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kton communitie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A Brief Review of Approaches Using Planktonic Organisms to Assess Marine Ecosystem Health)

  • 김영옥;최현우;장민철;장풍국;이원제;신경순;장만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27-337
    • /
    • 2007
  • Plankton communities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water columns. Thus, the use of plankton as a biological tool for assessing the marine ecosystem health may be effective. Major issue regarding coastal pollution has been usually recognized as phytoplankton blooms or red tides caused by the eutrophication,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overall pollution on marine ecosystem, the organic pollutants as well as the inorganic nutrients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organic pollution, among the planktonic organisms, heterotrophic bacteria, heterotrophic flagellates and ciliates should be investigated. Generally, there are three approaches for assessing the marine ecosystem health using the plankton taxa or plankton communities. The first one is a community-based approach such as diversity index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hich are common in analysis of the plankton communities. The second is an indiviual-based approach which is to monitor the pollution indicative species. This approach needs one's ability to identify the plankton to species level. The last approach is a bioassay of toxicit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lankton. A pilot study in Masan Ba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norganic and organic pollution. In this article, a new approach using plankton communities was tentatively presented as a biological tool for assessing the ecosystem health of Masan Bay.

플랑크톤 패러독스 (The Paradox of the Plankton)

  • 이학영;문성기;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1-606
    • /
    • 2015
  • 허친슨(Hutchinson)은 동질성이 있고 잘 혼합된 환경에서는 경쟁배타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어 많은 종이 공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플랑크톤 군집에서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일부 자원만 공유하면 경쟁배타의 원리가 작용하여 일부 종만이 공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자연 집단에서 수많은 경쟁관계에 있는 종이 공존하는데 이를 플랑크톤 패러독스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 이 역설에 대한 수많은 견해 중 일부를 소개하였는데 Roy와 Chattopadhyay의 견해를 독성 생성 견해를 포함한 그들의 견해에 따라 기술되었다. 제시된 기작 중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에서 공간적, 시간적 이질성, 외부에서 부과되거나 자기-발생적 공간적 분리, 불완전한 수직 혼합층, 수평적 중간 규모의 소용돌이, 플랑크톤 간 자원경쟁에 의한 동요와 무질서, 자원경쟁에서 변동성 온도에서 안정된 공존과 상보적 역동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플랑크톤과 그 패러독스 연구를 수행하는데 정보가 제공되어 도움이 될 것이다.

부영양호의 enclosure내에서 어류의 밀도조절이 수질 및 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ing and Removal of Silver Carp on Plankton Communities in a Shallowhypertrophic Lake)

  • 최민규;황수옥;;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58-365
    • /
    • 2000
  • 백련어의 도입 및 제거가 부영양호의 수중생물군집과 환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물조작을 위해 호수연안에 6개의 enclosure를 설치하고, 5월 22일부터 7월 23일까지(전기), 7월 23일부터 9월 18일까지(후기) 두 가지 밀도(고, 저)의 어류를 투입 및 제거하였다. RIA(${\alpha}$=0.05)의 결과는 어류도입 및 제거가 대부분의 생물군집 및 환경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enclosure의 환경요인에 대해 어류투입은 투명도,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큰분획엽록소(>40 ${\mu}$m) 등의 감소와 질소화합물, 소형분획엽록소(<2 ${\mu}$m)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어류제거는 정반대 현상을 보였다. 한편, 수중생물군집에 있어서, 어류투입은 picocyanobacteria이나 섬모충(<20 ${\mu}$m) 같은 소형 플랑크톤의 증가가 뚜렷하였고, 어류제거에 의해 다시 유의하게 회복하였다. 그러나 크고, 군체를 형성하거나 긴 사상체 남조나 규조등은 두 가지 어류조작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어류제거시만 Diaphanosoma, Cyclopoida, naupli 등 동물플랑크톤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실험기간 동안 강한 바람과 호수바닥으로부터 지속적인 인의 공급 등으로 인하여 결과해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어류도입 및 제거가 enclosure내 플랑크톤군집과 환경요인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옥정호의 Plankton 군집조성과 그 특징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kton Communities in Lake Ok-Jeong)

  • 송형호;수야수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3-344
    • /
    • 1982
  • 옥정호에 있어서 1년간의 Plankton 자료에 입각하여 주요종의 표와 도판을 제시하고, 또 이 호중의 우점종으로부터 판단하여 옥정호는 당영양화가 진행되었음을 나타냄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난 몇가지 종류에 대하여 분류상 및 분포상 주의할 점이 있음을 검토지적하여 둔다.

  • PDF

의암호의 식물성 Plankton 군집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nities in Uiam Lake, Korea)

  • Yim, Yang-Jai;Kyu Song Cho;Chang Nam S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2_3호
    • /
    • pp.132-135
    • /
    • 1982
  •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Uiam lake, Korea, was investigated. In the Uiam lake four dominant species were found Oscillatoria limosa at Chuncheon City side, O. tenuis at Soyang river side, Melosira italica at south-east side and Asterionella gracillima at west side of the lake.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index and dissimilarity index, the phytoplanktons in this lake were grouped into three communities; i.e. Oscillatoria, Melosira and Asterionella community. And also the same groups obtained by the cluster analysis were recognized by polar ordination technique along polluted degree gradient. It is clear that oscillatoria community occur in polluted site, Asterionella community in unpolluted site and Melosira community in less polluted site.

  • PDF

개방형 및 폐쇄형 인공해양소형생태계에서 미소생물상 및 수환경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Open Versus Closed Artificial Marine Microcosms)

  • 정승원;강돈혁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03-411
    • /
    • 2015
  • 본 연구는 외부 해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개방형 인공생태계와 해수의 유입이 없는 폐쇄형 인공생태계에서 미소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험실 내에서 100 L 크기의 인공해양소형생태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온은 폐쇄형 및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염분은 폐쇄형 생태계에서 수체의 증발에 따라 증가를 보였고 용존산소 및 용존무기질소 농도는 폐쇄형에서 감소하는 반면, 개방형에서는 초기농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존무기인 및 용존규소는 두 시스템에서 차이가 없었다. 식물플랑크톤은 폐쇄형에서 감소를 하였던 반면, 개방형에서는 증가 양상을 보였으나 Autotrophic nanoflagellates는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의 변동과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타가영양세균은 폐쇄형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와 함께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및 섬모충이 시간차를 두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는 특이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폐쇄형 인공생태계와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 미소생물상 및 환경요인들의 변화의 연구는 향후 연구자들이 인공생태계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신뢰성 있는 인공생태계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tributional Ecology Of Planktonic Diatoms In The Strait Of Georgia, B. C.

  • Shim, Jae Hy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2
    • /
    • 1977
  • In order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al ecology, an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se features, the diatom communities in plankton at depths of one, twenty-five, fifty, and seventy five meters in the area were studied and measured over a fifteen month of period. Measurements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algal nutrients such as phosphate, silicate, nitrate, and ammonia were also made at the same depths and lo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of diatom communities and the species population changes were heavily dependent upon to season and location parameters as well as nutrient concentrations and hydrographic factors. Major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distributions varied with principal species responsible for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sucession. Two distinct distributional patterns in total diatom crop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Maximum standing crop observed during spring and/or summer were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available at the onset of the spring bloom on a large scale. On a small scale,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otal diatom standing cro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season/location factors and with hydrographic parameters as well. Vertical stratification of diatoms was observed only in the presence of the thermocline in the water column. Within the study area there was some seasonal consistancy in the composition of the species groups. However, some species association in these environments may vary with the change of season.

  • PDF

서해(西海) 경기만(京幾灣) 식물(植物) 플랑크톤에 대(對)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IV. 식물(植物)플랑크톤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계절적 천이 기작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V. The Successional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 최중기;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1988
  • 경기만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천이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군집의 다양성과 우정도, 군집사이의 유사도 및 종성분에 의한 주성분 분석등이 연구되었고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알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이 이루어졌다. 다양성지수와 우정도 분석에 의하면 경기만내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큰 물리적 환경변화와 오염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환경하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수역은 군집간의 유사도 분석에 의하면 강수유입에 영향을 받는 지역, 오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 비교적 오염수의 영향을 덜 받으나 조석주기에 의해 변화가 큰 지역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춘계형, 하계형, 추계형, 추 동계형의 4계절 양상으로 뚜렷하게 변화하며 천이하였다. 춘 하 추를 대표하는 하계군집들은 주로 일반적인 식물 플랑크톤들로 구성되었으며 온도와 광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늦가을 부터 초봄까지 많이 나타나는 동계군집들은 일시 부유성 저서 규조류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유퇴적물과 영양염의 높은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 PDF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 (Plankton Community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Relation with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 서동일;남귀숙;이상협;이의행;김미리내;최종윤;김정희;장광현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62-369
    • /
    • 2013
  •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를 위해 2013년 9월과 10월에 걸쳐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생체량을 조사하고 수온, 유량, 총인, 총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의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CCA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종조성은 유량, 총인 및 총질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 유량이 낮았던 9월에는 지점별 종조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유량이 높았던 10월에는 모든 지점에서 윤충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 농도)과 COD 및 총질소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