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tridax procumbens: A case study of imo state university, owerri, imo state

  • Umeoka, N;Ogbonnaya, C.I.;Ohazurike, N.C.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4호
    • /
    • pp.26-30
    • /
    • 2018
  • To have more insight into the nature of plant, plant scientists carry out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such plant species. The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ridax procumbens. Linn was carried out at Imo State University, Owerri, Imo State between the months of July and September, 2018. Tridax procumbens Linn grows abundantly in the areas under tropical climate and supported by a sandy-loam soil. Morphological features showed a range of variations.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showed a Tridax- Mitracarpus-Digitaria plant community. Tridax procumbe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gitaria horizontalis, Mitracarpus scarber and Vernonia cinera. The Inter-relationship of T. Procumbens was thus determined. This study therefore is a contribution to the general ecology of the plant. Phytosociological studies helps plant scientist to have more knowledge into the nature of plant species. This study is a contribution to the general ecology of the plant Tridax procumbens. The study also shows that it has close association with mitracarpus Scarber and Digitaria horizontalis. More work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out if these plant species flower and produce seeds at the same time or not.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II ) - 金鰲列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43-359
    • /
    • 1990
  •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vegeation was carried out in Kumo archipelago at the period of May 21th 1990 to May 29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Torreya nucifera, Carpinus corean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s were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27-134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찬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우-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 Kim, Chul-Soo;Jang, Yoon-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45-160
    • /
    • 1989
  • Daehuksan Island (125°23'-125° 28' E and 34°37'-34°42' N, ca 19.7㎢) in the southwestern part of Mokpo, Korea, is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Most of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island is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And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etc. During 1987,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Braum-Blang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Daphniphyllum macropodum-Quercus acuta, Pyrrosia lingua-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Carpinus coreana, and Psedosasa japonica community. Grassland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Gleichenia japonica, Gleichenia dichotoma, Arundinella hirta-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Pennisetum alpecuroides, Carex boottiana, and salt marsh vegetation. Thypa orientalis, Spergularia marin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Triglochin maritimum community. Based on them,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in 1:50,000 scale.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鳥島群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Chod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81-190
    • /
    • 1990
  • Chodo Archipelago ($125^{\circ}$45 $-126^{\circ}$13 E and $34^{\circ}$15 $-34^{\circ}$25 N, ca. $56.7km^2$),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largely is covered with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However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and etc. From October 1988 to June 1989,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by Braun-Blanquet 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Litsea japonca,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mixed forest,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afforestation.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 배병호;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21-29
    • /
    • 1999
  • 본 연구는 영동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집유형을 밝히고, 이들 식생의 천이계열과 자연성을 검토하였으며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62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지역의 소나무림은 소나무군집하에 전형아군집, 신갈나무아군집, 진달래아군집, 붉나무아군집 등 4개 아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들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흉고직경 별 빈도분포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조사지역 소나무림의 토양 환경은 타 지역 소나무림에 비하여 매우 빈약하였으며 특히 pH는 평균 4.87로 강산성을 띠고 있으며, 각 하위군간에도 토양환경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군집유사도의 분석에 따라 소나무림의 천이계열을 추정하였으며, 이들 식생의 녹지자연도는 전형아군집과 진달래아군집이 7등급, 신갈나무아군집이 8-1등급, 붉나무아군집이 8-2둥급으로 각각 사정되었다.

  • PDF

울릉도 산림식생유형과 생활형조성 (Forest Vegetation types and Its Life-form Composition in Ulleung Island, Korea)

  • 이중효;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82-290
    • /
    • 2006
  • 울릉도 산림식생의 유형은 총 232개 조사구를 토대로 식물사회학과 TWINSPAN분석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유형별 생활형조성이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산림식생유형은 모두 22개 식생단위로 나타났으며, 크게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2개 광역그룹으로 대별되고, 전자는 4개 군락, 11개 군, 7개 소군, 후자는 2개 군락, 5개 군의 체계를 나타내었다.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생활형조성 특성을 보면 전자는 교목성과 초본성식물, 반지중식물, 바람에 의한 산포와 자연낙하기관형, 직립형식물 등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후자는 관목성식물, 지표식물, 바람과 동물에 의한 산포기관형, 좁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포복경식물의 구성비가 높았다. 특히 산지식생형의 하위단위에 속하는 말오줌나무군락(A6)은 교란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한 산포기관형, 약간 넓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덩굴형의 식물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다.

청주 무심천의 교란에 따른 식생분포의 변화 (Changes of Riparian Vegeta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of Musim-Chon Stream, Cheongju)

  • 강상준;곽애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35-448
    • /
    • 1998
  •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t 32 sites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Musim-Chon stream passed through Choengju-City, Chungcheongbuk-Province by Braun-Blanquet's method from August to October, 1997.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is survey was 202 species. The riparian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25 communities as follows. The submerged hydrophytes are Poto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community, Potomogeton crispus community,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and Ceratophyllum demersum community. The floating-leaved hydrophyte is Trapa japonica community. The emerged hydrophytes ar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Perzicaria thunbergii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Oenanthe javanic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The herbaceous vegetation of floodplain are Artemisia montana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Erigeron anmus community, Impatiens balsamina community, Bidens frondosa community, Setaria viridis community,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and Eragrostis ferruginea community. The woody vegetation of floodplain are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and Clematis apiifolia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was low in the upper and down stream, while the diversity was high in the mid stream situated at the center of Choengju-City because of frequent disturbance by citize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stribution of communities and species divers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sturbance.

  • PDF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 송종석;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1
    • /
    • 2002
  • 자원식물로 유용한 야생배인 산돌배와 돌배나무군락의 종조성, 분포, 입지조건을 해석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따른 조사가 함백산, 소백산. 일월산, 주왕산. 가야산 등지에서 실시되었다. 이것은 군락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개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연구 결과,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 식생은 두 군집과 두 군락으로 식별되었다: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 단풍취-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산돌배군락, 이 중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과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은 우리나라 참나무삼림의 분포유형에서 제각기 남부형 및 중\ulcorner북부형에 속한다. 그러므로 야생 배나무류는 주로 한국의 냉온대 낙엽수림 영역에 제한되며, 부분적으로 우점하거나 단독으로 출현하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야생 배나무류는 교목과 아교목층에 출현하는데, 이것은 이 종이 양수이고 임관의 다른 구성종과 함께 실생으로 발생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를 반영하여 야생배나무류는 보통 SE-SW방향에 분포하였다. 또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의 임관은 열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양성은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이 높았고, 다른 군락들은 비교적낮았다. 상급단위로서 식별된 군락은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 철쭉-신갈나무군단; 당단풍-신갈나무군목; 신갈나무군강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