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toxic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수수 줄기에 함유(含有)된 타감물질(他感物質)의 용매(溶媒)와 pH에 따른 특성구명(特性究明)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in Sorghum Stem by Different Organic Solvents and pH)

  • 김상열;에스 케이 디다타;알 피이 로블레스;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8
    • /
    • 1994
  • 수수 줄기에 함유된 타감물질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극성, 비극성 용매로 분획한 결과 사용한 용매에 따라 억제 효과가 달리 나타났는데 ethyl ehter 분획에서 억제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또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에서도 8mg/ml과 16mg/ml 농도에서 상당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나 hexane과 남은 수용층 분획에서는 거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Ethyl ether 분획을 pH에 따라 알칼리성, 중성 및 산성으로 다시 분획한 결과 산성 분획에서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수 줄기와 함유하고 있는 타감물질은 비극성이며 산성 특성을 가진 물질이라 추측된다.

  • PDF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농약(제초제)의 품질개발에 관한 연구 -대두 제초제의 사용 적합성을 중심으로 (Qualitative Develop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On the Compatibility of Herbicide Use in Soybean Production)

  • 구자옥;김용재;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9-103
    • /
    • 1979
  • 1978연도 전남 광주시, 전남大 농견 전작시험장에서 수행된 대두 제초제의 안전사용 및 사용효과 구명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의 생육 및 수량성은 제초효과에 따른 향상보다 약해에 따른 억제의 영향에 민감한 경향이었고, 억제의 정도는 약종에 따른 변이보다 약해별 처리약량수준에 따른 변이가 켰다. 2. Alachier, Metribuzin, RH-8817 등은 안금사용폭이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Alachier는 바랭이, 피, 방동산이, Nitrofen은 피, 방동관이, Metribuzin은 쇠비름, RH-8817은 바랭이, 피, 방동산이, 쇠 비름의 방제효과가 탁월하였다. 4. 대두 품종과 제초제 약종간에 유의성 있는 저항성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토성별 대두의 발아차이는 주로 산소공급조건의 차이에 기인하였으며, 산소공급이 좋은 상태에서는 제초제간에 발아억제 영향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RH-8817은 발아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6. Simazin, Linuron, Metribuzin은 초기생육중의 동화억제를 통한 황변현상이, Alachlor는 생육어제현상이, RH-8817은 생육억제 및 생장점 부위의 괴저현상이 일반적 약해증세로 나타났다. 7. Simzin과 Linurrm 처리에서는 처이직후 약해 차리정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이었다. 8. 제초제 처리수준증대에 따른 경·근 및 근류생성억제의 영향은 상호 유의적 관계하에서 증대되는 경향이었다.

  • PDF

약용작물의 Allelopathy 효과에 관한 연구 (Allelopathic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Echinoclhoa crus-galli Beauv.)

  • 김상열;김칠룡;박성태;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7-412
    • /
    • 1997
  • 약용작물의 allelopathy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피의 발아, 신초 및 뿌리생육 억제는 공시식물, 사용부위, 사용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피의 발아, 신초 생장 및 뿌리는 천궁 및 감초 뿌리추출물에 의해서 가장 억제가 되었다. 1g 농도에서 피의 발아, 신초생장, 뿌리생장이 각각 88%, 95%, 100%, 감초추출물에서 87%, 96%, 100% 억제되었다. 천궁의 부위별 억제정도는 뿌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0.5g에서 피는 완전히 억제가 되었으나 줄기 잎추출물에서는 억제효과가 크지 않았다. 용매극성별 피의 억제 정도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피의 발아는 3분획 모두 억제가 되지 않았으나 신초 및 뿌리생장은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에틸에테르나 메탄올 분획보다 억제가 더 컸다. 이상의 결과에서 천궁뿌리에 함유하고 있는 allelochemicals은 중간정도의 극성을 띤 물질일 것으로 사료되며 allelochemicals의 분리정제에 귀중한 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ytoremediation of Cu-contaminated Soil and Water by Commelina communis

  • Kim, Sung-Hyun;Lee, In-So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7-13
    • /
    • 2005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tolerance of Commelina communis to growth in Cu-contaminated soil and water We examined the germination rate, root and shoot growth of seedlings, fresh biomass in soil and water, and ability to eliminate Cu. We found that C. communis eliminated 41% of Cu in soil containing 50 mg Cu/kg and removed over 50% of Cu from water containing 100 mg Cu/L Cu. In addition, the plants could accumulate 90 mg Cu/g when grown in soil containing 50 mg Cu/kg and 140 mg Cu/g when grown in soil containing 100 mg Cu/kg thus higher levels of Cu removal were observed in soils containing higher Cu concentrations. In water, the maximal accumulation rate was 4.9 mg Cu/g root and 1.2 mg Cu/g shoot in water containing 20 mg Cu/L, and 7 days after exposure, Cu absorption saturated. Further, the growth rate of C. communis was not affected by up to 100 mg Cu/kg in the soil. Therefore, the phytotoxic effect of Cu on plant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u was raised, although to different extents depending on whether the Cu was in soil or water. Overall, Cu removal from soil by C. communis was most effective at 100 mg Cu/kg in soil and 10 mg Cu/L in water. Finally, we identified two peaks of Cu-binding ligands in C. communis. Which is a high molecular weight peak (HMWL) at 60 kDa (Fraction 17 to 25) and a Cu binding peptide peak at <1 kDa (Very low molecular weight ligand: VLMWL). Cu-binding peptide (Cu-BP) was observed to have an amino acid composition typical of phytochelations.

살충제 개발을 위한 생물검정법의 확립 I. 각종 유기 용매가 곤충의 독성과 약해 및 화합물의 용해성에 미치는 영향 (Establishment of Bioassay System for Developing New Insecticides I. Effects of Organic Solvents on the Toxicity against Insects, Phytotoxicity and Solubility of Compounds)

  • 안용준;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2-189
    • /
    • 1992
  • 신규 설충성물질 개발의 전제조건이 되는 용매의 선택을 위하여, 아세톤의 9종의 유기용매를 수종의 곤충에 대한 독성과 식이식물 및 화합물의 용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엽침지법과 분무법으로 평가하였다. 각종 용매의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과 용매의 이화학적인 성질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는 않았으나, 분무법 처리시 벼멸구의 경우 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증기압이 낮을수록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이 높았으나, 비등점, 쌍극자모멘트, 유전율, 표면장력, 점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무처리가 엽침지법보다 더 높은 치사독성을 나타내었다. 약해와 용매의 이화학적 성상 역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침지법의 경우 수도에 있어서 유전율이 낮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며, 분무법 처리시에는 쌍극자 모멘트가 높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나 기타의 이화학적 성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엽침지처리가 분무처리에 비하여 강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합성 화합물과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은 아세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여 생물검정시 5% 아세톤수용액이 다량의 화합물을 검정하는데 적합하였다.

  • PDF

제초제의 사용법 개발에 관한 연구 제4보 Metribuzin 사용시간에 따른 대두품종의 생육반응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w. Growth Responses of Soybean (Glycine max) Cultivars to Application Time of Metribuzin Herbicide)

  • 구자옥;정순주;이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9-184
    • /
    • 1981
  • 본 시험은 1980년도에 전남대학교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것으로서, Metribuzin의 처리시기에 따른 품종반응차이를 알기 위하여 광교외의 5대두품종과 Pre-sowing 외에 4처리 시기를 공시하여 작물의 초기생육반응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내에서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2. 품종차이보다는 약제처리시기에 따른 반응차이가 헌저하였으며, 대부분 대두품종의 저항성 크기는 E. Post-emg.< L.Post-emg $\ll$re-sowing=Control의 순으로 컸다. 3. Metribuzin의 약해 Symptom은 주당엽수 < 초장 $\ll$주당분지수의 순으로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특징이었다. 4. 우리나라 대두품종에 대한 Metribuzin의 사용은 Pre-sowing이나 Pre-emg.가 추천되며, 특히 Pre-sowing에 대한 토양혼화법 연구와 단제보다는 혼용처리의 이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 PDF

Acifluorfen 의 경엽처리(莖葉處理)가 대두(大豆) 및 바랭이의 엽조직(葉組織)에서 Peroxid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oliar Applied Acifluorfen on the Peroxidase Activity in Leaf Tissue of Soybean (Glycine max Merr.) and Crabgrass (Digitaria adscendens (L.) Scopol.))

  • 김태완;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7
    • /
    • 1988
  • acifluorfen이 대두(大豆)와 바랭이의 경엽(莖葉)에서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어떻게 영향(影響)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eroxidase 활성(活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늦을수록 낮았다. 2. 1.5부엽기(復葉期)에 처리(處理)했을 때는 신생엽(新生葉)인 2부엽(復葉)의 활성(活性)이 높았으나, 2.5부엽기(復葉期)에 처리(處理)했을 경우는 신생엽(新生葉)인 3부엽(復葉)의 활성(活性)이 오히려 낮았다. 3. 1.5부엽 (復葉) 처리(處理)의 신생엽(新生葉)인 2부엽(復葉)에서의 peroxidase 활성(活性)이 2.5부엽(復葉)의 처리(處理)의 2부엽(復葉)보다 높았다. 4. 모든 처리엽(處理葉)이 necrosis와 leaf burning현상이 나타났지만, 처리(處理) 14日(일) 후(後)에는 거의 정상으로 회부(回復)되었다. 5. 바랭이는 처리(處理) $1{\sim}2$일후(日後) peroxidase 활성(活性)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5 일후(日後)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바랭이가 acifluorfen 처리후(處理後) $3{\sim}7$ 일내(日內)에 모두 고사(枯死)하였기 때문이었다.

  • PDF

Fusarium oxysporum이 생산하는 dehydrofusaric acid의 몇 가지 식물 생육에 대한 활성 (Phytotoxicity of dehydrofusaric acid isolated from Fusarium oxysporum against several plants)

  • 홍경식;최경자;김흥태;황인택;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2-208
    • /
    • 2002
  •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oxysporum균주로부터 여러 번의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좀개구리밥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이 물질은 dehydrofusaric acid로 동정되었다. Dehydrofusaric acid는 좀개구리밥의 생장에 대한 $EC_{50}$ 값이 $1.5{\mu}g/ml$로 매우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물질은 식용피, cress, 강피 및 동진벼의 뿌리의 생장도 억제하였으나, 식용피와 cress의 발아 및 네 가지 식물의 지상부의 생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벼 어린모 기계이앙답에서 수면부상성 Benzobicyclon합제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icacy of Benzobicyclon Up Granule Formulations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 원옥재;신훈탁;노석원;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25-229
    • /
    • 2016
  • 본 시험은 벼 어린모 기계이앙 답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잡초와 다년생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enzobicyclon을 기반으로 한 수면부상성 입제로 개발한 BAO UG와 BBF UG의 방제효과를 BIF SC와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인 BAO UG와 BBF UG의 잡초방제효과는 9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기생육 및 수확량에 있어서도 시험약제와 대조약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사용한 수면부상성 입제의 경우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벼 생력재배를 위해 이용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