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propagation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22초

차광조건이 는쟁이냉이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hading on Early Growth of Cardamine komarovii Nakai)

  • 김도현;김상근;송치현;임현정;최규성;오범석;김양수;송기선;원창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0
    • /
    • 2019
  • 는쟁이냉이는 전국 각지 산지의 응달이나 물가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3월 경 눈을 뚫고나와 가장 이른 봄나물로 식용하기도 한다. 특유의 매운 맛이 있어 식용작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식물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는쟁이냉이 재배기술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차광에 따른 는쟁이냉이 생육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경북 봉화군 소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양묘장 노지에 무차광, 40% 차광, 55%차광, 65%차광 처리구를 배치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육특성의 비교를 위해 초장, 초폭, 엽 수,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 SPAD 값 총 7가지 항목에 대해 생장기(6월), 휴면기(9월) 두 차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모든 측정값이 차광구가 무차광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차광구는 6월 조사 이후, 7월 말까지 생장량이 줄어들다가 전량 지상부 고사가 발생하여 는쟁이냉이 재배를 위해서는 차광처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항목 중 초장, 초폭,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는 차광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엽록소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SPAD 값은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고 55%차광구, 65%차광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엽 수도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볼 때, 는쟁이냉이 재배 시 55% 이상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자체의 크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40% 수준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수와 혁질의 잎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본 실험은 는쟁이냉이 재배 생산량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였고 상품화를 위해서는 품질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참삿갓사초 발아 특성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jaluensis Kom. Native to Korea)

  • 김도현;김상근;송치현;임현정;최규성;오범석;김양수;송기선;원창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4
    • /
    • 2019
  • 참삿갓사초는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사료용, 사방용 소재로 사용되며 조경용, 관상용 지피식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삿갓사초의 대량증식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하기 위해 생장상을 이용해 인공적인 온도조건을 주고 참삿갓사초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온도를 항온조건(30, 25, 20, 15, $5^{\circ}C$)과 변온조건(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명/암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다.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20^{\circ}C$$17{\pm}7%$로 가장 우수하였고, $25^{\circ}C$ ($12{\pm}2.8%$), $30^{\circ}C$ ($3{\pm}1.9%$)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20^{\circ}C$$25^{\circ}C$조건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발생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15/30^{\circ}C$$91{\pm}3.8%$로 가장 우수하였고, $25/15^{\circ}C$ ($89{\pm}4.1%$), $20/10^{\circ}C$ ($69{\pm}3.4%$)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30^{\circ}C$$25/15^{\circ}C$조건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참삿갓사초의 종자발아를 위해서는 변온이 필요하며, $25^{\circ}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밤 $10^{\circ}C$ 이상의 기온차가 있는 초여름~늦여름 사이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진퍼리사초 발아 특성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arenicola F.Schmidt Native to Korea)

  • 김도현;김상근;송치현;임현정;최규성;오범석;김양수;송기선;원창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19
  • 진퍼리사초는 한반도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군락 자생지는 강원도 동해안 석호 주변 모래땅 1곳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퍼리사초 현지외보전을 위한 대량증식 연구의 일환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의 최적 발아조건을 찾기 위해 배양상 온도조건을 항온(30, 25, 20, 15, $5^{\circ}C$)과 변온(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명/암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발아실험실의 생장상에서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30^{\circ}C$에서 $39{\pm}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circ}C$ ($28{\pm}4.3%$), $25^{\circ}C$ ($24{\pm}3.7%$)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25/15^{\circ}C$에서 $60{\pm}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5/30^{\circ}C$ ($43{\pm}4.1%$), $20/10^{\circ}C$ ($26{\pm}3.8%$)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퍼리사초의 종자 발아는 항온보다 변온에서 잘 이루어졌으며, $25^{\circ}C$이상의 온도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 기온이 평균 $25^{\circ}C$이상이며, 일교차가 $10^{\circ}C$ 정도인 초여름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층실사초 발아 특성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remotiuscula Wahlenb. Native to Korea)

  • 김도현;김상근;송치현;임현정;최규성;오범석;김양수;송기선;원창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19
  • 층실사초는 경북 북부를 포함한 강원도 지역의 습기있는 음지에서 자생한다.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료 사료용으로 사용되며 지피식물 등 정원소재로도 사용된다. 본 연구는 층실사초의 대량증식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의 최적 발아조건을 찾기 위해 배양상 온도조건을 항온조건(30, 25, 20, 15, $5^{\circ}C$)과 변온조건(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형광등을 이용한 명조건과 암조건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다. 실험결과,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25^{\circ}C$에서 $36{\pm}6.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circ}C$ ($27{\pm}4.4%$), $30^{\circ}C$ ($24{\pm}1.6%$)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25/15^{\circ}C$에서 $22{\pm}7.3%$, $15/30^{\circ}C$에서 $10{\pm}2.5%$ 발아하였고, $20/10^{\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층실사초 종자의 발아최적온도는 $25^{\circ}C$이고 변온보다 항온이 유리했으며, 이 이상의 온도에서는 오히려 발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 기온 $25^{\circ}C$의 초여름에 실시하되, 밤 기온이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해준다면 보다 높은 발아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최고 발아율이 $36{\pm}6.3%$로 비교적 낮기 때문에 발아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

In Vitro Propagation of Commonly Used Medicinal Trees in Korea

  • An, Chan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272-280
    • /
    • 2019
  • Forest medicinal resources, which constitute one of the non-timber forest products, have been regarded as healthy and highly valued product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medicin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plants. In vitro propagation not only allows an opportunity for propagating plants in large numbers but also allows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desired functional component of a plant by altering the growth factors, such as medium, carbon sourc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influence plan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f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such as axillary bud culture, shooting, and embryogenesis, on Kalopanax septemlobu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Hovenia dulcis, and Schisandra chinensis in Korea between from 2000 through 2010. Furthermor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proliferate callus and plantlets for producing useful natural compounds by using bioreactors. Here, we provide an account of the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trees in Korea based on a review of several micropropagation studies.

Effective in Vitro Propagation by Bulb Scale Segments Culture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 Ko Jeong-Ae;Choi Jeong-Ran;Xudong He;Kim Hyun-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2-435
    • /
    • 2006
  • A rapid and mass propagation method for multiple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bulb scale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were developed. In vitro different parts of bulb scale as explants were cultured on 11 kinds of MS (1962)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to induce shoot and callus. A combination of 2.0 mg/L 6-BA and 2.0 mg/L IBA on MS medium was the most favorable and induced the highest production (80%) of shoot formation after 30 days. We also found that the middle part of bulb scale was the best for mass propag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of which production could reach 64.4%.

In vitro Plant Propagation: A Review

  • Kumar, Nitish;Reddy, M.P.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2호
    • /
    • pp.61-72
    • /
    • 2011
  • Micropropagation is an alternative mean of propagation that can be employed in mass multiplication of plants in relatively shorter time. Recent modern techniques of propagation have been developed which could facilitate large scale production of true-to-type plants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pecies using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in the next century. An overview on the in vitro propagation via meristem culture,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and somatic embryogenesis is presented. The usefulness of the plants in commercial industry as well as propagation techniques, screening for various usefu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in the multiplication, rooting and acclimatization phases on the growth of tissue cultured plant discussed.

Plant Regeneration through Micropropagation from Nodal Explants of Critically Endangered and Endemic Plant Exacum travancoricum Bedd

  • Elangomathavan R.;Prakash S.;Kathiravan K.;Seshadri S.;Ignacimuthu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51-55
    • /
    • 2006
  • A rapid micropropagation protocol was established for Exacum travancoricum Bedd. The effect of two cytokinins viz. BA and kinetin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propagation of plants through nodal explant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3.32 ${\mu}M$ BA induced early bud break and subsequent production of multiple shoots. Rooting of shoots occurred when cultured on 1/2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4.7 ${\mu}M$ IBA. Rooted plants were acclimatized to greenhouse conditions. The propagated plants were transferred successfully to field with 65% success. As the plant was amenable to propagation in vitro, this can be employed as a tool for conservation of this critically endangered and endemic ornamental herb.

Conservation of Swertia chirata through direct shoot multiplication from leaf explants

  • Chaudhuri, Rituparna Kundu;Pal, Amita;Jha, Timir Baran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3호
    • /
    • pp.213-218
    • /
    • 2008
  • Swertia chirata is an endangered gentian species that prefers to grow at higher altitudes. This ethnomedicinal herb is known primarily for its bitter taste caused by the presence of important phytochemicals that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human health benefits. Due to a continuous loss of habitat and inherent problems of seed viability and seed germination, alternative strategies for propagation and conservation are urgently required to prevent the possible extinction of this species. We have formulated a reproducible protocol for the rapid propagation and conservation of this plant using leaves taken from in vitro shoot cultures. Direct induction of more than seven shoot buds per explant was achiev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explants were plac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22{\mu}M$ N-6-benzyladenine, $11.6{\mu}M$ kinetin, and $0.5{\mu}M$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Direct organogenesis was noted exclusively from the adaxial surface of the basal segments of leaves. Leaves closer to the apical meristem were more responsive than those farther away from the meristem. Plants raised through direct organogenesis were evaluated for their clonal fidelity by chromosomal analysis and DNA fingerprinting. Complete plants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field condition and produced viable seeds. Given the enormous potential of this age-old medicinal plant in terms of potential health-benefitting drugs, this protocol can be used for commercial propagation purposes and to initiate future genetic improvement studies.

In Vitro Propagation of Medicinal Herbs in Korea

  • An, Chanhoon;Song, Jeongh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77-81
    • /
    • 2018
  • Mass production of forest medicinal plants is related to quality control of raw medicinal materials. Plant tissue culture is an important technology to produce high-quality plant materials. Numerous factors are reported to influence the success of in vitro regeneration of medicinal plants. Embryogenesis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and it has developed in some medicinal plant species. Various in vitro cultural condition for direct and/or indirect somatic embryogenesis systems have developed in Epimedium koreaum, Bupleurum falcatum, Paeonia lactiflora, Chrysanthemum zawadskii, Houttuynia cordata etc.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present statue and information of in vitro propagation techniques that is able to apply as an efficient system for rootstock propagation system of forest medicinal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