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name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2초

Redefining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 Choi, Jihye;Lee, Jiye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1-394
    • /
    • 2018
  • An address is sub-spatial data representing a location, and identifies the place in which a resident's life is based. The Korean address system has changed from an area-based address system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n 2014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rea-based address system and to accept the international address standards. Althoug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s continually being modified and implemented it limit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and to analyze and redefine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of Korea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To understand the address, we define the components of the address system and analyze the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based on each component to derive the limit.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s redefined according to three aspects. Finally, we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through address based geocoding.

항구 가로경관의 기호학적 분석 - 영덕군 강구항을 중심으로 - (A Semiotic Study on Streetscape in Harbor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Gang-Gu Harbor of Young-Duk Gun -)

  • 이관희;윤주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41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현상을 기호의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는 기호론의 기본개념을 근거로 항구의 가로경관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항구경관의 인공적 요소들 중에서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문화현상을 전달하는 기호로 보았다. 기호학적 접근방식은 경관분석 과정에서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관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지의 가로는 영덕군 강구항의 강구리와 오포리 가로이다. 가로의 간판 문자언어를 업종에 따라서는 17개의 업종으로, 의미론적으로는 13개의 의미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된 업종으로는 음식업이 강구리가 56.3%, 오포리는 61.8%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로, 강구항 가로의 기호론적 의미는 주로 지역의 장소를 뜻하고, 사람들이 쉽게 부르고 기억하기 좋은 애칭을 뜻한다. 음식업종이 가장 많은 것은 이 지역 특산물인 영덕대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지역의 이름은 영덕대게의 상징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며, 사람들의 애칭은 판매고를 높이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기호학적 접근은 가로경관의 전부를 포괄할 수는 없지만, 항구도시의 가로경관의 골격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적 도구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강유역의 언어와 문화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Kumkang Region)

  • 도수희
    • 인문언어
    • /
    • 제8집
    • /
    • pp.223-239
    • /
    • 2006
  • This paper centers around the etymological meanings of place names of the Kumkang region, restricting the discussion to a selected group of place names which make it possible to infer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the latitudinal or longitudinal isoglosses. The legends of Komnaru and Choryongdae, for instance, derive directly from place names. Dialectal distribution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phonological features that are not very different between upper and lower reaches of the Kumkang river. The dialects get much more similar as they go further down to the lower region of the river. The original "Komanara(熊津)", also called "Northern Headland(北津)", underwent the sound change of Komannaru > Komkang > Kumkang(錦江), the last being alternatively abbreviated as Kum(錦). During the last half of the 14th century-around the close of the Koryo dynasty, that is-a literary work gave the beautified name "Nakhwa-am"(落花巖), meaning 'rock-bluff of falling flowers', to what was originally called Tasa-am(墮死岩), so-called because, in the year of 660 when the Paekje dynasty was being ravaged by the invading enemy, a number of court-ladies ended their lives by plunging into the river from there. It was 'a number of court-ladies'(諸後宮) who died; but by tradition of popular songs, the number has become "three thousand" - a case of hyperbole of course.

  • PDF

한국 곤충 국명 속에 나타난 혐오 표현과 일본어 잔재 (Hate Speech and Usage of Japanese in Korean Insect Common Name)

  • 강승호;김삼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5-165
    • /
    • 2021
  • 우리나라의 생물상 52,628종의 35.4%를 차지하는 곤충 18,638종의 국명 유형을 크게 11개(색깔, 크기, 모양, 식물, 위치, 생태, 외국어, 사람이름, 고유, 생리, 긍정·부정)범주로 구분하고, 그 뜻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중 인종차별, 장애 및 생김새의 차별, 지역 차별 등의 혐오표현이 사용된 유형 506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표현의 본 뜻과 함께 향후 사용할 만한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일본어 표현(일본어, 일본인 이름, 일본 지명 등)이 사용된 유형 508개에 대해 분석하여, 세부 유형을 밝히고 해당 생물종의 국명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A COMPUTATIONAL EXPLORATION OF THE CHINESE REMAINDER THEOREM

  • Olagunju, Amos O.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6권1_2호
    • /
    • pp.307-316
    • /
    • 2008
  • Real life problems can be expressed as a congruence modulus n and split into a system of congruence equations in modulus factors of n. A system of congruence equations can be combined into a congruence equ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This paper uniquely presents and critically reviews the generalized Chinese Remainder Theorem (CRT) for combining systems of congruence equations into single congruence equations. Sequential and parallel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the generic CRT are outlined. A variety of unique applications of the CRT are discussed.

  • PDF

본초학 교재에 수록된 목본약용식물의 종명(種名)의 어원연구 (Ethymology of species names of woody herbal medicines from herbalogy textbook)

  • 이숭인;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71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to the etymology of 218 species names for 128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The examined herbalogical books and research paper which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ul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to the etymology of 218 species names for 128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The origins of species names for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were in order of the local place name by thirty seven(16.97%), the dialects and old name by twenty two(10.09%),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ves by twenty(9.17%), the plant's constituents and uses by fifty(6.88%), the person's name by fifty(6.88%), the other's generic names and species names by thirteen(5.96%),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flowers by twelve(5.50%),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tems by twelve(5.50%), the words meaning a number by twelve(5.50%), the relative characteristic by comparing with the same genus by twelve(5.50%), and so 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which origin of species names of woody herbal medicines from herbalogy textbook, the number of species names of herbal medicine originated from the local place names by 37(16.97%) was the most of all.

시문을 통해 본 면앙정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yonangjong through the Analysis on Poetry)

  • 정영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91-100
    • /
    • 2005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rchitectural concepts of Song-Sun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yonangjong through kasa, sijo, and Chinese poems. He considered his place as a ideal place to dwell a secluded life which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opened to a field in front. That places is connected with geomancy or Feng Sui, and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placeness of the Myonangjong as a pavilion. As his place was called 'tyoro samgan', his place should be simple, and that was harmonized with nature. He regarded his place as a part of the outside space and its surrounding nature. As the pen name of Myonangjong shows that his way of life is very pure so he need not disgrace against the earth and the sky, he considered his building as a place of embodying the Confucian great law of heaven and earth. Myonangjong has a concentric circle structure of the scenery which is viewed panoramically along with the visual direction.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 변화 -전라북도 조촌면을 사례로- (Regional Transformation in 'Myeon' Administrative District adjacent to Urban Area)

  • 조성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71
    • /
    • 2006
  • 행정구역으로서 '면(面)'은 자연적인 마을 단위와 가장 가까이에 접하고 있는 인위적인 행정구역이다. 시와 군단위의 행정구역명이 역사성이나 인식 측면에서 훨씬 광범위하지만, 면단위는 그 지역에 사는 사람에 한정되는 인식규모가 매우 적은 지리적 단위(범위)이며, 존속여부나 행정구역명의 변화가 가장 심한 행정구역 단위이다. 면단위에서의 지역 중심지가 확립된 것은 1917년 면사무소의 설치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전주시 조촌면(동)지역을 사례로 면단위 지역에서의 지리적 범위 변화와 지명(면명)의 변화 유형 및 의미하는 지역과 관계된 정체성, 면단위 지역규모에서 나타나는 지역 중심지의 형성과 그 요인을 살펴봤다. 조촌면의 지역 변화는 첫째, 전주시와 근접한 관계로 전주시의 팽창에 따른 편입 및 통합이 지리적 범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촌면은 지명(면명)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그 지명이 의미하는 지리적 범위는 달라졌다. 셋째, 신작로와 철도역의 개설, 일본인의 농장 개설, 면사무소의 설치, 정기시장 개장의 과정을 통해서 면의 중심지가 형성되었다.

  • PDF

지명 '호남(湖南)'의 형성과 지리적 범위 변화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Geographical Range Change of 'Ho-Nam' as a Place Name)

  • 조성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9-21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명 '호남'에서 '호'의 기준점과 지명 등장 시기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고, 기준점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이유를 지명이 의미하는 지리적 범위의 변화 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논의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호'의 기준을 검토해 본 결과, 현재 인식하고 있는 '호남=전라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방향과 지역적 장애 측면을 고려하면 호남 3호보다는 금강을 기준으로 그 남쪽 지역이라는 의미로서 '호남'이 타당성을 지닌다. 둘째,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기준 중에서 호남과 호서를 동시에 만족하는 지리적 기준점은 없다. 두 지명은 각각 다른 기준점을 기준으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 인식하고 있는 '호남=전라도', '호서=충청도'와 같은 지리적 개념이 아닌 문화적 개념으로서 두 지명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은 조선시대 초기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각각 '호남'이 의미하는 지리적 범위가 각각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 즉, 지명이 처음 등장한 고려시대 때에는 기준점의 남쪽이라는 지리적 의미가 중요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화권 개념으로 정착되면서 의미하는 지리적 범위도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지명 등장 시기가 고려시대이고, 조선시대 이후 지리적 범위 변화가 있었다는 가정을 전제로 했을 때 호남 지방에서 '호(湖)'의 기준은 한강일 가능성이 있다.

  • PDF

고구려어에서 조명해본 고구려 역사 (The History of Koguryo from the Perspective of its Language)

  • 도수희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213-240
    • /
    • 2004
  • This paper argues that Koguryo historically belonged to Korea based on the linguistic homogeneity among Koguryo, Sinra, and Paekche. The language of Koguryo shows the following four distinct properties from Chinese. First, Koguryo, Sinra, and Kara share a dual structure of national birth myths, and the directional vocabulary found in the countries also shows the evidence that the Korean people moved from North to South. Chinese, on the other hand, has no indication of these facts. Second, the place names in Koguryo shared the same properties with those of the countries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period, bu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t is also noticeable that the national name of Korea, adopted from the national name of Koruryo, was announced to the world and that Korea has been acknowledged as our national name since then. The legitimate lineage of Koguryo > Parhay > Hu-Koguryo > Korea proves that Koguryo belonged to Korea historically, Third, the names of kings were very similar among the Three Kingdoms, but distinct from those of China. The names of king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sun as well as nature and human functions or activities like nuri (world), Piryu (originated from the name of a river), onjo (all over world), Chumong Hwar-bo (a person who is good at shooting), Paem-bo (a baby crawling like a snake), K\ulcornerchir-bo, Isa-bo, etc.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 the Three Kingdoms, but clearly different from China. Fourth, the governmental names were very similar among the Three Kingdoms, but distinct from Chinese ones. These linguistic properties shared among the Koguryo, Packche, and Sinra are never accidental, but provide reliable evidence that the countries were founded by the Korean people. Koguryo, therefore, belonged to Korea histor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