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sawyer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9초

Fungi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and the Nematode-Infected Japanese Black Pine Wood in Korea

  • Hyun, Min-Woo;Kim, Ji-Hye;Suh, Dong-Yeon;Lee, Seung-Kyu;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9-161
    • /
    • 2007
  • Pine tree death caused by pine wood nematode(PWN) involves phoretic relationships between PWN and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beetle(JP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ungi involved in PWN life cycle, a total of 176 fungal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PWNs, adults and larvae of JPS, PWN-diseased Japanese black pine that was cut down in 2005 at Jinju, Korea. Based 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lony morphology,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TS rDNA,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at the level of genus. Three genera including Mucor,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identified from PWN. Two genera of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discovered from JPS larvae. Frpm JPS adult beetles, nine genera of Aspergillus, Gibberalla, Hypocrea, Irpex, Leptosphaeria, Ophiostoma, Penicillium, and Plectosphaerella and unknown basidio-mycetes were found. Ten genera from PWN-infected weed were confirmed as Bionectria, Botrytis, Camarops, Fusarium, Hypocrea, Nectria, Mucor, Ophiostoma, Penicillium, and Trichoderma. Penicillium and Ophiostoma were commonly distributed on PWN and its vector and host. This is first report of the fungi associated with PWN and its vector and host in Korea.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의 수종별 우화시기 (Emergence Timing of th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by Tree Species)

  • 한주환;유종현;구창덕;윤창만;최광식;신상철;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89-195
    • /
    • 2009
  • 충북 청원에서 2006년도부터 2008년까지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의 수종(잣나무, 소나무, 낙엽송)에 따른 우화시기와 일중 우화 탈출시간을 조사하였다. 성충은 잣나무와 소나무에서 5월 초순(2${\sim}$10일)에 우화를 시작하였으며, 6월 중순(4${\sim}$20일)에 끝났다. 하지만 낙엽송에서는 5월 중순(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5월 하순(27일)에 끝나 두 수종에 비하여 우화기간이 짧았다. 우화시기는 수컷과 암컷 간에 차이가 없었다. 2007년에 우화한 성충의 성비는 잣나무에서 0.55, 소나무 0.46, 낙엽송 0.59로 수종간 차이는 없었다. 일중 우화탈출은 24시간 내내 이루어졌고 최대 우화탈출은 12${\sim}$14:00시로 가장 높았고(22.8%), 06${\sim}$08:00시간이 가장 낮았다. 성충은 1년에 1세대 발생 비율이 98.9%이고, 2년 1세대 발생 성충의 비율은 1.1%이었다.

Ophiostoma ips from Pinewood Nematode Vector, Japanes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in Korea

  • Suh, Dong Yeon;Hyun, Min Woo;Kim, Jae Jin;Son, Seung Yeol;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1권1호
    • /
    • pp.59-62
    • /
    • 2013
  • Japanes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est in coniferous trees. Ophiostoma ips was isolated from the beetle and identified based on analysis of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the ${\beta}$-tubulin gene sequence. The fungus easily produced perithecia with a long neck on malt extract agar and its ascospores were rectangular shaped. This is first report of Ophiostoma species associated with the pinewood nematode vector beetle in Korea.

Insecticidal Activit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and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Using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 Lee, Dong-Hyeon;Suh, Dong Yeon;Seo, Sang-Tae;Lee, Sang-Hy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55-258
    • /
    • 2020
  • Pine wilt disease (PWD) caused by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which is transmitted by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is a serious threat to coniferous fores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Korea. The efficacy of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for preventing the PWD in the field and its effect on the vectors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were evaluated. An experimental plot was delimited, of which consist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 Korea, and trunk injection trials were made with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Branches of each tree were collected, and are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analysis of residues for both nematicide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showed over 90% mortality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fter 6 days and 8 days,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both insecticides have a higher effect on the susceptibility and persistence of two vectors of PWD,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feeding on branches of the trees, and its application by trunk injection is confirmed as an option for pine wilt disease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성충의 표피탄화수소 비교 (Comparison of Cuticular Hydrocarbons of the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and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 이정은;김은희;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1-218
    • /
    • 2010
  • 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털두꺼비하늘소 성충 암·수의 표피탄화수소를 GC와 GC-MS로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북방수염하늘소와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대표적 매개충이지만 같은 과에 속한 털두꺼비하늘소는 그렇지 않다. 이들은 표피탄화수소 사슬을 다르게 가지고 있는데, 북방수염하늘소의 표피탄화수소 사슬은 $C_{23-35}$, 솔수염하늘소는 $C_{25-32}$, 그리고 털두꺼비하늘소는 $C_{23-29}$로 종간 차이를 보였다. 주 구성성분의 암 수간 차이에서 함량에 대한 차이는 있었지만, 조성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북방수염하늘소는 n-pentacosane > n-nonacosane > n-heptacosane, 솔수염하늘소는 n-nonacosene > n-pentacosane > n-nonacosane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털두꺼비하늘소는 n-heptacosane > 13-methylheptacosane > 3-methylheptacosane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 반해 n-nonacosene, n-pentacosane의 함량은 적었다. 3종하늘소 표피의 대부분은 n-alkane인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40.2 - 65.7%) 그 다음으로, 북방수염하늘소와 솔수염하늘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olefins > monomethylalkanes 순이었다. 이와 달리, 털두꺼비하늘소는 monomethylalkanes > olefins 순으로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한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using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 Isolates)

  • 유황빈;정영학;이상명;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1-368
    • /
    • 2016
  •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전파하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4종(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계통)은 소나무 고사목 내의 미끼곤충인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치사시켰는데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이 가장 높았다. 두 선충 모두 7.5 cm 깊이에 있는 꿀벌부채명나방을 치사시켰다. 곤충병원성선충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성충 모두에 병원성을 보였는데 성충에 대한 분무처리 시 S. carpocapsae GSN1 계통보다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의 병원성이 높았다.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 벌채목에 대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수피면 분무처리와 벌채목 수침 처리 시 분무처리에서만 선충에 감염 된 유충이 확인되었다. 곤충병원성선충은 고사목 수체 내 솔수염하늘소 유충 방제의 실용성은 낮았지만 수체 내 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은 있어 추후 천공성 해충의 방제에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 생태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김동수;이상명;정영진;최광식;문일성;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3
    • /
    • 2003
  • 소나무재선충의 주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우화생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임지에서 죽은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양지에서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시기를 조사한 결과 4개년 평균 매년 5월 15일을 전후하여 우화하기 시작하였고, 50% 우화일은 6월 중순경이었다 우화 종료일은 7월 상순-하순으로 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수컷의 50% 우화일은 암컷보다 해에 따라 1-4일이 빨랐다. 그러나 음지에서의 50% 우화일은 양지에서보다 17일이 늦어졌다. 2001년 2월에서 4월까지 벌채한 공시목으로부터 우화한 성충 중에서 동년에 우화한 1년 1세대 충의 비율은 97.6%이었고, 이듬해인 2002년에 우화한 2년 1세대 충의 비율은 2.4%이었다. 솔수염하늘소 성충은 암수 구분 없이 24시간 내내 우화하였지만, 오전 8시부터 12시 사이에 우화하는 성충의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으며, 새벽 2시부터 오전 8시까지는 우화율이 낮았다. 번데기방에서 성충이 우화한 후 나무 밖으로 탈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각은 68.0초이었다.

Effects of C10- and C12-chain length alkyl analogs of monochamol on attraction of longhorn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 LEE, Sung-Min;HONG, Do Kyung;JANG, Sei-Heon;LEE, Kyeong-Yeoll;LEE, ChangWoo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448-452
    • /
    • 2018
  • The aggregation pheromone of Monochamus (Coleoptera: Cerambycidae) beetles, 2-(undecyloxy) ethanol (hereafter referred to as monochamol),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its usefulness in monitoring and population control of pine sawyer beetles. The hydroxyether structural motif is conserved in pheromones of the subfamily Lamiinae of the Cerambycid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10- and C12-chain length alkyl analogs of monochamol, 2-(decyloxy) ethanol and 2-(dodecyloxy) ethanol, on attracting M. saltuairus in Andong, Gyeongsangbuk-do, Korea. The C10 and C12 analogs attracted M. saltuariu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lpha}$-pinene and ethanol, but the responses of these alkyl chain analogs were lower than those of monochamol. Furthermore, the addition of either C10 or C12 analog to the use of monochamol with ${\alpha}$-pinene and ethanol had no effect on attraction of M. saltuarius, indicating high sensitivity of M. saltuarius to monochano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emical communication within a Monochamus species depends not only on monochamol, but also on other semiochemicals.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제거에 따른 산림훼손 보고 (Report on Forests Damaged Due to Cutting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 홍석환;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0-598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다양한 방제방법에도 고사목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 방제방법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유충 폐사를 위한 감염목 훈증처리방법이다. 본 연구는 산림 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 훈증처리지역에서 훼손 정도를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밀양시 일대에 $100m^2$의 조사구 32개소를 설치하여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을 분석하였다. 훼손되지 않은 수목에서 도출한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의 회귀식(침엽수: $R^2=57.4$, 낙엽활엽수: $R^2=63.8$)을 바탕으로 훼손된 수목의 수관단면적을 유추하였다. 분석결과 수관단면적을 기준으로 재선충감염목은 18.7%이었으며 재선충과 무관하게 베어진 수목은 35.5%에 달했다. 소나무류의 경우 8.4%가 재선충과 관계없이 훼손되었으나 참나무류를 포함한 낙엽활엽수류는 훼손비율이 62%에 달했다. 소나무재선충 방재를 위한 훈증처리작업에 따른 아교목층 낙엽활엽수의 무분별한 제거는 산림의 온도저감, 습도조절 등 공익적 기능을 저하할 우려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