 8월 $14{\sim}15$일에 출수(出穗)하여 8월 19일${\sim}21$일에 개화(開花)하였으나 경장(莖長)은 $70{\time}40cm$의 재식밀도(栽植密度)에서 135cm로 가장 길었고 $80{\time}40cm$의 재식밀도(栽植密度)에서는 134cm로 1cm 정도 짧았다. 2. 생경엽중(生莖葉重)과 생자실중(生子實重)은 $80{\time}40m$의 재식밀도(栽植密度)에서 531kg/10a로 수량(收量)이 가장 높았다. 3. 경장(莖長)과 생엽경중(生葉莖重), 경장(莖長)과 생자실중(生子實重), 생엽경중(生葉莖重)과 생자실중(生子實重) 간(間)에는 $0.731^*,\;0.9024^{**},\;0.7425^*$로 정(正)의 상관(相關)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4. 휴폭(畦幅)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에서 경장(莖長)의 분산(分散)은 $55.67^{**}$, 생엽경중(生葉莖重)의 분산(分散)은 $268.50^*$, 생자실중(生子實重)의 분산(分散)은 $16.00^*$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고 주간(株間)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에서 경장(莖長)의 분산(分散)은 $54.21^*$, 생경엽중(生莖葉重)의 분산(分散)은 $2,582.00^{**}$, 생자실중(生子實重)의 분산(分散)은 $48.00^{**}$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따라서 자소재배(紫蘇栽培)의 적정 재식밀도(栽植密度)는 휴폭(畦幅) $80cm{\time}$매간(妹間) 40cm이었다.

  • PDF

직립형 팥의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Wide-Row Drill Seeding of Upright Type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Ohashi))

  • 정기열;최영대;전현정;이상훈;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78-383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기계화 수확에 적합한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경장은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아라리' 품종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홍언' 품종에서는 대체적으로 짧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경태와 분지수에서는 두 품종 모두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가늘어지거나 적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2. 착협고는 재식거리가 짧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홍언'에서는 $30{\times}10cm$ 처리구에서 5.0 cm로, '아라리'에서는 $30{\times}10cm$$50{\times}10cm$ 처리구에서 8.8 cm로 가장 높았다. 3.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는 두 품종 모두 재식거리가 길어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백립중에서는 '홍언'에서는 재식밀도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아라리' 에서는 재식밀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수량성은 조간거리 40cm${\times}$주간거리 15 cm 처리구에서 두 품종 모두 (285, $374kg{\cdot}10a^{-1}$)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